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장애평가와 재활서비스 제공을 위한 국제장애분류(ICF)의 임상적 적용 /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 [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보건복지부 국립재활원, 2006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해당자료 없음
형태사항
x, 165 p. : 도표 ; 26 cm
총서사항
정책 ; 06-02
제어번호
MONO1200716944
주기사항
"보건의료기술진흥사업"의 과제임
연구책임자: 김완호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등]

목차

요약문 7

SUMMARY 9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 11

I. 연구의 배경 및 필요성 11

II. 연구의 목적 및 범위 12

III.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2

IV. 연구과제의 기능적 추진체계 모식도 14

제2장 국내ㆍ외 ICF 연구 및 활용 현황 15

I. 세계보건기구에서의 ICF 제정 및 제안 15

1. 배경 15

2. ICF의 목적 및 적용 16

3. ICF의 특성 17

4. ICF 구성요소에 관한 개요 19

II. 독일 21

1. ICF core set project 21

2. The Rehabilitation Problem-Solving Form(RPS-Form) 27

III. 미국 30

1. 여러 기관에서 ICF 활동 30

2. 연구영역에서 ICF 적용 31

3. 기타영역에서 ICF 적용 32

제3장 연구 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 33

3-1. 연구개발과제의 연구개발내용 및 결과 33

I. 기존 재활영역 평가의 개념과 ICF와의 관계 34

1. ICF를 이용한 재가장애인의 기능평가 도구 비교 34

2. 재활영역의 개념과 ICF 코드로의 전환 40

II. 한국형 ICF 임상핵심지표(Generic core set) 개발 70

1. 재활전문 학술지에 사용된 평가도구를 통한 추출 과정 71

2. 임상적용을 통한 추출 77

3. 임상전문가 설문을 통한 추출 과정 82

4. 한국형핵심지표(Generic form) 추출 88

5. 소결 94

6. 제한점 95

III. 실무 적용 매뉴얼 작성 96

1. ICF 질문과 평가치 작성:신체기능, 신체구조, 활동과 참여부분 96

2. 한국형핵심지표(Generic code) 매뉴얼 작성 97

IV. ICF의 적용 및 활용 130

1. 한국형핵심지표(Generic core set)의 다양한 재활 서비스 환경에의 적용 130

2. ICF를 이용한 재활 사례 회의적용 144

3-2. 연구개발과제의 연구결과 고찰 및 결론 162

제4장 연구 개발결과 활용 165

제5장 참고문헌 167

〈표 2-1〉 ICF의 구성요소 19

〈표 2-2〉 ICF 평가치 20

〈표 2-3〉 ICF core set의 종류 22

〈표 2-4〉 ICF core set의 개발 단계 23

〈표 2-5〉 ICF core set 26

〈표 3-1〉 대상자 108명의 인구학적 특성 35

〈표 3-2〉 기능평가도구와 ICF 연결 36

〈표 3-3〉 ICF와 기능측정 도구의 100점 환산표 37

〈표 3-4〉 기능평가도구와의 상관관계 37

〈표 3-5〉 간호과정과 ICF Code연계과정 43

〈표 3-6〉 ICF 간호영역 추출항목 49

〈표 3-7〉 임상에서 사용하고 있는 평가도구의 ICF Code화 작업 53

〈표 3-8〉 운동성 평가도구의 개념을 ICF화로 연결시킨 총 항목 54

〈표 3-9〉 MBI 평가도구의 ICF 비교 56

〈표 3-10〉 FIM과 ICF 비교 57

〈표 3-11〉 MMSE-K(Mini-Mental Status Examination)와 ICF 비교 58

〈표 3-12〉 ADL 평가도구의 개념을 ICF화로 연결시킨 총 항목 59

〈표 3-13〉 BDI의 ICF의 코드화 62

〈표 3-14〉 GDS의 ICF 코드화 63

〈표 3-15〉 K-WAIS의 ICF 코드화 64

〈표 3-16〉 SNSB의 ICF 코드화 65

〈표 3-17〉 재활심리 영역의 평가도구로부터 추출된 ICF 항목 66

〈표 3-18〉 신체구조 항목의 매뉴얼 예시 68

〈표 3-19〉 224개 뇌졸중 환자와 관련된 논문에서의 측정도구 빈도수 72

〈표 3-20〉 67개의 뇌손상 환자와 관련된 논문에서의 측정도구 빈도수 73

〈표 3-21〉 152개의 척수손상환자와 관련된 논문에서의 측정도구 빈도수 74

〈표 3-22〉 뇌병변 및 칙수환자와 관련된 신체기능영역평가 ICF 코드화 빈도수 75

〈표 3-23〉 뇌병변 및 척수 환자와 관련된 활동과 참여 영역 평가 ICF 코드화 빈도수 76

〈표 3-24〉 뇌병변 환자와 관련된 측정도구의 환경영역 ICF 코드화 빈도수 77

〈표 3-25〉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 78

〈표 3-26〉 신체구조 및 기능 79

〈표 3-27〉 활동과 참여영역 80

〈표 3-28〉 환경 요인 81

〈표 3-29〉 설문 대상자 특성 82

〈표 3-30〉 설문대상자의 관심분야 83

〈표 3-31〉 신체기능 선택 빈도 83

〈표 3-32〉 신체구조 선택 빈도 84

〈표 3-33〉 활동과 참여 영역의 선택빈도 85

〈표 3-34〉 환경요인에서의 선택빈도 87

〈표 3-35〉 신체 구조 88

〈표 3-36〉 신체기능 89

〈표 3-37〉 활동과 참여(activity & participation) 90

〈표 3-38〉 환경요인(Environmental factor) 91

〈표 3-39〉 한국형핵심지표 92

〈표 3-40〉 대상자의 인구학적 특성 132

〈표 3-41〉 집단별 신체기능 평균 133

〈표 3-42〉 신체기능 코드 각 항목별 평균 133

〈표 3-43〉 능력과 수행에 관한 집단별 평균 134

〈표 3-44〉 활동과 참여영역의 각 항목별 능력 평균 135

〈표 3-45〉 활동과 참여영역 각 항목별 수행평균 136

〈표 3-46〉 환경요인의 각 항목별 평균 137

〈표 3-47〉 집단별 환경 영역 평균 139

〈표 3-48〉 신체기능과 활동과 참여영역의 능력 평가치와의 상관관계 140

〈표 3-49〉 집단 간 특성을 반영하는 코드 추출 142

〈표 3-50〉 재활 사례 회의에서 각 전문영역별 담당 항목 146

〈표 3-51〉 ICF를 이용한 재활 사례 회의 Time Table 148

〈표 3-52〉 ICF 재활사례회의를 위한 ICF 항목수 148

〈그림 2-1〉 타당도 연구 25

〈그림 2-2〉 Rehab-Cycle 28

〈그림 2-3〉 WHO ICF's model 28

〈그림 2-4〉 RPS-Form 29

〈그림 3-1〉 임상핵심지표 추출과정에 대한 모식도 70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