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산사태재해 예측 및 저감기술 개발 / 소방방재청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소방방재청, 2009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형태사항
598, 134, 214 p. : 삽화, 도표, 사진, 지도 ; 30 cm
제어번호
MONO1200952986
주기사항
연구기관: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바이텍코리아, 서울대학교
"자연재해피해저감기술개발"의 세부과제임
연구책임자: 채병곤, 안대영, 김용일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등]

제출문

보고서 초록

요약문

SUMMARY

CONTENTS

목차

제1장 서론 25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29

제1절 국외현황 29

제2절 국내현황 32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35

제1절 현장조사를 통한 전국 산사태 DB 구축 35

1. 산사태 DB 시스템 개요 35

가. 산사태 DB 구축 환경 35

나. 산사태 DB 시스템의 구성 36

2. 산사태 조사지역 현황 39

가. 강원도 평창지역의 산사태 조사현황 40

나. 강원도 인제지역의 산사태 조사현황 43

3. 산사태 DB구축 항목 및 내역 44

가. 개략조사 산사태자료 입력 44

나. 정밀조사 산사태자료 입력 46

다. 토질자료 입력 48

제2절 권역별 주요지역 산사태 예측지도 작성 및 high potential 지역 선정 49

1. 확률론적 산사태 예측기술의 개요 49

가. 변성암 및 화강암 분포지 산사태 예측모델 49

나. 산사태 예측지도 작성방법 59

2. 서울·경기지역 산사태 예측지도 작성 60

가. 산사태 예측지도 작성지역 선정 60

나. 예측지도 작성지역의 지형 및 지질 63

다. 대상지역의 토질특성 분석 66

라. 예측지도 작성 결과 및 high potential 지역 해석 83

3. 강원지역 산사태 예측지도 작성 116

가. 산사태 예측지도 작성지역 선정 116

나. 예측지도 작성지역의 지형 및 지질 121

다. 대상지역의 토질특성 분석 124

라. 예측지도 작성 결과 및 high potential 지역 해석 136

4. 충청지역 산사태 예측지도 작성 148

가. 산사태 예측지도 작성지역 선정 148

나. 예측지도 작성지역의 지형 및 지질 148

다. 대상지역의 토질특성 분석 166

라. 예측지도 작성 결과 및 high potential 지역 해석 177

제3절 지질특성별 산사태 피해규모 정량적 산정(QRA)기술 개발 및 수도권 주요지역 산사태 재해위험지도 작성 193

1. QRA기술을 이용한 정량적 피해규모 산정 전문가 시스템 193

가. 지형분석을 통한 사태물질 이동경로 예측기술의 고도화 194

나. 산사태 피해위험도 산정 전문가시스템 204

2. 권역별 주요지역 산사태 재해위험지도 작성 207

가. 산사태 재해위험지도의 개요 207

나. 산사태 재해위험지도의 작성 사례 208

다. 서울-경기지역 산사태 재해위험지도 작성 211

라. 강원권 주요지역 산사태 재해위험지도 작성 226

마. 충청권 주요지역 산사태 재해위험지도 작성 252

3. 실내 모형실험을 통한 산사태 발생 및 확산특성 구명 267

가. 모형실험장치의 성능 개선 267

나. 계측장비 및 계측방법 개선 270

다. 산사태 모형실험 방법 및 실험재료의 토질특성 288

라. 모형실험 결과 298

마. 결론 440

제4절 유연성 원리를 이용한 산사태 방재공법 설계 및 시범설치 442

1. 서론 442

2. 토석류 산사태에 대한 피해저감공법 443

가. 개요 443

나. 기존 공법 검토 446

3. 유연성의 원리를 이용한 방호공법의 연구 및 적용사례 458

가. 연구사례 458

나. 적용사례 464

4. 링네트 토석류 방호책의 설계지침 468

가. 링네트 토석류 방호책의 종류 468

나. 링네트 토석류 방호책의 설계방법 469

다. 링네트 토석류 방호책의 설계프로그램 "DEBFLOW" 473

5. 링네트 토석류 방호책의 시공지침 487

가. 일반사항 487

나. 장비 및 인원 490

다. 시공순서도 491

라. 시공일반 491

마. 품질 및 유지관리 494

6. 링네트 토석류 방호책의 시범설치 500

가. 현장조사 및 선정기준 500

나. 설치위치선정 501

다. 링네트 토석류 방호책 설계검토 502

라. 링네트 토석류 방호책 설치 505

7. 산사태 및 지형특성을 고려한 적정 방재공법 배치기준 제안 510

가. 방재공법 선정방법 510

나. 저감대책 512

제5절/Section 5. Application of simulation program for debris flow(수치해석을 통한 토석류 산사태 시뮬레이션 기술 개발)[개인신상정보 삭제] 525

제6절 결론 572

제4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575

제1절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575

제2절 대외기여도 579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583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585

제1절 미국 585

1. 연구기관 585

2. 연구분야 585

가. 재해정보 네트워크 (Disaster Information Network) 구축 585

나. 산사태 재해 프로그램(Landslide Hazard Program) 585

제2절 캐나다 586

1. 연구기관 586

2. 연구분야 586

가. 지질재해 및 지질환경 프로그램 (Geological Hazards and Environmental Geoscience Program) 586

제3절 홍콩 587

1. 연구기관 587

2. 연구분야 587

가. 산사태 방지 대책(Landslip Preventive Measures;LPM) 프로그램 587

제4절 일본 588

1. 방재과학기술연구소 (防災科學技術硏究所; NIED) 588

2. 교토대학 방재연구소 (京都大學 防災硏究所; DPRI) 589

제5절 대만 591

1. 연구기관 591

2. 조직 및 인원 591

3. 주요임무 591

4. 프로그램 591

5. 연구내용 (산사태재해분야) 591

제7장 참고문헌 595

[협동연구과제] 유비쿼터스 기반 산사태 모니터링 시스템 개발 601

제출문 602

보고서 초록 603

요약문 604

SUMMARY 614

CONTENTS 616

목차 618

제1장 서론 622

제1절 연구목적 및 필요성 622

1. 기술적 측면 623

2. 경제·산업적 측면 623

3. 사회·문화적 측면 624

4. 현기술상태의 취약성 624

5. 앞으로의 전망 624

제2절 연구내용 및 범위 625

1. 최종연구목표 625

2. 연구내용 및 범위 628

3. 연구추진체계 629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630

제1절 국내 기술개발 현황 630

제2절 국외 기술개발 현황 630

1. 일본의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개발 현황 630

가. 와이어식 토석류 감지 시스템 631

나. 광섬유 센서를 이용한 토석류 감지 시스템 632

2. 대만의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개발 현황 633

3. 스위스의 토석류 산사태 모니터링 개발 현황 634

제3장 연구개발 수행 내용 및 결과 636

제1절 토석류 산사태 계측 시스템 가이드라인 설정 연구 636

1. 연구수행 방법 636

2. 연구내용 및 결과 636

가. 산사태와 강우특성 636

나. 지역별 산사태 특성 637

다. 토석류 산사태의 붕괴 특징 조사 637

라. 토석류 관측기법 637

마. 국내 토석류 산사태 계측 항목 및 배치 기준 연구 643

제2절 무선 네트워크 기반 산사태 감지 시스템 개발 643

1. 연구수행 방법 644

2. 연구내용 및 결과 644

가. 토석류 감지 시스템 646

나. 토석류 거동 시스템 649

다. 함수비 측정 시스템 650

라. RF로거 651

마. 메인로거 시스템 652

제3절 산사태 감시 통합관리 프로그램 개발 654

1. 연구수행 방법 654

2. 연구내용 및 결과 655

가. 웹 스크래핑을 이용한 강수량 모니터링 프로그램 개발 655

나. 산사태 감시 프로그램 661

제4절 현장 시범 계측 675

1. 연구수행 방법 675

2. 연구내용 및 결과 676

가. 현장시범계측 실시 (I) 676

나/가. 현장시범계측 실시 (II) 686

제5절 토석류 산사태 예·경보 시스템 개발 693

1. 연구수행 방법 693

2. 연구내용 및 결과 693

가. 국내·외 사면붕괴 예·경보 체제 조사 및 분석 693

나. 산사태 예·경보 관리기준치 설정 699

다. 산사태 예·경보 시스템 구축 703

제6절 토석류 산사태 계측 매뉴얼 704

1. 연구수행 방법 704

2. 연구내용 및 결과 705

가. 설치위치 선정 705

나. 계측기 구상방법 708

다. 계측기 설치 방법 711

라. 계측기 유지관리 방법 718

제4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722

제1절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722

제2절 대외기여도 724

1. 기술적 측면 724

2. 경제·산업적 측면 725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726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728

제1절 NEPCO LTD. : http://www.nepco.jp/ 728

제2절 종합 토사 재해 정보 시스템(http://www.takuwa.co.jp) 731

1. 시스템 개요 731

2. 시스템의 구성 731

제7장 참고문헌 734

[협동연구과제] GIS기반 산사태 위험분석 시스템 개발 736

제출문 737

보고서 초록 738

요약문 739

SUMMARY 741

CONTENTS 743

목차 745

제1장 서론 749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751

제1절 국내 기술개발 현황 751

제2절 국외 기술개발 현황 751

제3절 연구결과와 국내·외 현황 752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755

제1절 GIS기반 산사태 시스템 설계 755

1. 시스템 분석 756

가. 기존 프로그램 분석 756

나. 사용자 요구분석 764

2. 프로세스 분석 767

가. 데이터 분석 767

나. 상용 소프트웨어를 이용한 기존 프로세스 분석 771

다. 기존 산사태 QRA시스템의 프로세스(프로스세) 분석 773

3. 신규 프로세스 도출 775

가. 개요 775

나. 기존 프로세스와의 차이점 775

4. 시스템 설계 777

가. 시스템 구성 777

나. UI설계 779

제2절 GIS기반 산사태 위험 산정 기법 개발 785

1. 산사태 위험분석을 위한 주제도 레이어 분석 785

가. 산사태 예측을 위한 주제도 레이어 선정 785

나. 산사태 위험분석을 위한 주제도 레이어 선정 791

2. GIS기반 산사태 인명피해 산정 기법 개발 800

가. 접근방법 800

나. 연구내용 801

다. 연구결과 807

3. GIS기반 산사태 시설물피해 산정 기법 개발 815

가. 접근방법 815

나. 연구내용 816

다. 연구결과 830

4. 시나리오 834

가. 산사태 예측도 작성 834

나. 산사태 이동경로 및 피해영역분석 835

다. 산사태 사전 피해액 산정 836

제3절 산사태 통합 관리 시스템 839

1. 시스템 개요 839

가. 시스템 전체 구조 839

나. 시스템 특성 840

다. 시스템 장점 842

2. DB 관리 기능 843

가. DB 설정 및 생성 844

나. 산사태 정보 관리 846

다. 토질시료 정보 관리 849

3. 공법 및 계측 관리 853

가. 공법 자료 관리 854

4. 기타 기능 856

가. DEM 보정 856

나. 레이어 추출 859

제4절 산사태 예측도 및 위험분석 시스템 864

1. 전처리 기능 864

가. 수치지도 관련 기능(Digital Map) 864

나. 배경이미지 조정 기능(Background Image) 868

다. 주제도 생성기능 (Thematic Map) 869

2. 산사태 예측도 작성 876

가. 예측 모델 877

나. 인자 878

다. 모델 방정식 879

3. 위험지역 추출 881

가. FD(Flow Direction) 생성 881

나. 위험지역 추출 883

4. 이동경로 분석 884

가. 알고리즘 885

나. 입력 데이터 886

다. 기능 887

라. 결과 888

5. 피해 분석 889

가. 피해영역분석 890

나. 복구비용분석 891

제5절 GIS기반 산사태 위험분석 시스템 매뉴얼 896

1. 설치 방법 896

가. 설치 방법 896

2. 산사태 DB 관리 899

가. DB 설정 및 생성 899

나. 산사태 발생 정보 입력 901

다. 산사태 발생 정보 조회 및 수정 904

라. 토질시료 정보 입력 907

마. 토질시료 정보 조회 및 수정 910

3. 전처리 기능 912

가. 등고선 관련 데이터 생성 913

나. 배경이미지 처리 918

다. 주제도 생성 921

4. 산사태 예측도 작성 924

가. 모델선택 925

나. 레이어 선택 926

다. 모델 방정식 927

라. 예측도 작성 927

5. 산사태 위험분석 928

가. 위험지역추출 929

나. FD 생성 930

6. 공법 및 계측 관리 931

가. 방재 공법 자료 관리 932

7. 기타 기능 933

가. DEM 보정-Sink 934

나. DEM 보정-Fill 935

다. DEM 보정-Smoothing 936

라. 레이어 추출 937

제4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대외기여도 941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943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945

제7장 참고문헌 949

이용현황보기

이용현황 테이블로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로 구성 되어있습니다.
등록번호 청구기호 권별정보 자료실 이용여부
T000030616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이용불가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