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방독면 규격기준 재설정 및 보급 확대 연구 / 소방방재청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소방방재청, 2009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전자자료
형태사항
32, 220 p. : 삽화, 사진 ; 30 cm
제어번호
MONO1201007211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간: 한국표준과학연구원
"'08 R&D 기반구축 사업"의 연구과제임
주관연구책임자: 허귀석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보고서 초록

요약문

SUMMARY

CONTENTS

목차

제1장 연구의 개요 33

제1절 연구의 필요성 33

1. 연구개발의 과학기술, 사회경제적 중요성 33

2. 앞으로의 전망 33

제2절 연구의 목표 및 내용 34

1. 연구의 목표 34

2. 연구의 목표 및 내용 34

3. 연구개발 추진체계 35

제3절 연구의 방법 36

제2장 화생방무기의 개념 및 유형별 사고사례 37

제1절 화생방 무기의 개념 및 특성 37

1. 화학무기 37

가. 개요 37

나. 특성 38

다. 종류 38

라. 화학무기 동향 43

마. 공격의 양상 43

바. 개인 방호요령 44

2. 생물학무기 45

가. 개요 45

나. 특성 46

다. 종류 46

라. 생물학 무기동향 47

마. 공격의 양상 48

바. 개인 방호요령 48

3. 핵·방사능무기 49

가. 개요 49

나. 공격의 양상 51

4. 화생방무기 공격 시나리오 52

제2절 유형별 사고사례 56

1. 화학사고 56

가. 일반화학사고 56

나. 화학공격사례 58

다. 피해유형 61

2. 생물학사고 63

가. 2001 탄저공격분석 64

나. 종류별사례 65

다. 기타 72

3. 핵·방사능사고 72

가. 핵무기 72

나. 원자력발전소 73

다. 산업체사고 74

라. 국내사고 76

마. 의료용 사고 77

제3장 방독면 보급의 필요성 78

제1절 방독면 보급현황 78

1. 국내 보급현황 78

가. 개요 78

나. 보급기준 78

다. 종류 및 특성 79

라. 보급현황 79

마. 보관 81

바. 사용 제한 82

사. 정화통 교환시기 82

아. 문제점 83

2. 국외 보급현황 83

가. 스웨덴 83

나. 체코 84

다. 헝가리 85

라. 이스라엘 86

마. 스위스 88

바. 일본 90

사. 미국 92

아. 기타 94

제2절 방독면 보급의 필요성 94

1. 북한의 위협 94

가. 화학전 96

나. 생물학전 99

다. 핵·방사능전 103

라. 화생방무기 정보의 출처 104

마. 테러위협 106

2. 주요 위협 107

가. 화학 및 생물무기 방어계획 보고서 107

나. 전시 화학무기 사용위협 107

다. 화생방전 위협 잠재 108

라. 화생방 테러 위협 108

마. 비재래식 무기의 위협 109

바. 방사능사고 위협 109

3. 기타 평시 위협 110

가. 생화학물질 유출사고 110

나. 방사능물질 및 방사성동위원소의 유출사고 110

다. 대형화재 발생 시 유출되는 생화학물질 110

제3절 소결론 110

제4장 방독면 도입의 필요성에 관한 실증조사 113

제1절 개요 113

제2절 조사항목 113

제3절 조사방법 114

제4절 조사내용 114

1. 방문 설문조사 114

가. 인구통계학적 문항 114

나. 화생방 관련 문항 117

다. 방독면 관련 문항 123

라. 소결론 130

2. 인터넷 설문조사 131

가. 인구통계학적 문항 131

나. 보호장비 관련 문항 136

다. 화생방 관련 문항 139

라. 방독면 관련 문항 147

마. 소결론 155

3. 교차분석결과 155

가. 화생방에 관련된 문항 155

나. 방독면에 관련된 항목 171

다. 소결론 184

4. 결론 186

제5장 일반방독면 규격 기준 재설정 187

제1절 일반방독면 정화통의 현재 규격 검토 188

1. 일반방독면 성능 188

2. 일반방독면 정화통의 규격 188

가. 건조 감량 189

나. 공기 저항성 189

다. DOP 연기 투과율 189

라. PS 가스수명 190

제2절 해외 유사 규격과의 비교 검토 193

1. 유럽 규격 193

2. 미국 국방 규격 197

3. 미국 NIOSH 규격 198

제3절 가스 수명 기준에 대한 운동생리학적 검토 201

제4절 일반방독면 규격 기준안 204

제6장 일반방독면의 저장수명 평가 205

제1절 일반방독면 정화통의 저장수명 평가 결과 205

제2절 정화통의 개봉 시간에 따른 성능 변화 214

1. 시험 결과 214

2. 정화통 포장지 개선안 214

제7장 성능 검사 불합격 방독면의 활용 방안 218

제1절 정화통의 폐기 방법 218

제2절 방독면의 활용 방안 220

1. 학교 또는 교육시설에의 교재용 220

2. 민방위 대원 교재용 220

제8장 방독면 대체제품 및 연구개발 동향 222

제1절 미국의 방독면 개발 동향 222

참고문헌 225

부록 230

표 2-1. 재래식 무기와 화생방 무기의 살상효과 비교 37

표 2-2. 질식작용제의 종류 39

표 2-3. 혈액작용제의 종류 40

표 2-4. 신경작용제의 종류 40

표 2-5. 수포작용제의 종류 41

표 2-6. 구토작용제의 종류 42

표 2-7. 최루작용제의 종류 42

표 2-8. 공격가능 화학무기의 종류 및 특성 44

표 2-9. 화학무기의 보호 및 응급처치방법 44

표 2-10. 보호장비 등급수준 45

표 2-11. 생물학 작용제의 종류 47

표 2-12. 생물학 무기 보유국가 48

표 2-13. 생물학작용제 방호율 48

표 2-14. 생물학 작용제의 크기 49

표 2-15. 핵무기의 발달 역사 50

표 2-16. 방사선 피폭 시 방사선 장해 50

표 2-17. 국내 사고사례 56

표 2-18. 국외 사고사례 57

표 2-19. 화학공격 사례 및 화학무기 발전과정 58

표 2-20. 신경제 사린(GB) 공격시 오염 사상자수(1) 61

표 2-21. 신경제 사린(GB) 공격시 오염 사상자수(2) 62

표 2-22. 신경제 소만(TGD)/VX 공격시 오염 사상자수 62

표 2-23. 수포제 HD 공격시 오염 사상자수 63

표 2-24. 무기별 치사율 비교 63

표 2-25. 화학공격에 미치는 기상의 영향 64

표 2-26. 생물학 작용제의 종류별 사례현황 (1901 ~ 1998) 65

표 2-27. 동경 지하철 사린가스 사고 일시 및 사고내용 69

표 3-1. 방독면의 종류 및 보급대상 79

표 3-2. 분대별 보유 장비 기준 79

표 3-3. 방독면 총괄보급현황 80

표 3-4. 민방위대별 방독면 보급현황 81

표 3-5. 지방자치단체 일반방독면 보급현황 81

표 3-6. 국내 방독면 수명연한 82

표 3-7. 화생방전 및 테러 시 보호와 관련된 고려사항 83

표 3-8. 일본의 화생방대응관련 정책 91

표 3-9. 화생방 공격에 대한 매뉴얼 92

표 3-10. 화학전 수행능력 발전단계 97

표 3-11. 북한 생물무기 연구 및 생산시설 99

표 3-12. 재래식 및 화생방무기의 살상률 비교 103

표 3-13. 제2차 세계대전이후 화학무기사용현황 108

표 4-1. 성별구분 115

표 4-2. 연령구분 115

표 4-3. 생활수준별 구분 115

표 4-4. 주거형태별 구분 116

표 4-5. 거주기간별 구분 116

표 4-6. 군복무여부별 구분 117

표 4-7. 화생방에 대한 숙지 여부에 관한 설문 117

표 4-8. 화생방 사고(공격)에 관한 설문 118

표 4-9. 화생방에 대한 조치요령에 관한 설문 118

표 4-10. 우리나라의 화생방 대비책에 관련한 설문 119

표 4-11. 국민들의 화생방에 대한 의식에 관한 설문 120

표 4-12. 국민들의 화생방에 대한 의식에 관한 설문 120

표 4-13. 화생방 대응활동의 필요성에 관한 설문 121

표 4-14. 화생방 대응요령의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설문 122

표 4-15. 화생방 관련자료 검토의 여부에 관한 설문 122

표 4-16. 화생방 관련자료의 효율성 관련 123

표 4-17. 방독면에 대한 사용법의 숙지여부에 관한 설문 124

표 4-18. 화생방장비 보완의 필요성에 관한 설문 124

표 4-19. 방독면의 필요성에 관한 설문 125

표 4-20. 방독면의 보급의 방법에 관한 설문 126

표 4-21. 방독면이 필요없다고 응답한 응답자의 이유에 관한 설문 126

표 4-22. 방독면 지급시 보급의 여부에 관한 설문 127

표 4-23. 방독면 구입가능시 구입의 의사에 관한 설문 128

표 4-24. 방독면 보급에 관련한 국민들의 안전의식에 관련한 설문 128

표 4-25. 신축주택 관련한 방독면 보급의 의무화에 관련한 설문 129

표 4-26. 성별에 관한 항목 131

표 4-27. 연령에 관한 항목 132

표 4-28. 직업에 관한 항목 132

표 4-29. 주거형태에 관한 항목 133

표 4-30. 주거기간에 관한 항목 133

표 4-31. 군복무 여부에 관한 항목 134

표 4-32. 연간소득 여부에 관한 항목 135

표 4-33. 주거지역 여부에 관한 항목 135

표 4-34. 방독면 소지 여부에 관한 항목 136

표 4-35. 방독면 관련하여 소지동기 여부에 관한 항목 136

표 4-36. 소화기 비치 여부에 관한 항목 137

표 4-37. 소화기 비치 이유에 관한 항목 138

표 4-38. 일상 생활 중 가장 큰 위협 138

표 4-39. 화생방 교육 여부에 관한 항목 139

표 4-40. 화생방 교육 장소에 관한 항목 139

표 4-41. 화생방사태의 숙지 여부에 관한 항목 140

표 4-42. 화생방 테러의 발생여부의 인식에 관한 항목 141

표 4-43. 화생방 테러의 발생시 국민의 대처에 관한 항목 141

표 4-44. 화생방 사태시 준비물품에 관한 항목 142

표 4-45. 화생방 교육의 필요성에 관한 항목 143

표 4-46. 화생방 교육시 장소에 관한 항목 144

표 4-47. 화생방사태 발생시 조치요령 관한 항목 144

표 4-48. 국민들의 화생방 의식수준에 관한 항목 145

표 4-49. 국민들의 화생방 의식수준이 낮은 이유에 관한 항목 145

표 4-50. 우리나라 화생방 사태대비의 홍보에 관한 항목 147

표 4-51. 휴전선 인근 주민의 방독면 지급에 관한 항목 147

표 4-52. 화생방대비 방독면의 필요성에 관한 항목 148

표 4-53. 방독면 필요자의 보급의 방법에 관한 항목 149

표 4-54. 방독면 불필요자의 이유에 관한 항목 150

표 4-55. 방독면 사용법 숙지여부에 관한 항목 151

표 4-56. 방독면 신뢰도에 관한 항목 151

표 4-57. 방독면 구입에 관한 항목 152

표 4-58. 방독면 구입에 관한 항목 153

표 4-59. 방독면 보급의 안전의식에 관한 항목 153

표 4-60. 신축주택관련 방독면 보급의무에 관련한 항목 154

표 4-61. 생활수준에 따른 화생방지식 분석 157

표 4-62. 주거형태에 따른 화생방지식 분석 157

표 4-63. 화생방지식에 대한 군복무에 따른 분석 158

표 4-64. 불안감에 대한 연령별에 따른 분석 159

표 4-65. 불안감에 대한 생활수준에 따른 분석 160

표 4-66. 불안감에 대한 군복무에 따른 분석 161

표 4-67. 신고조치요령에 대한 생활수준에 따른 분석 162

표 4-68. 신고조치요령에 대한 군복무에 따른 분석 162

표 4-69. 화생방대비책에 대한 생활수준에 따른 분석 163

표 4-70. 화생방대비책에 대한 군복무에 따른 분석 164

표 4-71. 국민들의 의식수준이 낮은 이유에 대한 군복무에 따른 분석 165

표 4-72. 행동요령의 체계적인 교육에 대한 생활수준에 따른 분석 166

표 4-73. 체계적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도움정도의 연령에 따른 분석 167

표 4-74. 체계적인 교육의 필요성에 대한 도움정도의 생활수준에 따른 분석 168

표 4-75. 자료검토 관심정도에 대한 도움정도의 연령에 따른 분석 169

표 4-76. 화생방자료의 도움정도에 대한 생활수준에 따른 분석 170

표 4-77. 화생방자료의 도움정도에 관한 항목을 군복무별 분석 171

표 4-78. 방독면 사용법 숙지정도에 대한 연령에 따른 분석 172

표 4-79. 방독면 사용법 숙지정도에 대한 생활수준에 따른 분석 173

표 4-80. 방독면 사용법 숙지정도관한 항목을 군복무별로 파악한 결과 173

표 4-81. 화생방장비 보완필요성에 대한 생활수준에 따른 분석 174

표 4-82. 화생방장비보완의 필요성에 대한 군복무에 따른 분석 175

표 4-83. 화생방대비 방독면의 필요성에 대한 생활수준에 따른 분석 176

표 4-84. 화생방대비 방독면의 필요성에 대한 거주기간에 따른 분석 177

표 4-85. 구매나 보급방법에 대한 연령에 따른 분석 178

표 4-86. 구매나 보급방법의 군복무에 따른 교차분석 178

표 4-87. 방독면 구입의사에 대한 생활수준에 따른 분석 179

표 4-88. 방독면 구입의사에 대한 군복무에 따른 분석 180

표 4-89. 방독면 보급에 따른 국민 안전의식에 대한 생활수준에 따른 분석 181

표 4-90. 방독면 보급에 따른 국민 안전의식에 대한 주거형태에 따른 분석 182

표 4-91. 방독면 보급에 따른 국민 안전의식에 관한 항목을 군복무에 따른 분석 182

표 4-92. 방독면 보급의 의무화에 대한 생활수준에 따른 분석 183

표 4-93. 방독면 보급의 의무화의 군복무에 따른 결과 184

표 5-1. KS M 6685 일반방독면의 시험방법에 명기된 정화통의 필요조건 189

표 5-2. 전쟁용 화학작용제의 물리적 성질 및 독성 190

표 5-3. 본 과제에서 검토한 관련 방독면의 규격번호, 규격명칭 및 용도 194

표 5-4. EN 141에서 규정한 최대 호흡 저항과 막힘 시험 후에 최대 호흡 저항 194

표 5-5. EN 141에서 규정한 형식 A, B, E와 K의 가스 필터의 가스 성능과 시험조건 195

표 5-6. EN 141에서 규정한 특수 필터의 가스 성능과 시험 조건 196

표 5-7. EN 371과 372에서 규정한 필터의 최대호흡저항 196

표 5-8. AX 필터의 시험 조건과 최소 파과 시간 196

표 5-9. MIL-C-10116C(EA)에서 규정한 정화통의 가스수명 시험조건 198

표 5-10. MIL-C-51560에서 규정한 정화통의 가스수명 시험조건 198

표 5-11. NIOSH에서 고시하고 있는 화생방용 방독면의 표준 시험법 200

표 5-12. CET-APRS-STP-CBRN-0302에서 규정한 정화통의 CK 가스수명 시험조건 201

표 5-13. 작업 종류에 따른 대사율의 분류 203

표 5-14. 대표 체형에 따른 평균대사율과 분당 흡입량의 추정값 203

표 5-15. 가스 수명 시험 기준 204

표 6-1. 저장 기간이 10 ~ 14년인 일반방독면 정화통의 가스 수명시험 결과 207

표 6-2. 저장 기간이 15~17년인 일반방독면 정화통의 가스 수명시험 결과 208

표 6-3. 저장 기간이 17~19년인 일반방독면 정화통의 가스 수명시험 결과 209

표 6-4. 저장 기간이 17 ~ 21년인 일반방독면 정화통의 가스 수명시험 결과 210

표 6-5. 저장 기간이 15~18년인 일반방독면 정화통의 가스 수명시험 결과 211

표 6-6. 정화통의 개봉 시간에 따른 성능 변화 216

표 7-1. 일반방독면의 보급현황 (2008년 기준) 219

표 8-1. 미국의 방독면 연구개발 현황. 222

그림 3-1. 다용도 방독면 80

그림 3-2. 기타 방독면 80

그림 5-1. 미국의 방독면 관련 기관들의 협력 관계. 199

그림 6-1. 보관 기간에 따른 PS 가스 수명의 성능 변화. (a) 측정 결과 (b) 측정 결과를 평균값과 범위로 나타내었음. 212

그림 6-2. 보관 기간에 따른 DOP 제거 능력의 성능 변화 213

그림 6-3. 보관 기간에 따른 공기 저항의 성능 변화 213

그림 6-4. 정화통의 외관과 내부 모습 215

그림 6-5. 정화통의 개봉 시간에 따른 성능 변화 217

그림 8-1. C2Al 정화통(ASZM-TEDA 활성탄)(a)과 M50 정화통의 개념도(b). 223

그림 8-2. 국군의 K1 방독면(a)과 미군의 M50 방독면(b) 223

초록보기 더보기

I. 제목

방독면 규격기준 재설정 및 보급 확대 연구

II. 연구개발의 목적 및 필요성

○ 화생방용 방독면 보급의 당위성 및 보급방법 개선 연구

- 현 보급 실태 및 보급 방법조사

- 보급의 실효성 및 개선 방안 연구

○ 방독면 규격기준 연구

- 현행 6분 이상 정화능력 보유 방독면 규격서에 대한 타당성 검토(군용30분)

- 정화통의 저장수명 5년에 대한 타당성 검토(실제 사용 년한은 10년 이상)

○ 시효초과 방독면 중 성능검사 불합격 방독면 관리대책 강구

- 전량 폐기처리, 또는 적정기간 추가사용에 대한 타당성

- 추가사용 가능 기간 산정

○ 방독면 대체제품 연구

III. 연구개발의 내용 및 범위

○ 화생방용 방독면 보급 현황 및 보급 방법에 대한 자료 조사

- 국내·외 방독면 보급현황 조사

- 국외 방독면 보급에 관한 배경 및 실태조사

○ 현장 방문 조사를 통하여 방독면의 실효성에 대하여 조사하고 개선 방안을 강구

- 전쟁 시 또는 테러공격으로 인한 주요 예상 피해지역인 접적지역, 화학공단지역, 원전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화생방에 대한 지식과 방독면 보급 정책에 대한 인식 조사

- 소방방재청 홈페이지를 통하여 전 국민들을 대상으로 화생방에 대한 지식과 방독면 보급 정책에 관한 인식 조사

- 현장 방문 조사와 소방방재청 홈페이지를 통한 인터넷 설문조사 내용을 분석 하여 개선방안 강구

○ 현행 일반 방독면 규격서의 타당성 검토

- 일반방독면 정화통의 현재 규격인 KS M 6685와 외국 규격과의 비교 검토를 통하여 가스수명과 저장수명의 타당성 검토

- 가스 수명 기준에 대한 운동생리학적 검토

○ 일반방독면의 저장수명 시험 평가

- 10년 이상 보관된 일반방독면 정화통을 수거하여 저장수명 시험을 실시하여 실제 저장수명을 평가

- 정화통을 개봉하여 시간에 따른 성능 변화를 측정

○ 성능 검사 불합격 방독면의 활용 방안

- 저장수명이 만료된 정화통의 폐기 방법에 대하여 조사하고, 폐기 방독면의 활용 방안을 강구

○ 방독면 대체제품을 조사하고 외국의 연구 개발 동향을 조사

- 자급식 호흡기에 대하여 외국 제품과 비교 분석하고 미국의 방독면 개발 동향을 조사

IV. 연구개발결과

○ 화생방용 방독면 보급 현황 및 보급 방법에 대한 자료 조사

- 국내·외 방독면 보급현황 조사

ㆍ국내에서 다용도·일반방독면은 민방위대원은 1개씩 보유되고 있으나, 일반인은 자율구입으로 보급률이 매우 낮은 편임

ㆍ2007년까지 민방위대 및 취약지역에 방독면 보급률은 65%지만, 그 외 일반인들의 방독면보급 현황은 약 6%만 보급됨

ㆍ외국의 경우 전쟁의 위협은 감소되었지만, 민방위 차원에서 스웨덴, 스위스, 체코, 헝가리 등 많은 나라들이 정책적인 차원에서 전 국민들에게 방독면을 보급하고 있음

ㆍ특히 일부 나라에서는 신체적 특징 즉, 성별·연령·얼굴형태 등에 따른 다양한 방독면을 개발하여 보급함

- 국외 방독면 보급에 관한 배경 및 실태조사

ㆍ외국의 경우 쉘터, 방공호 등을 통하여 위기상황 시 국민들은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는 시설을 방독면과 함께 대비

ㆍ이를 통한 자율적 안전의식 향상 및 위기상황 발생 시 능동적 대처가 가능하다고 판단됨

○ 현장 방문 조사를 통하여 방독면의 실효성에 대하여 조사하고 개선 방안을 강구

- 전쟁 시 또는 테러공격으로 인한 주요 예상 피해지역인 접적지역, 화학공단지역, 원전지역 주민들을 대상으로 화생방에 대한 지식과 방독면 보급 정책에 대한 인식 조사

ㆍ화생방에 대하여 일정부분 지식을 갖고 있으나, 국민들이 화생방에 대한 의식수준이나 화생방전 발생시에 대한 조치요령의 숙지정도는 미흡한 것으로 판단됨.

ㆍ화생방에 대한 인식부족으로 인하여 화생방 사고에 대한 불안감이 적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생방전이 발생하지 않으리라는 안일한 의식을 가지고 있음

ㆍ대응활동의 필요성과 화생방 대응교육의 필요성이 요구됨

ㆍ대부분의 응답자들은 방독면 꼭 필요하며, 정부냐 지자체에서 보급 시에는 보급을 받겠다고 응답하였으나 위 항목의 조사처럼 화생방사고에 대한 불안감이 적고 화생방전이 발생하지 않으리라는 의식과 배치되고 있으므로 이에 대한 정밀한 분석이 요구되고 있음

ㆍ방독면의 비치에 대하여 국내에서 전쟁발생 가능성이 낮아 필요가 있겠는가 하는 응답이 다수 있지만 유사시 화생방전에 대비한 교육과 홍보 강화가 필요함

ㆍ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방독면을 보급할 때에는 보급을 받을 것이며, 이에 대해 방독면 비치의 의무화가 필요함

ㆍ방독면이 필요하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으며, 화생방에 대해서 알아야 한다는 것을 알고 있기 때문에 정부에서 화생방에 대한 국민들의 교육과 홍보, 화생방 대응장비에 대한 보완, 그리고 방독면 구입 시 보조금 혜택에 대하여 개선안이 요구됨

- 소방방재청 홈페이지를 통하여 전 국민들을 대상으로 화생방에 대한 지식과 방독면 보급 정책에 관한 인식 조사

ㆍ방독면에 대한 사용요령과 화생방 장비에 대한 보완문제가 제기됨

ㆍ현재 보급되어 있는 방독면이 사용시간이 길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신뢰감이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남

ㆍ방독면의 안전성에 대한 홍보 보다 성능이 향상된 방독면의 개발이 필요

ㆍ대다수의 응답자들이 방독면 구입의사를 나타냈으며, 방독면은 국민들의 안전의식에 영향을 준다고 인식함

ㆍ방독면 구입 시의 정부 및 자치단체의 보조 혹은 무상지급 등을 표현함으로서 성능이 향상된 방독면을 저렴하게 구입할 필요가 있다고 분석됨

ㆍ신축주택이나 자동차 구입 시 등에서 의무적인 방독면 보급에 대하여 긍정적인 응답이 많이 나타남

ㆍ방독면과 화생방에 대한 홍보·교육, 그리고 방독면 구입 시 보조금 지급, 그리고 방독면에 대하여 비상시를 위하여 항시 비치를 할 수 있도록 의무화 등을 정부에서 지원해야 한다고 판단됨.

- 현장 방문 조사와 소방방재청 홈페이지를 통한 인터넷 설문조사 내용을 분석하여 개선방안 강구

ㆍ일반인들은 군복무 시 화생방 교육을 제외하고는 별도의 화생방 교육 기회가 제공되지 않기 때문에 이에 대한 교육 및 홍보가 절실히 필요함

ㆍ방독면에 대한 사용요령, 화생방장비에 대한 생각과 국민들의 안전을 위한 방독면 보급을 대부분의 국민들은 원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됨

ㆍ방독면은 저장기한이 한정되어 있는바 장기 보관방법에 대한 방독면 규격이 개선되어야 함

ㆍ화생방 무기를 이용한 전쟁 및 테러에 대한 교육을 통하여 국민들의 안보의식 향상이 필요함

ㆍ생활수준에 따라 중산층 이하 저소득층에서는 화생방에 대한 지식 및 교육 수준이 매우 미흡하게 조사되었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별도의 대책 마련이 필요함

○ 현행 일반 방독면 규격서의 타당성 검토

- 일반방독면 정화통의 현재 규격인 KS M 6685와 외국 규격과의 비교 검토를 통하여 가스수명과 저장수명의 타당성 검토

- 가스 수명 기준에 대한 운동생리학적 검토

○ 일반방독면의 저장수명 시험 평가

- 10년 이상 보관된 일반방독면 정화통을 수거하여 저장수명 시험을 실시하여 실제 저장수명을 평가

- 정화통의 개봉하여 시간에 따른 성능 변화를 측정

○ 성능 검사 불합격 방독면의 활용 방안

- 저장수명이 만료된 정화통의 폐기 방법에 대하여 조사하고, 폐기 방독면의 활용 방안을 강구

○ 방독면 대체제품을 조사하고 외국의 연구 개발 동향을 조사

- 자급식 호흡기에 대하여 외국 제품과 비교 분석하고 미국의 방독면 개발 동향을 조사

V.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 화생방용 방독면 보급사업의 지속 여부를 결정하는 근거 자료로 활용함.

○ 화생방용 방독면 성능시험 및 저장수명 평가 방법 연구결과를 국가 표준규격(KS) 제정에 활용하게 함

○ 현재 시효 초과 또는 성능 불합격 방독면의 처리/폐기의 근거 자료로 활용

○ 여과재 제조 기술 조사와 방독면 대체 제품의 활용 가능성 조사 결과를 통하여 앞으로 방독면의 성능 향상 및 기술 개발에 대한 기초 자료로 활용함.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1517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전자자료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