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소하천 방재시설 기준 연구 / 소방방재청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소방방재청, 2009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형태사항
1책(면수복잡) : 삽화, 도표, 사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007236
주기사항
"자연재해저감기술개발"의 세부과제임
주관연구기간: 연세대학교 산학협력단
주관연구책임자: 조원철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보고서 초록

요약문

SUMMARY

CONTENTS

목차

제1장 서론 16

1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16

1. 연구개발의 과학기술, 사회경제적 중요성 16

2절 연구개발의 목표 및 내용 18

1. 소하천별 특성 분류기준 제시 18

2. 소하천 특성분류 및 관리대장 전산화 방안 제시 18

3. 신소하천 시설 기준 작성 18

4. 소하천정비법 정비 18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19

1절 연구사례의 조사 19

1. 외국의 경우 19

2. 국내의 경우 19

2절 세부 기술사항의 검토 분석 20

1.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표 20

2. 주요 기술사항 및 그 기술수준의 분석평가 20

3. 기존 기술의 사례 조사 평가 21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23

1절 소하천의 특성 23

1. 국내 소하천의 특성인자 조사 24

2절 소하천 하천관리를 위한 분류조건 30

1. 일본의 소하천 정비사례 조사 31

3절 소하천 하천정보 DB 및 시스템 구축 37

1. 기본방향 37

2. 데이터베이스 구축 37

3. 기대효과 38

4. 데이터베이스 설계[원문불량;p.28] 38

5. 시스템 구축 52

6. 유지관리 방안 68

4절 국내외 소하천 정비 및 관리 사례 조사 분석 71

1. 서론 71

2. 소하천의 정의 및 특성 71

3. 소하천정비 종합계획 74

4. 소하천 현황 및 정비율 76

5. 소하천 재해 현황 80

6. 소하천정비 종합계획 수립시 문제점 및 개선방향 83

7. 결론 127

5절 지역빈도해석 및 회귀분석을 이용한 산악형 강수 해석 128

1. 서론 128

2. 대상지역 선정 128

3. 지역빈도해석 129

4. 산악형 강수해석 130

5. 결론 131

제4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132

1절 연구개발실적 132

2절 연구의 파급효과 132

1. 기술적인 효과 132

2. 경제적인 효과 132

3. 산업기술에 미치는 파급효과 133

3절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133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135

1절 당해년도 활용계획 135

2절 차년도이후 활용계획 135

3절 활용시 요구사항 135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136

제7장 참고문헌 137

부록 139

소하천 관리 시스템 - 사용자 지침서 - 140

목차 141

제1장 하천관리시스템 147

1.1. 하천관리시스템 소개 147

1.2. 시스템 설치 147

1) 운영체제 요구사항 147

2) 하드웨어 요구사항 148

3) 필수 소프트웨어 148

제2장 하천관리시스템의 실행 149

2.1. 로그인 149

2.2. 메인화면 구성 149

제3장 정보검색 152

3.1. 하천검색 152

1) 하천수계를 이용한 하천선택 152

2) 행정구역을 이용한 하천검색 153

3.2. 빠른검색 155

1) 빠른 지적검색 155

2) 빠른 시설물검색 156

3) 빠른 제방검색 157

제4장 대장관리 159

4.1. 하천현황대장 159

1) 하천개황 159

2) 측량기준점현황 163

3) 하천수상황 166

4) 하천구역현황 169

5) 하천예정지현황 172

6) 홍수관리구역현황 175

7) 하천개수현황 177

8) 구역결정조서 181

9) 지번조서 184

4.2. 공사 및 인허가 187

1) 공사 187

2) 인허가 189

4.3. 하천시설물현황 191

1) 시설물현황 191

2) 댐 설치현황 194

3) 하천수사용시설현황 198

제5장 분석기능 202

5.1. 통계 및 하천계획제원 202

1) 통계 202

2) 하천계획제원 204

5.2. 공간분석 205

1) 지적 편입면적 분석(지적도 연산) 205

2) 부속물 위치현황 분석 206

제6장 관리기능 208

6.1. 지도관리 208

1) 사용자관리 208

2) 관심영역관리 209

3) 출력 210

4) 화면관리기능 211

5) 선택기능 212

6) 하천정보표시 213

7) 측정기능 213

8) 레이아웃기능 214

6.2. 레이어관리 215

1) 레이어관리 툴바 215

2) 레이어제어 216

3) 레이어관리 Tree 구조 217

4) 레이어 속성 변경 218

6.3. 도면관리 221

6.4. 영상관리 222

제7장 데이터베이스 224

7.1. 데이터베이스 구성 224

1) 공간정보 구성 224

2) 속성정보 구성 250

3) 코드체계 304

자연재해저감기술개발사업에 관한 연구과제(세부과제 "소하천 계획(설계) 수문량 설정 및 하도 설계기법에 관한 연구") 307

제출문 307

보고서 초록 308

요약문 309

SUMMARY 310

CONTENTS 312

목차 313

1. 서론 317

1.1.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317

1.2. 연구의 목적 318

1.3. 연구의 내용 및 범위 318

2. 국내·외 설계수문량 산정 기준 320

2.1. 국내 설계수문량 산정 기준 320

2.2. 외국의 설계수문량 산정 기준 323

3. 소하천 계획 수문량 설정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326

3.1. 설계빈도 산정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326

3.2. 설계강우량 산정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327

3.3. 설계홍수량 산정의 문제점 및 해결방안 351

4. 지역빈도해석 춘천시 소하천에 적용 353

5. 소하천 계획하폭 산정 378

5.1. 서론 378

5.2. 연구 대상하천의 선정 381

5.3. 기존 계획하폭 공식 검토 382

5.4. 계획하폭공식 산정 382

5.5. 결론 386

6. 요약 및 결론 387

7. 참고문헌 388

소하천 방재시설 기준에 관한 연구과제(세부과제 "소하천 시설물의 치수안전성 및 방재성 강화 기준에 관한 연구") 390

제출문 390

보고서 초록 391

요약문 392

SUMMARY 393

CONTENTS 394

목차 395

1. 서론 404

2.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406

3.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408

3.1. 소하천의 정의 및 특성 408

3.1.1. 소하천의 정의 408

3.1.2. 소하천의 특성 408

3.1.3. 소하천의 피해현황 410

3.2. 교량 411

3.2.1. 교량 피해사례 411

3.2.2. 교량 피해원인 및 대책 415

3.2.3. 교량에서의 수리학적 특성조사 422

3.2.4. 교량 피해영향인자 분석 430

3.3. 암거 439

3.3.1. 암거의 피해사례 439

3.3.2. 피해원인 및 대책 439

3.3.3. 암거에서의 수리학적 특성조사 440

3.3.4. 암거의 설계 441

3.4. 보 및 낙차공 460

3.4.1. 보 및 낙차공의 피해사례 460

3.4.2. 피해원인 및 대책 465

3.4.3. 보 및 낙차공에서의 수리학적 특성분석 470

3.4.4. 피해영향인자 분석 476

3.5. 만곡부 480

3.5.1. 만곡부의 피해사례 480

3.5.2. 피해원인 및 대책 482

3.5.3. 만곡부에서의 수리학적 특성분석 484

3.5.4. 피해영향인자 분석 489

3.6. 자연 친화적 정비공법 적용 사례조사 500

3.6.1. 국내 적용 사례 500

3.6.2. 해외 적용 사례 503

3.7. 자연형 하천정비 공법 피해 사례 506

3.7.1. 국내 피해 사례 조사 506

3.7.2. 국외 피해 사례 조사 508

3.8. 2차년도 연구 내용: 자연 친화적 하천시공기법의 선택 509

3.8.1. 공간에 대한 고려 509

3.8.2. 수역 510

3.8.3. 수제역 517

3.8.4. 육역 521

3.8.5. 재료에 대한 고려 523

4. 자연 친화적 하천시공기법 제시 533

4.1. 수제 533

4.2. 하중도(河中島) 534

4.3. V자형 여울 534

4.4. 하상보호공/고수부지 보강공 535

4.5. 통나무사각방틀 535

4.6. 통나무삼각방틀 536

4.7. 사석쌓기 537

4.8. 돌붙임 (메붙임) 537

4.9. 돌망태 538

4.10. 돌쌈지 (Unit Filter) 538

4.11. Gabion 539

4.12. 버드나무엮기 (돌방틀) 539

4.13. 하상 유지기법 (Grade Control Measures) 540

4.14. 여울 541

4.15. V자 여울 541

4.16. 징검다리형 여울 542

4.17. 수제 542

4.18. 어도 543

4.19. 통나무/브러시/석재를 이용한 피난처 (Log/Brush/Rock Shelters) 543

4.20. 어소 구조물 (Lunker Structures) 545

4.21. 하중도 545

4.22. 거석 (Boulder Clusters) 546

4.23. 위어 (Weirs and Sills, 일종의 Stone Weirs) 547

4.24. 이동 방지물 (Migration Barriers) 547

4.25. 나무 보호막 (Tree Cover) 548

4.26. 제방 경사안정과 식재 (Bank Shaping and Planting) 548

4.27. 잔가지 채움 549

4.28. 잔목 매트 549

4.39. Coir roll 550

4.30. 휴면 식생 식재 550

4.31. 식생 Gabion 551

5. 공법별 시공시 유의점 추가 552

5.1. 저수호안 공통 사항 552

5.2. 자생식물 이식 552

5.3. 적용상의 한계 및 결론 552

6. 현재 소하천 시설기준 분석 554

7. 소하천 시설기준 563

7.1. 설계 기준 비교 563

7.1.1. 교량 563

7.1.2. 암거 565

7.1.3. 보 566

7.1.4. 낙차공 568

7.1.5. 만곡부 570

8. 소하천 시설기준 강화를 위한 개선 방안 572

8.1. 교량 583

8.1.1. 개요 583

8.1.2. 교량의 위치선정 및 형식 584

8.1.3. 교량의 환경조건 별 설계 586

8.1.4. 하중 588

8.1.5. 설계방법 595

8.2. 보 및 낙차공 601

8.3. 만곡부 및 수충부 603

8.3.1. 만곡부 흐름특성 603

8.3.2. 편수위의 일반식 605

8.3.3. 횡방향 하상경사 606

9. 소하천 시설기준 개선 안 612

참고문헌 626

소하천 방재시설 기준 연구 12

표 2.1. 국내·외 기술수준 비교표 20

표 3.1. 유역면적 비교 27

표 3.2. 유로연장 비교 27

표 3.3. 평균경사 비교 28

표 3.4. 평균고도 비교 28

표 3.5. 하상경사 비교 29

표 3.6. LAYER 정의 44

표 3.7. LAYER 정의(계속) 45

표 3.8. LAYER 정의(계속) 46

표 3.9. 속성정보 목록 48

표 3.10. 시도별 소하천정비현황(1995~2000년(1995~200년)) 78

표 3.11. 하천규모별 정비율 79

표 3.12. 최근 5년간 소하천 피해액(피해약) 및 복구액 현황 83

표 3.13. 기본계획 조사시의 측량계획 85

표 3.14. 실시설계 조사시의 측량계획 85

표 3.15. 수문학적 토양군의 분류 89

표 3.16. 유출곡선지수(AMC-II 조건) 91

표 3.17. 유출곡선지수(AMC-II)(계속) 92

표 3.18. AMC 조건별 선행강수량의 크기 93

표 3.19. 토지피복도의 분류 94

표 3.20. 토지피복도의 대분류·중분류·세분류 항목 및 코드 95

표 3.21. 토지 이용도에 따른 합리식의 유출계수 범위 96

표 3.22. 토지 이용도에 따른 합리식의 유출계수 범위(계속) 97

표 3.23. 합리식 유출계수의 지형과 지질에 따른 보정(Stephenson, 1981) 97

표 3.24. 빈도별 홍수량산정시 합리식이 채택된 사례(양산시 소하천정비종합계획) 99

표 3.25. 농경지(밭, 논)에 따른 합리식의 유출계수 범위(예) 100

표 3.26. 도시 하수관망 해석모형 특징 비교표 106

표 3.27. 허용소류력 109

표 3.28. 돌쌓기공법의 구분 112

표 3.29. 소하천에 적용된 호안공법 사례 113

표 3.30. 소하천에 적용된 호안공법 사례(계속) 114

표 3.31. 비탈경사의 표준(예) 117

표 3.32. 투자우선순위 선정을 위한 적용기준 121

표 3.33. 세부 기준의 상대가치화 방법 121

표 3.34. Overview of the weather stations 129

자연재해저감기술개발사업에 관한 연구과제(세부과제 "소하천 계획(설계) 수문량 설정 및 하도 설계기법에 관한 연구") 314

〈표 2.1〉 주요 수공구조물의 설계빈도(한국수자원학회, 2005) 321

〈표 2.2〉 하천의 설계빈도(한국수자원학회, 2005) 321

〈표 2.3〉 소하천 치수계획에 대한 설계지침(행정자치부, 1999) 322

〈표 2.4〉 소하천 수공구조물의 설계빈도(건설부, 1993) 323

〈표 2.5〉 일본의 중소하천의 설계빈도(일본 건설성 하천국, 1990) 324

〈표 3.1〉 각국의 설계기준과 설계재현 빈도(이원환, 1995) 326

〈표 3.2〉 고정시간-임의시간 환산계수 327

〈표 3.3〉 대상자료 크기와 재현기간에 대한 초과확률의 평균치 331

〈표 3.4〉 빈도해석 방법 선정 기준(T≤30) 331

〈표 3.5〉 빈도해석 방법 선정 기준(T≥30) 332

〈표 3.6〉 최적분포형을 Gumbel로 선정시 매개변수 334

〈표 3.6〉 최적분포형을 Gumbel로 선정시 매개변수 (계속) 335

〈표 3.7〉 최적분포형을 GEV로 선정시 매개변수 335

〈표 3.7〉 최적분포형을 GEV로 선정시 매개변수 (계속) 336

〈표 3.8〉 최적분포형을 Gumbel로 채택시 매개변수 337

〈표 3.8〉 최적분포형을 Gumbel로 채택시 매개변수 (계속) 338

〈표 3.8〉 최적분포형을 Gumbel로 채택시 매개변수 (계속) 339

〈표 3.8〉 최적분포형을 Gumbel로 채택시 매개변수 (계속) 340

〈표 3.8〉 최적분포형을 Gumbel로 채택시 매개변수 (계속) 341

〈표 3.8〉 최적분포형을 Gumbel로 채택시 매개변수 (계속) 342

〈표 3.9〉 최적분포형을 GEV 선정 시 매개변수 343

〈표 3.9〉 최적분포형을 GEV 선정 시 매개변수 (계속) 344

〈표 3.9〉 최적분포형을 GEV 선정 시 매개변수 (계속) 345

〈표 3.9〉 최적분포형을 GEV 선정 시 매개변수 (계속) 346

〈표 3.9〉 최적분포형을 GEV 선정 시 매개변수 (계속) 347

〈표 3.9〉 최적분포형을 GEV 선정 시 매개변수 (계속) 348

〈표 4.1〉 수문관측소 현황(국토해양부, 2007) 354

〈표 4.1〉 수문관측소 현황(국토해양부, 2007)(계속) 355

〈표 4.2〉 불일치 통계치에 대한 한계값(Hosking, Wallis) 357

〈표 4.3〉 21개 지점 L-모멘트비 결과 및 불일치 척도 359

〈표 4.3〉 21개 지점 L-모멘트비 결과 및 불일치 척도 (계속) 360

〈표 4.3〉 21개 지점 L-모멘트비 결과 및 불일치 척도 (계속) 361

〈표 4.4〉 15개 지점 L-모멘트비 결과 및 불일치 척도 362

〈표 4.4〉 15개 지점 L-모멘트비 결과 및 불일치 척도(계속) 363

〈표 4.4〉 15개 지점 L-모멘트비 결과 및 불일치 척도(계속) 364

〈표 4.5〉 강우지속기간별 이질성 척도 369

〈표 4.6〉 적합도 검정 결과 370

〈표 4.7〉 확률 강우량(지속기간 1시간) 371

〈표 4.8〉 확률 강우량(지속기간 2시간) 372

〈표 4.9〉 확률 강우량(지속기간 3시간) 373

〈표 4.10〉 확률 강우량(지속기간 6시간) 374

〈표 4.11〉 확률 강우량(지속기간 12시간) 375

〈표 4.12〉 확률 강우량(지속기간 24시간) 376

〈표 4.13〉 적합도검정결과 377

〈표 4.14〉 지점빈도해석과 지역빈도해석의 확률강우량 비교 377

〈표 5.1〉 상촌1천 적용사례 (지방1급하천, 영월군 남면 조전1, 2리) 380

〈표 5.2〉 영월군 유역수문특성자료 381

〈표 5.3〉 계획하폭 산정 경험식 382

〈표 5.4〉 계획하폭과 각 매개변수간의 상관관계 분석 383

〈표 5.5〉 기존 경험식과 유도된 방정식의 비교 384

〈표 5.6〉 가상 유역면적, 하상경사, 조도계수에 따른 제안식 비교 385

소하천 방재시설 기준에 관한 연구과제(세부과제 "소하천 시설물의 치수안전성 및 방재성 강화 기준에 관한 연구") 398

표 1. 개발요소에 대한 기술격차 407

표 2. 소하천의 규모(소하천시설기준, 1999) 408

표 3. 하천, 소하천 피해현황(재해연보) 410

표 4. 피해교량의 피해원인 분류 418

표 5. 피해교량(재해복구조서) 430

표 6. 피해교량의 견장장별 분포 433

표 7. 피해교량의 교장별 분포 433

표 8. 도로분류별 피해교량 구성비(재해복구조서) 434

표 9. 영향인자에 따른 시나리오 435

표 10. 교각의 개수와 개도비 435

표 11. 교량에 대한 민감도 분석결과 438

표 12. 흐름상태에 따른 수로경사의 분류 및 특성치 관계 441

표 13. 암거흐름 분류 : 사각형 암거 443

표 14. 암거흐름 지배방정식 451

표 15. 경사산정(설계유형 A) : 사각형 암거 452

표 16. 유량산정(설계유형 B) : 사각형 암거 454

표 17. 암거폭 산정(설계유형 C-b) : 사각형 암거 456

표 18. 암거높이 산정(설계유형 C-h) : 사각형 암거 458

표 19. 암거높이 산정 양해법 근사식(설계유형 C-h) : 사각형 암거 458

표 20. 보 및 낙차공 파괴 원인별 유형 분류 기준 465

표 21. 만곡부 피해지점의 기하학적 특성값 489

표 22. 만곡부 비피해 지점의 기하학적 특성값 490

표 23. 실험수로 제원 495

표 24. 만곡수로의 수심비 495

표 25. 격자망 제원(Rc/B) 497

표 26. 지류유입각에 따른 수위 증가율 499

표 27. 침식제어 기법 520

표 28. 폴란드 기준에 의한 전형적인 말뚝의 직경 525

표 29. 섶단의 치수 525

표 30. 석재에 따른 적용가능한 하천시공기법 527

표 31. 어종별 생태특징 560

표 32. 어종별 생태특징 560

표 33. 국외 최대 유송잡물 추정치의 설계사례 585

표 34. 하중의 종류 588

표 35. 재료의 단위중량(kgf/㎥) 588

표 36. 교각에 작용하는 유수압의 산정 방법 589

표 37. 원형 교각의 항력계수 591

표 38. Apelt와 Isaacs가 제안한 교각의 단면형상비와 정의 591

표 39. 교각의 형상에 따른 항력계수 592

표 40. 유수의 유입 각도에 따른 양력계수 592

표 41. 교각의 저항계수, K 593

표 42. 유송물에 의한 충격하중 산정 방법 593

표 43. 유송잡물의 집적에 의한 동수압 산정 방법 594

표 44. 교각세굴방지공법의 종류와 특징 599

표 45. 연결호안 최대유속비 실험식 602

표 46. 연결호안 설치구간 제안식 603

표 47. 횡방향 하상경사 비례계수 607

표 48. 수치모의 조건 608

표 49. 수치모의 결과에 의한 Lp 611

표 50. 블라이(Bligh) 계수 619

표 51. 직선하천의 상·하류 바닥보호공 길이 산정공식표 621

표 52. 블록식 보강토 옹벽과 돌바구니 옹벽의 차이 622

표 53. 연결호안 설치구간 제안식 624

소하천 방재시설 기준 연구 14

그림 3.1. 유역면적 24

그림 3.2. 유로연장 25

그림 3.3. 평균경사 25

그림 3.4. 평균고도 26

그림 3.5. 하상경사 26

그림 3.6. 고바야시 오오미조 33

그림 3.7. 노가와 33

그림 3.8. 오오시오 배수로 34

그림 3.9. 다이 천 34

그림 3.10. 노다천 시미즈 간선 정비 사업 35

그림 3.11. 하천정보 유형별 분류 - 예)하천제방도[원문불량;p.28] 43

그림 3.12. 속성정보의 분류 47

그림 3.13. 시스템 기능측면 52

그림 3.14. 시스템 구성측면 52

그림 3.15. 메인화면 54

그림 3.16. 소하천 검색 55

그림 3.17. 하천개황 조회 55

그림 3.18. 시설물 조회 56

그림 3.19. 제방조회 57

그림 3.20. 도면 출력 58

그림 3.21. 영상 출력 58

그림 3.22. 메인화면 59

그림 3.23. 하천등급별 하천 검색 60

그림 3.24. 행정구역별 하천검색 61

그림 3.25. 빠른검색 - 지적검색 62

그림 3.26. 빠른검색 - 시설물검색 63

그림 3.27. 빠른검색 - 제방검색 63

그림 3.38. 하천현황 - 개수현황 64

그림 3.29. 하천현황 - 시설물현황 65

그림 3.30. 하천현황 - 하천개황 66

그림 3.31. 도면출력 67

그림 3.32. 영상출력 67

그림 3.33. 화면 레이아웃 변경 68

그림 3.34. 소하천 형태 74

그림 3.35. 단계별 수립절차 74

그림 3.36. 계획수립 절차 76

그림 3.37. 전국 소하천 현황 77

그림 3.38. 시도별 소하천정비현황(1995~2006년) 79

그림 3.39. 하천규모별 정비율 80

그림 3.40. 최근 5년간 피해 현황 81

그림 3.41. 호안유실 피해 81

그림 3.42. 토사유출 피해 82

그림 3.43. 교량 피해 82

그림 3.44. 최근 5년간 소하천 피해액 및 복구액 현황 83

그림 3.45. 정비계획수립시 측량여부에 따른 성과 비교 86

그림 3.46. NDMS 풍수해 관리시스템 87

그림 3.47. 표준침투율곡선 103

그림 3.48. SWMM의 구성 105

그림 3.49. RUNOFF 블록의 계산과정 흐름도 105

그림 3.50. 하상정리 및 호안 예취작업 실시 직후 및 복원된 하천의 모습 108

그림 3.51. 사면 및 하상의 한계소류력 108

그림 3.52. 사석호안 단면도 110

그림 3.53. 코코넛 롤을 이용한 근저공 110

그림 3.54. 거석을 이용한 근저공 111

그림 3.55. 돌망태를 이용한 근저공 111

그림 3.56. 통합지표 도출 절차 122

그림 3.57. 유역종합치수계획 수립작업의 흐름도 123

그림 3.58. 사방댐 설치 전경 126

그림 3.59. Elevation-Quantiles correlation per return period 130

그림 3.60. Comparison between linear regression and spatial interpolation techniques 131

그림 3.61. Comparison between linear regression and spatial interpolation techniques (Continued) 131

소하천 관리 시스템 - 사용자 지침서 - 144

〈그림 2.1. 로그인 화면〉 149

〈그림 2.2. 메인화면〉 150

〈그림 3.1. 하천수계(하천등급)를 이용한 하천검색〉 152

〈그림 3.2. 행정구역을 이용한 하천선택〉 154

〈그림 3.3. 빠른 지적검색 수행과정〉 155

〈그림 3.4. 빠른 시설물검색 수행과정〉 156

〈그림 3.5. 빠른 제방검색 수행과정〉 157

〈그림 4.1. 하천개황 정보화면〉 159

〈그림 4.2. 하천개황 정보수정 화면〉 161

〈그림 4.3. 하천현황대장(하천개황)〉 162

〈그림 4.4. 측량기준점현황 정보화면〉 163

〈그림 4.5. 측량기준점현황 정보수정 화면〉 164

〈그림 4.6. 하천현황대장(측량기준점현황)〉 165

〈그림 4.7. 하천수상황 정보화면〉 166

〈그림 4.8. 하천수상황 정보수정 화면〉 167

〈그림 4.9. 하천현황대장 (하천수상황)〉 168

〈그림 4.10. 하천구역현황 정보화면〉 169

〈그림 4.11. 하천구역현황 정보수정 화면〉 170

〈그림 4.12. 하천현황대장(하천구역현황)〉 171

〈그림 4.13. 하천예정지현황 정보화면〉 172

〈그림 4.14. 하천예정지현황 정보수정 화면〉 173

〈그림 4.15. 하천현황대장(하천예정지현황)〉 174

〈그림 4.16. 홍수관리구역현황 정보화면〉 175

〈그림 4.17. 하천현황대장(홍수관리구역현황)〉 176

〈그림 4.18. 하천개수현황 정보화면〉 177

〈그림 4.19. 하천개수현황 정보수정 화면〉 179

〈그림 4.20. 하천현황대장(하천개수현황)〉 180

〈그림 4.21. 하천시설관리대장조서(제방 및 호안)〉 180

〈그림 4.22. 구역결정조서 정보화면〉 181

〈그림 4.23. 구역결정조서 정보수정 화면〉 182

〈그림 4.24. 구역결정조서〉 183

〈그림 4.25. 지번조서 정보화면〉 184

〈그림 4.26. 지번조서 정보수정 화면〉 185

〈그림 4.27. 구역의 지번외 조서〉 186

〈그림 4.28. 공사관리 정보화면〉 187

〈그림 4.29. 제방공사기록대장〉 188

〈그림 4.30. 인허가관리 정보화면〉 189

〈그림 4.31. 인허가현황 정보수정 화면〉 190

〈그림 4.32. 시설물현황 정보화면〉 191

〈그림 4.33. 시설물현황 정보수정 화면〉 192

〈그림 4.34. 하천시설관리대장조서(배수펌프장)〉 193

〈그림 4.35. 댐 설치현황 정보화면〉 194

〈그림 4.36. 댐 설치현황 정보수정 화면〉 195

〈그림 4.37. 수리대장조서(댐/하구둑 설치현황)〉 196

〈그림 4.38. 하천시설관리대장조서(댐, 홍수조절지, 저류지)〉 197

〈그림 4.39. 하천수사용시설현황 정보화면〉 198

〈그림 4.40. 하천수사용시설현황 정보수정 화면〉 199

〈그림 4.41. 수리대장조서(하천수사용시설현황)〉 200

〈그림 5.1. 통계 정보화면〉 202

〈그림 5.2. 통계현황출력〉 203

〈그림 5.3. 측점별 하천계획제원〉 204

〈그림 5.4. 측점별 홍수위〉 204

〈그림 5.5. 지적 편입면적 분석 과정〉 205

〈그림 5.6. 부속물 위치현황 분석 과정〉 206

〈그림 6.1. 지도관리 툴바〉 208

〈그림 6.2. 사용자관리 정보화면〉 208

〈그림 6.3. 관심영역관리 정보화면〉 209

〈그림 6.4. 출력기능 수행과정〉 210

〈그림 6.5. 지적개체 속성정보〉 212

〈그림 6.6. 레이아웃 변경기능〉 214

〈그림 6.7. 레이어관리〉 215

〈그림 6.8. 레이어제어〉 216

〈그림 6.9. 레이어의 표시여부 변경〉 217

〈그림 6.10. 축척설정 정보화면〉 218

〈그림 6.11. 점형 심볼설정 정보화면〉 219

〈그림 6.12. 선형 심볼설정 정보화면〉 219

〈그림 6.13. 면형 심볼설정 정보화면〉 220

〈그림 6.14. 문자형 심볼설정 정보화면〉 220

〈그림 6.15. 도면관리〉 221

〈그림 6.16. 항공영상 적용화면〉 222

자연재해저감기술개발사업에 관한 연구과제(세부과제 "소하천 계획(설계) 수문량 설정 및 하도 설계기법에 관한 연구") 316

〈그림 3.1〉 고정시간-임의시간 환산계수 328

〈그림 4.1〉 연구대상지역 위치도 353

〈그림 4.2〉 춘천시 주변 중권역도 355

〈그림 4.3〉 수문관측소 현황도 355

〈그림 4.4〉 불일치 척도의 기본 개념(Hosking, Wallis) 357

〈그림 4.5〉 L-moment ratios(지속기간 1시간) 365

〈그림 4.6〉 L-moment ratios(지속기간 2시간) 365

〈그림 4.7〉 L-모멘트비(지속기간 3시간) 365

〈그림 4.8〉 L-moment ratios(지속기간 6시간) 366

〈그림 4.9〉 L-moment ratios(지속기간 9시간) 366

〈그림 4.10〉 L-moment ratios(지속기간 12시간) 366

〈그림 4.11〉 L-moment ratios(지속기간 15시간) 367

〈그림 4.12〉 L-moment ratios(지속기간 18시간) 367

〈그림 4.13〉 L-moment ratios(지속기간 24시간) 367

〈그림 4.14〉 L-moment ratios(지속기간 48시간) 368

〈그림 5.1〉 계획하폭과 유역면적 상관관계 383

〈그림 5.2〉 계획하폭과 유로연장 상관관계 383

〈그림 5.3〉 계획하폭과 계획홍수량 상관관계 383

〈그림 5.4〉 계획하폭과 하상경사 상관관계 383

〈그림 5.5〉 식(5)에 대한 하폭 검정 384

〈그림 5.6〉 식(6)에 대한 하폭 검정 384

〈그림 5.7〉 식(7)에 대한 하폭 검정 384

〈그림 5.8〉 식(8)에 대한 하폭 검정 384

소하천 방재시설 기준에 관한 연구과제(세부과제 "소하천 시설물의 치수안전성 및 방재성 강화 기준에 관한 연구") 400

그림 1. 유송잡물에 의한 통수단면 저하 412

그림 2. 집적된 부유물로 인한 교량 파괴 412

그림 3. 집적된 부유물로 인한 교량 파괴 412

그림 4. 다수의 교각을 가진 교량의 사례 413

그림 5. 만곡부에 설치된 교량에 의한 피해 사례 413

그림 6. 복합형식의 교량이 설치된 경우 피해전경 414

그림 7. 하천폭보다 좁아진 교대폭을 가진 교량 414

그림 8. 제방고보다 교량 상판이 낮게 설치된 교량 피해 414

그림 9. 중복된 교량 설치 및 복개공사로 인한 통수능 감소 415

그림 10. (a) 교량의 유입부로부터 상승하는 수면곡선을 가진 하천수로내의 등류수심(YN)에서 등류에 대한 대략적인 종단면. (b) 흐름이 어떻게 분리되며, 어떻게 폭Ccb를 가진 수축단면을 형성하는지 보여주는 평면도.(이미지참조) 423

그림 11. 기본수준면선 위로 측정된 수면고를 가진 등류수심에서 등류에 대한 수면상승고(H1*=Y₁-YN)와 위압수두손실의 정의. 각 단면에 해당되는 수심은 Y₁, Y₂, Y₃등 이다. 단면 1과 3 사이의 수위차가 △h=H1*+S0L1-3+H3*임(이미지참조) 425

그림 12. 이상(異常)수심(abnormal depth)에서 부등류에 대한 수면상승고와 위압수두손실의 정의. 수면상승고(H1A*)는 단면 1에서 수면고의 차이(즉, 각각 H₁ 그리고 H1A)로 부터 얻어진다. 수면고는 기본수준면으로부터 측정되고,...(이미지참조) 426

그림 13. 교각을 지나는 수축부의 흐름 427

그림 14. Nagler의 교각 공식에서 β의 값 428

그림 15. 배수율과 유속을 이용한 배수위 도해도 429

그림 16. 교각사이를 흐르는 상류의 배수위 430

그림 17. 준공연도별 피해교량 분포도 434

그림 18. 교량유무에 따른 수심증가곡선 436

그림 19. 흐름수축부 길이와 경간장과의 비에 따른 수심곡선 436

그림 20. 왜곡도에 따른 수심곡선 437

그림 21. 교각 형상계수에 따른 수심곡선 437

그림 22. 암거에서의 월류 및 제방유실 439

그림 23. 암거내 수리단면 442

그림 24. 사각형 암거 입구부 수심 산정 447

그림 25. 암거내에서의 흐름상태 447

그림 26. 사각형 암거 입구부 수심 산정식의 정밀해와 근사해 448

그림 27. 사각형 암거 Type I-1 유량 산정식 비교 453

그림 28. Type II-3,4 암거높이 산정식의 정밀해와 근사해 비교 459

그림 29. 제방고보다 교량 상판이 낮게 설치된 교량 피해 460

그림 30. 조사지점 우안 콘크리트 연결옹벽 부근 콘크리트 붙임공 파괴 462

그림 31. 주요인별 보 및 낙차공 파괴 유형 467

그림 32. 2차요인을 포함한 보 및 낙차공 파괴 유형 468

그림 33. 보의 흐름 471

그림 34. 보의 유량계수(Robertson 등, 1988) 471

그림 35. 수중 보의 흐름(Knapp, 1960) 472

그림 36. 낙차공에서 자유 월류낙하 472

그림 37. 낙차공 밑 하상유지공 474

그림 38. 낙차공의 하류하상 유지공에서 에너지 손실(Henderson, 1966) 474

그림 39. 임계수심에 대한 계산값과 실험값 비교 477

그림 40. 공급유량에 따른 유량계수 비 477

그림 41. 도수발생거리 비교 479

그림 42. 도수길이 비교 479

그림 43. 소하천 만곡부 제방 붕괴 상황 481

그림 44. 만곡수충부의 제방파괴 사례 481

그림 45. 만곡 수충부 도로 유실 상황(삼성뱅지연구소, 2006) 482

그림 46. 만곡 수충부의 도로 유실 사례 482

그림 47. 만곡부에 사용된 기하학적 표현들 484

그림 48. 하천 만곡부의 흐름 485

그림 49. 만곡부 단면의 수직선상의 평균유소분포(NHI, 1990) 488

그림 50. 유량과 사행파장의 관계 490

그림 51. 유량과 사행대의 관계 491

그림 52. 유량과 곡률반경의 관계 491

그림 53. 유량과 하폭과의 관계 492

그림 54. 유량과 하천연장의 관계 492

그림 55. 유량과 사행비의 관계 493

그림 56. 유량과 만곡도의 관계 493

그림 57. 유량과 하상경사의 관계 494

그림 58. 유량과 곡률비의 관계 494

그림 59. 하폭/수심 비의 변화에 따른 최대유속선의 변화 496

그림 60. 곡률비의 변화에 따른 최대유속선의 변화 497

그림 61. 하폭과 곡률반경의 관계 498

그림 62. 유량과 곡률비의 관계 498

그림 63. 양재천에 적용된 사석갯버들 호안공법의 모습 500

그림 64. 양재천의 복원 전후의 모습 [복원 전 (좌), 복원 후 (우)] 501

그림 65. 최근의 양재천 우면동 구간 (2006.10) 501

그림 66. V자 여울 설치 502

그림 67. 수제 설치 502

그림 68. 안양천의 물고기 502

그림 69. 습지 설치 502

그림 70. 엔츠강 자연형 공법 적영 전후의 모습 [시공 전 (좌), 복원 후 (중), (우)] 503

그림 71. 호토피아천 하천복원 전후의 모습 [복원 전 (좌), 복원 후 (우)] 504

그림 72. 핫토천 하천복원 전후의 모습 [복원 전 (좌), 복원 후 (우)] 505

그림 73. 핫토천 505

그림 74. 양재천 과천 구간 홍수 후 피해상황 506

그림 75. 홍수 전후의 하도 변화 [홍수 전 (좌), 홍수 후 (우)] 507

그림 76. 홍수 시 최하류 (좌)와 토사유입으로 인한 저수로 퇴적 (우) 507

그림 77. 공법적용 후 발생한 부분적 고수부지 세굴 508

그림 78. 하천공간 구분 509

그림 79. 직선 하도에서 일반적인 유속분포 512

그림 80. 상류 하상의 불규칙성과 하안조도에 의한 유속분포 512

그림 81. 사행하천에서 전단응력과 유속분포도 512

그림 82. 다양한 하도조건에 따른 유속분포 513

그림 83. 섬진강 지류 보성강 중류의 하도에서 큰돌 군과 다양한 흐름 513

그림 84. 만곡부 횡단면 흐름 개념 515

그림 85. 만곡부 세굴 및 퇴적부 515

그림 86. 사행하천의 특성 개략도 516

그림 87. 구조물에 따른 흐름과 서식처 상호작용 517

그림 88. 침식제어 개념과 대책 519

그림 89. 식생상태에 따른 조도계수 523

그림 90. 섶단의 형태 526

그림 91. 식생롤 529

그림 92. 잡석을 채운 식생롤 529

그림 93. 버드나무 가지 엮기 530

그림 94. 식생매트 530

그림 95. 사석 분급 지침(US Army Corps of Engineers, 1984) 531

그림 96. 사석 호안 532

그림 97. 돌붙임 532

그림 98. 수제 533

그림 99. 하중도 534

그림 100. 여울 534

그림 101. 하상보호공 535

그림 102. 고수부지 보강공 535

그림 103. 통나무사각방틀 536

그림 104. 통나무삼각방틀 536

그림 105. 사석 537

그림 106. 돌붙임 (메붙임) 537

그림 107. 돌망태 538

그림 108. 돌쌈지 538

그림 109. Gabion 539

그림 110. 버드나무엮기 540

그림 111. 하상 유지기법 541

그림 112. V자 여울 542

그림 113. 징검다리형 여울 542

그림 114. 수제 542

그림 115. 어도 543

그림 116. 피난처 544

그림 117. 어소 구조물 545

그림 118. 하중도 546

그림 119. 거석 546

그림 120. 위어 547

그림 121. 이동 방지물 548

그림 122. 나무 보호막 548

그림 123. 제방 경사안정과 식재 549

그림 124. 잔가지 채움 549

그림 125. 잔목 매트 550

그림 126. Coir roll 550

그림 127. 휴면 식생 식재 551

그림 128. 식생 Gabion 551

그림 129. 호안의 구조 554

그림 130. 식생정화법 개념도 559

그림 131. On-line 인공습지 562

그림 132. Off-line 인공습지 562

그림 133. 교각의 단면형상 정의 590

그림 134. 여러 가지 교각 형태에서 α에 대한 CD와 CL 591

그림 135. 식 (8.2.4) 이용시 유송잡물의 집적되는 단면과 형상 594

그림 136. 희생말뚝의 설치도 600

그림 137. 한계유속에 따른 바닥보호공 길이 602

그림 138. 만곡수로 단면도 604

그림 139. 만곡중심각 변화에 따른 유속분포(사다리꼴 단면) 608

그림 140. 만곡중심각 변화에 따른 유속분포(직사각형 단면) 609

그림 141. 단면형상과 조도계수 변화에 따른 L/B와 Lp/B 610

그림 142. Chen & Cotton의 Lp 611

그림 143. 호안의 구조 614

그림 144. 물받이의 에너지 감세의 효과를 위한 예 620

그림 145. 수문 문기둥 설치범위 625

초록보기 더보기

I. 제목

소하천 특성 분류 기준 및 하천정보 DB 구축

II.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ㆍ 국내 소하천 정비 및 관리 사례를 조사 분석

ㆍ 소하천 정비종합계획 상의 문제점을 분석 개선방안을 도출하고 적절한 정비 및 관리방향을 제시

ㆍ 소하천의 특성 인자 제시

ㆍ 소하천별 분류 기준 제시

ㆍ 新소하천방재시설기준 작성

ㆍ 소하천정비법 개정안 제시

ㆍ 소하천정보 데이터베이스의 기본 구축 및 운영방안 제시

III.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ㆍ 계획-설계-시공-유지관리의 차원에서의 문제점을 파악

ㆍ 행정구역별 소하천 현황 분석 및 지형적 특성 조사·분석

ㆍ 선진국의 하천분류 방법 조사하여 국내에의 적용성 검토

ㆍ 경사도, 하안침식도, 하폭 등 국내 소하천의 지형학적 특성 인자조사

ㆍ 영향인자 결정 및 분류 조건 제시

ㆍ 제시된 분류 조건에 따라 대표적인 소하천에 적용

ㆍ 선진국의 하천분류 방법 조사하여 국내에의 적용성 검토

ㆍ 수치모형을 이용하여 지형학적 인자가 소하천의 수리특성에 미치는 영향을 정량적으로 분석

ㆍ 소하천시설기준 작성

ㆍ 소하천정비법 개정안 제시

ㆍ 소하천정보 데이터베이스 기본안 구축 및 시범 지역에 적용

ㆍ 소하천정보 데이터베이스 운영방안 검토 및 최적안 제시

IV. 연구개발결과

ㆍ 소하천 재해의 종합적인 관리기술 개발

ㆍ 체계적·효율적 소하천 정보구축기술 개발

V.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ㆍ 소하천 정보 데이터베이스 구축을 통해 소하천과 관련된 제반의 사항을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관리

ㆍ 소하천에서 발생할 수 있는 재해를 예방, 대비, 대응, 복구하는데에 활용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1519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전자자료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