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초고성능 시멘트 복합재료를 활용한 교량 거더 개발 / 건설교통부 ;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공편] 인기도
발행사항
고양 : 한국건설기술연구원, 2005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해당자료 없음
형태사항
li, 413 p. : 삽화, 도표, 사진 ; 30 cm
제어번호
MONO1200713486
주기사항
판권기표제: 초고성능 시멘트 복합재료를 활용한 교량 거더 개발 최종보고서
2003 건설핵심연구개발사업 최종보고서
주관연구기관: 한국건설기술연구원
총괄연구책임자: 김성욱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연구진]

요약문

SUMMARY

목차

Contents 36

제1장 서론 54

제1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54

제2절 연구개발 목표 및 내용 58

1. 최종 목표 58

2. 1차년도 연구개발 내용 60

3. 2차년도 연구개발 내용 64

제2장 국내외 관련기술 연구동향 67

제1절 국내기술동향 67

1. 연구동향 67

2. 적용사례 68

제2절 국외기술동향 69

1. 연구동향 70

2. 적용사례 72

제3절 기술동향 분석 결론 74

제3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 76

제1절 초고성능 시멘트 복합재(UHPCC) 제조기술 개발 76

1. 초고성능 시멘트 복합재 도입 기술 조사 76

2. 초고성능 시멘트 복합재 구성재료 개발 85

3. 초고성능 시멘트 복합재 제조기술 개발 103

제2절 초고성능 시멘트 복합재의 역학적 특성 131

1. 초고성능 시멘트 복합재 재료역학시험 131

2. 초고성능 시멘트 복합재 내구성 평가 184

제3절 RC I형 초고성능 시멘트 복합재 교량 거더 개발 223

1. 초고성능 시멘트 복합재료를 활용한 RC보 구조실험 224

2. 초고성능 시멘트 복합재 거더 RC형 구조해석 모델 개발 286

3. RC I형 초고성능 시멘트 복합재 교량 거더 개발 312

제4절 PSC I형 초고성능 시멘트 복합재 교량 거더 개발 319

1. 초고성능 시멘트 복합재료를 활용한 PSC 거더 구조실험 319

2. 초고성능 시멘트 복합재 거더 PSC형 구조해석 모델 개발 351

제5절 결론 439

제4장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443

제1절 연구목표의 달성도 443

제2절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449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 451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453

제1절 ECC(Engineered Cementitious Composite) 453

제2절 RPC(Reactive Powder Concrete) 453

제3절 CRC(Compact Reinforced Composite) 454

제4절 SIFCON,SIMCON (Slurry Infiltrated Fiber Concrete, Mat Concrete) 454

제7장 참고문헌 455

판권지 467

〈표. 1〉 UHPCC 거더와 다른 거더의 동일 모멘트 저항력에 대한 단면 제원 비교 59

〈표. 2〉 UHPCC의 일반적 역학특성 76

〈표. 3〉 열처리에 따른 압축강도 77

〈표. 4〉 UHPCC의 열처리 방법 77

〈표. 5〉 UHPCC의 구성재료별 배합량 79

〈표. 6〉 Sherbrooke교에 사용한 UHPCC의 구성배합 80

〈표. 7〉 경간 중심에서 보의 상하단에서 발생하는 응력(MPa) 84

〈표. 8〉 섬유의 특성 86

〈표. 9〉 UHPCC의 매트릭스 특성 87

〈표. 10〉 전형적인 UHPCC 재료구성 예 88

〈표. 11〉 시멘트 및 혼화재의 물리ㆍ화학적 성질 93

〈표. 12〉 충전재의 물리ㆍ화학적 성질 93

〈표. 13〉 대체 가능한 배합구성 비교 95

〈표. 14〉 중량비로 나타낸 UHPCC 배합표 98

〈표. 15〉 시멘트와 실리카퓸의 물리ㆍ화학적 성질 108

〈표. 16〉 충전재의 물리ㆍ화학적 성질 108

〈표. 17〉 실험 적용 배합표(중량비) 109

〈표. 18〉 UHPCC 적정 타설공정 122

〈표. 19〉 실험 적용 배합표(중량비) 124

〈표. 20〉 공시체별 양생조건 125

〈표. 21〉 UHPCC의 역학적 특성 139

〈표. 22〉 시멘트와 실리카퓸의 물리ㆍ화학적 성질 167

〈표. 23〉 충전재의 물리ㆍ화학적 성질 167

〈표. 24〉 시멘트 복합재의 기본 배합표(중량비) 168

〈표. 25〉 실험변수 및 시험체 169

〈표. 26〉 시멘트 복합재의 기본 배합표(중량비) 176

〈표. 27〉 실험변수 및 시험체 인장강도 177

〈표. 28〉 시멘트 복합재의 기본 배합표(중량비) 179

〈표. 29〉 강섬유의 특성 182

〈표. 30〉 일반적인 UHPCC 배합 구성 185

〈표. 31〉 UHPCC의 일반적인 배합수량 및 관련된 변수들 186

〈표. 32〉 모세관 공극 투과계수 189

〈표. 33〉 UHPCC 구성성분 및 물리적 특성 191

〈표. 34〉 UHPCC 수화도 192

〈표. 35〉 UHPCC 공극률 결과 193

〈표. 36〉 공극률 측정시험 비교 194

〈표. 37〉 콘크리트 종류별 이동특성 197

〈표. 38〉 시멘트 및 사용 혼화재의 물리ㆍ화학적 성질 199

〈표. 39〉 골재의 물리적 특성 199

〈표. 40〉 초고성능 시멘트 복합재료의 배합표(중량비) 200

〈표. 41〉 보통강도 및 고강도 콘크리트 배합 200

〈표. 42〉 염해 저항성 평가(ASTM C 1202) 208

〈표. 43〉 콘크리트 종류에 따른 염소이온 확산계수 209

〈표. 44〉 콘크리트 종류에 따른 종합적인 결과 분석 222

〈표. 45〉 시멘트 복합재의 기본 배합표(중량비) 234

〈표. 46〉 시험체의 분류와 실험변수 값 235

〈표. 47〉 사용재료 특성 235

〈표. 48〉 시험체의 균열하중 및 최고하중 결과 239

〈표. 49〉 시멘트 복합재의 기본 배합표(중량비) 259

〈표. 50〉 시험체의 분류와 실험변수 값 261

〈표. 51〉 시험체 형상 Type I의 실험변수별 파괴하중과 파괴모드 예상 261

〈표. 52〉 시험체 형상 Type II의 실험변수별 파괴하중과 파괴모드 예상 262

〈표. 53〉 사용재료 특성 263

〈표. 54〉 시험체의 균열하중 및 최고하중 결과 265

〈표. 55〉 직사각형보의 실험 및 해석결과 비교 298

〈표. 56〉 I형 보의 실험 및 해석결과 비교 312

〈표. 57〉 고강도 콘크리트를 적용한 교량 사례 322

〈표. 58〉 고강도콘크리트로 시공된 PSC 거더 교량 322

〈표. 59〉 전단보강이 없는 섬유보강 콘크리트 보에 관한 기존의 연구 324

〈표. 60〉 시멘트 복합재의 기본 배합표(중량비) 327

〈표. 61〉 시험체의 분류와 실험변수 값 327

〈표. 62〉 시험체의 재령별 발현 강도특성 329

〈표. 63〉 균열하중 및 최고하중 실험결과 331

〈표. 64〉 휨하중 및 전단하중 예측값 비교 333

〈표. 65〉 〈그림. 304〉에 사용되는 레이블 371

〈표. 66〉 〈그림. 323〉에 사용되는 레이블 422

〈그림. 1〉 선유교 RPC 아치 교량 전경 69

〈그림. 2〉 sherbrooke교 교대부 거치 73

〈그림. 3〉 sherbrooke교 세그 연결 73

〈그림. 4〉 호주 UNSW에서의 UHPCC 보 제작과정 82

〈그림. 5〉 Sherbrooke 보도교 전경 83

〈그림. 6〉 Sherbrooke 보도교 단면형상 83

〈그림. 7〉 전형적인 UHPCC의 체적 구성비 예 89

〈그림. 8〉 Micrometer Scale에서의 UHPCC 미세구조 모식도 90

〈그림. 9〉 100 Nanometer Scale에서의 UHPCC 미세구조 모식도 90

〈그림. 10〉 CSH 결정질과 나노공극의 미세구조 모식도 91

〈그림. 11〉 물결합재비에 따른 상대밀도의 변화 94

〈그림. 12〉 수화촉진 혼화재가 섬유분산성 및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 96

〈그림. 13〉 수화촉진 혼화재가 압축강도에 미치는 영향 97

〈그림. 14〉 충전재 사용유무에 따른 압축강도 99

〈그림. 15〉 고성능감수제의 종류 및 양이 섬유분산성에 미치는 영향 100

〈그림. 16〉 폴리칼본산계 고성능감수제의 비교 101

〈그림. 17〉 강섬유의 혼입율이 섬유분산성과 유동성에 미치는 영향 102

〈그림. 18〉 강섬유의 종류에 따른 압축강도의 변화 103

〈그림. 19〉 UHPCC 전용믹서기 및 강섬유 자동 투입 공정 105

〈그림. 20〉 믹서기 종류에 따른 플로우 변화 106

〈그림. 21〉 소포제 투입 전 믹서기 종류에 따른 압축강도 비교 106

〈그림. 22〉 소포제 첨가량에 따른 공기량과 압축강도 변화 106

〈그림. 23〉 UHPCC 배합 방법 109

〈그림. 24〉 UHPCC 배합상태 110

〈그림. 25〉 UHPCC 플로우 시험 111

〈그림. 26〉 물-결합재비에 따른 플로우 값의 변화 111

〈그림. 27〉 물-결합재비에 따른 압축강도의 변화 112

〈그림. 28〉 실리카퓸 첨가비에 따른 압축강도의 변화 114

〈그림. 29〉 골재 투입비와 압축강도의 관계 115

〈그림. 30〉 골재 입경과 압축강도의 관계 115

〈그림. 31〉 충전재 종류에 따른 압축강도 비교 116

〈그림. 32〉 충전재 사용유무에 따른 압축강도의 변화 117

〈그림. 33〉 충전재 대체율에 따른 압축강도의 변화 117

〈그림. 34〉 고탄성용 강섬유 118

〈그림. 35〉 강섬유 사용유무에 따른 압축강도의 변화 119

〈그림. 36〉 강섬유 사용유무에 따른 파괴형상 119

〈그림. 37〉 UHPCC의 구성재료 120

〈그림. 38〉 압축강도 150MPa의 UHPCC 최적 배합비 121

〈그림. 39〉 양생방법에 따른 재령과 압축강도와의 관계 123

〈그림. 40〉 압축강도 측정 126

〈그림. 41〉 공시체 탈형전 양생방법에 따른 압축강도 127

〈그림. 42〉 탈형전 양생기간의 영향 128

〈그림. 43〉 증기양생 기간에 따른 압축강도 129

〈그림. 44〉 고온양생방법에 따른 압축강도 129

〈그림. 45〉 강섬유와 모체콘크리트의 미세구조 134

〈그림. 46〉 콘크리트 내의 강섬유의 미세균열 작용 134

〈그림. 47〉 일반콘크리트와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압축응력-변형률 비교 135

〈그림. 48〉 일반콘크리트와 SFRC와의 인장 거동 비교 137

〈그림. 49〉 강섬유 콘크리트의 응력-변형률 곡선 137

〈그림. 50〉 일반콘크리트와 SFRC의 휨거동 비교 138

〈그림. 51〉 미세균열의 미끄러짐에 의해 생성된 날개균열 성장 141

〈그림. 52〉 섬유의 복합적인 강화 및 감쇠효과 146

〈그림. 53〉 Krenit 섬유보강 복합재의 모델 예측 147

〈그림. 54〉 UHPCC의 전형적인 α-δ관계 148

〈그림. 55〉 정상상태에서의 균열성장 150

〈그림. 56〉 매트릭스 파괴인성과 계면의 부착강도에 대한 영향 153

〈그림. 57〉 근사적인 균열성상에 따른 Cmc의 과대평가 156

〈그림. 58〉 보의 임계단면에서의 응력분포 157

〈그림. 59〉 섬유길이에 따른 인장강도에 대한 휨강도 비의 변화 159

〈그림. 60〉 아라미드 섬유보강 모르타르의 휨강도에 대한 보깊이의 영향 160

〈그림. 61〉 변형률 경화 FRCC의 응력-변형률 거동 161

〈그림. 62〉 보의 깊이에 따른 변형률과 응력 분포 162

〈그림. 63〉 FRCC의 휨응력-처짐 곡선에 대한 실험결과와 예측결과의 비교 164

〈그림. 64〉 변형률 경화거동 FRCC의 최고하중 부근에서 균열 패턴 165

〈그림. 65〉 물결합재비와 압축강도 관계 171

〈그림. 66〉 물결합재비와 상대압축강도 관계 171

〈그림. 67〉 강섬유 혼입률에 따른 압축거동 비교 172

〈그림. 68〉 섬유혼입률과 압축강도 관계 173

〈그림. 69〉 섬유혼입률과 상대압축강도 관계 173

〈그림. 70〉 섬유형상비와 압축강도 관계 174

〈그림. 71〉 섬유 형상비와 상대압축강도 관계 175

〈그림. 72〉 섬유보강지수와 상대압축강도 관계 175

〈그림. 73〉 물결합재비에 따른 인장강도 변화 177

〈그림. 74〉 섬유혼입률에 따른 인장강도 변화 178

〈그림. 75〉 처짐 측정장치 180

〈그림. 76〉 UHPCC 휨거동 특성 180

〈그림. 77〉 강섬유 혼입률에 따른 휨강도의 변화 181

〈그림. 78〉 강섬유 혼입률에 따른 휨하중-처짐 관계곡선 182

〈그림. 79〉 강섬유의 혼입방법에 따른 휨강도의 비교 183

〈그림. 80〉 강섬유의 혼입방법에 따른 휨하중-처짐의 관계곡선 비교 184

〈그림. 81〉 양생 및 경화 과정동안 UHPCC의 열적 성상 188

〈그림. 82〉 수화도의 함수로 나타낸 UHPCC의 전기전도성 188

〈그림. 83〉 모세관 공극의 불연속성에 요구되는 수화도 190

〈그림. 84〉 Micrometer Scale에서의 UHPCC 미세구조 모식도 195

〈그림. 85〉 100 Nanometer Scale에서의 UHPCC 미세구조 모식도 195

〈그림. 86〉 CSH 결정질과 나노공극의 미세구조 모식도 195

〈그림. 87〉 콘크리트 종류에 따른 압축강도 변화 201

〈그림. 88〉 동결융해 시험 202

〈그림. 89〉 콘크리트 종류에 따른 상대동탄성 계수 변화 203

〈그림. 90〉 콘크리트 중성화 시험 장치 204

〈그림. 91〉 콘크리트 종류에 따른 중성화 깊이 205

〈그림. 92〉 콘크리트 종류에 따른 중성화 계수 206

〈그림. 93〉 콘크리트 종류에 따른 중성화 측정 206

〈그림. 94〉 전기촉진 시험 셀 장치 207

〈그림. 95〉 콘크리트 종류에 따른 염해저항성 평가 208

〈그림. 96〉 콘크리트 수밀성 측정 현황 210

〈그림. 97〉 콘크리트 종류에 따른 투기성 계수 211

〈그림. 98〉 콘크리트 종류에 따른 투수성 계수 211

〈그림. 99〉 콘크리트 종류에 따른 투과성 평가 212

〈그림. 100〉 공극분포 측정장치 212

〈그림. 101〉 콘크리트 종류에 따른 공극분포 214

〈그림. 102〉 콘크리트 종류에 따른 공극구조 214

〈그림. 103〉 SEM 측정 기기 215

〈그림. 104〉 90℃ 증기양생전 UHPCC 조직 215

〈그림. 105〉 90℃ 증기양생후 UHPCC 조직 216

〈그림. 106〉 UHPCC 강섬유 부근의 SEM 사진(×500) 216

〈그림. 107〉 UHPCC 강섬유 부근의 SEM 사진(×800) 216

〈그림. 108〉 UHPCC 내부조직 SEM 사진(×10,000) 217

〈그림. 109〉 UHPCC 내부조직 SEM 사진(×15,000) 217

〈그림. 110〉 XRD 측정 기기 218

〈그림. 111〉 90℃ 증기양생 전 UHPCC XRD 분석(재령 3일) 218

〈그림. 112〉 90℃ 증기양생 후 UHPCC XRD 분석 219

〈그림. 113〉 NMR 측정기기 220

〈그림. 114〉 90℃ 증기양생 전 UHPCC NMR 분석 221

〈그림. 115〉 90℃ 증기양생 후 UHPCC NMR 분석 221

〈그림. 116〉 강섬유보강 콘크리트의 여러 가지 응력블록 229

〈그림. 117〉 시험체의 형상과 치수 234

〈그림. 118〉 거푸집 조립 및 철근 배근 236

〈그림. 119〉 UHPCC 전용 고속회전 믹서기 236

〈그림. 120〉 3일간 90℃ 증기양생 공정 및 90℃를 나타내는 온도계 237

〈그림. 121〉 탈형 직후 시험체의 모습 237

〈그림. 122〉 3일간 90℃ 증기양생실시 237

〈그림. 123〉 시험체의 정적재하 실험 238

〈그림. 124〉 Data Aquisition System 238

〈그림. 125〉 섬유혼입률에 따른 하중-처짐 곡선 240

〈그림. 126〉 철근비에 따른 하중-처짐 곡선 241

〈그림. 127〉 전단스팬비에 따른 하중-처짐 곡선 241

〈그림. 128〉 SR50-F20-L24의 하중-처짐곡선 242

〈그림. 129〉 SR75-F20-L24의 하중-처짐곡선 242

〈그림. 130〉 D10-F10-L24 시험체 균열 및 파괴 형상 243

〈그림. 131〉 D10-F20-L24 시험체 균열 및 파괴 형상 243

〈그림. 132〉 D10-F30-L24 시험체 균열 및 파괴형상 244

〈그림. 133〉 D00-F20-L24 시험체 균열 및 파괴 형상 244

〈그림. 134〉 D13-F20-L24 시험체 균열 및 파괴형상 245

〈그림. 135〉 D16-F20-L24 시험체 균열 및 파괴 형상 245

〈그림. 136〉 D10-F20-L16 시험체 균열 및 파괴 형상 246

〈그림. 137〉 D10-F20-L20 시험체 균열 및 파괴 형상 246

〈그림. 138〉 D10-F20-L28 시험체 균열 및 파괴형상 247

〈그림. 139〉 SR50-F20-L24 시험체 균열 및 파괴 형상 247

〈그림. 140〉 SR75-F20-L24 시험체 균열 및 파괴 양상 248

〈그림. 141〉 D10-F10-L24 시험체 하중-처짐곡선 248

〈그림. 142〉 D10-F20-L24 시험체 하중-처짐곡선 249

〈그림. 143〉 D10-F30-L24 시험체 하중-처짐곡선 249

〈그림. 144〉 D00-F20-L24 시험체 하중-처짐곡선 250

〈그림. 145〉 D13-F20-L24 시험체 하중-처짐곡선 250

〈그림. 146〉 D16-F20-L24 시험체 하중-처짐곡선 251

〈그림. 147〉 D10-F20-L16 시험체 하중-처짐곡선 251

〈그림. 148〉 D10-F20-L20 시험체 하중-처짐곡선 252

〈그림. 149〉 D10-F20-L28 시험체 하중-처짐곡선 252

〈그림. 150〉 D10-F10-L24 균열진전 형상 253

〈그림. 151〉 D10-F20-L24 균열진전 형상 253

〈그림. 152〉 D10-F30-L24 균열진전 형상 254

〈그림. 153〉 D00-F20-L24 균열진전 형상 254

〈그림. 154〉 D13-F20-L24 균열진전 형상 255

〈그림. 155〉 D00-F20-L24 균열진전 형상 255

〈그림. 156〉 D10-F20-L16 균열진전 형상 256

〈그림. 157〉 D10-F20-L20 균열진전 형상 256

〈그림. 158〉 D10-F20-L28 균열진전 형상 257

〈그림. 159〉 SR50-F20-L24 균열진전 형상 257

〈그림. 160〉 SR75-F20-L24 균열진전 형상 258

〈그림. 161〉 I형보(Type I) 시험체의 형상과 치수 260

〈그림. 162〉 I형보(Type II) 시험체의 형상과 치수 260

〈그림. 163〉 I형 거푸집 조립 및 철근 배근 262

〈그림. 164〉 I형보 UHPCC 타설공정 263

〈그림. 165〉 고주파 바이브레이터 다짐 263

〈그림. 166〉 I형 보 정적재하 실험 264

〈그림. 167〉 Data Aquisition System 264

〈그림. 168〉 섬유혼입률 변화에 따른 하중-처짐곡선 267

〈그림. 169〉 주철근비의 변화에 따른 하중-처짐곡선 267

〈그림. 170〉 전단스팬비 변화에 따른 하중-처짐곡선(1) 268

〈그림. 171〉 Type II 시험체에 대한 하중-처짐곡선 268

〈그림. 172〉 전단스팬비 변화에 따른 하중-처짐곡선(2) 269

〈그림. 173〉 전단스팬비 변화에 따른 하중-처짐곡선 269

〈그림. 174〉 SR50-VF2-SS2 시험체 균열 및 파괴형상 270

〈그림. 175〉 SR50-VF1-SS4 시험체 균열 및 파괴형상 270

〈그림. 176〉 SR50-VF2-SS4 (I) 시험체 균열 및 파괴형상 270

〈그림. 177〉 SR50-VF3-SS4 시험체 균열 및 파괴형상 271

〈그림. 178〉 SR35-VF2-SS4 시험체 균열 및 파괴형상 271

〈그림. 179〉 SR20-VF2-SS4 시험체 균열 및 파괴형상 271

〈그림. 180〉 SR41-VF2-SS4 시험체 균열 및 파괴형상 272

〈그림. 181〉 SR41-VF2-SS6 시험체 균열 및 파괴형상 272

〈그림. 182〉 SR41-VF2-SS8 시험체 균열 및 파괴형상 272

〈그림. 183〉 SR50-VF2-SS4 (II) 시험체 균열 및 파괴형상 273

〈그림. 184〉 SR50-VF2-SS6 시험체 균열 및 파괴형상 273

〈그림. 185〉 SR50-VF2-SS8 시험체 균열 및 파괴형상 273

〈그림. 186〉 SR50-VF2-SS2 시험체 하중-처짐곡선 274

〈그림. 187〉 SR50-VF1-SS4 시험체 하중-처짐곡선 274

〈그림. 188〉 SR50-VF2-SS4 시험체 하중-처짐곡선 275

〈그림. 189〉 SR50-VF3-SS4 시험체 하중-처짐곡선 275

〈그림. 190〉 SR35-VF2-SS4 시험체 하중-처짐곡선 276

〈그림. 191〉 SR20-VF2-SS4 시험체 하중-처짐곡선 276

〈그림. 192〉 SR41-VF2-SS4 시험체 하중-처짐곡선 277

〈그림. 193〉 SR41-VF2-SS6 시험체 하중-처짐곡선 277

〈그림. 194〉 SR41-VF2-SS8 시험체 하중-처짐곡선 278

〈그림. 195〉 SR50-VF2-SS4 (II) 시험체 하중-처짐곡선 278

〈그림. 196〉 SR50-VF2-SS6 시험체 하중-처짐곡선 279

〈그림. 197〉 SR50-VF2-SS8 시험체 하중-처짐곡선 279

〈그림. 198〉 SR50-VF2-SS2 균열진전 280

〈그림. 199〉 SR50-VF1-SS4 균열진전 280

〈그림. 200〉 SR50-VF2-SS4(I) 균열진전 281

〈그림. 201〉 SR50-VF3-SS4 균열진전 281

〈그림. 202〉 SR41-VF2-SS4 균열진전 282

〈그림. 203〉 SR41-VF2-SS6 균열진전 282

〈그림. 204〉 SR41-VF2-SS4 균열진전 283

〈그림. 205〉 SR50-VF2-SS4(II) 균열진전 283

〈그림. 206〉 SR41-VF2-SS6 균열진전 284

〈그림. 207〉 SR50-VF2-SS6 균열진전 284

〈그림. 208〉 SR41-VF2-SS8 균열진전 285

〈그림. 209〉 SR50-VF2-SS8 균열진전 285

〈그림. 210〉 D00-F20-L24의 응력블록 288

〈그림. 211〉 D10-F10-L24의 응력블록 288

〈그림. 212〉 D10-F20-L16의 응력블록 288

〈그림. 213〉 D10-F20-L20의 응력블록 289

〈그림. 214〉 D10-F20-L28의 응력 블록 289

〈그림. 215〉 D13-F20-L24의 응력블록 289

〈그림. 216〉 D16-F20-L24의 응력블록 290

〈그림. 217〉 SR50-F20-L24의 응력블록 290

〈그림. 218〉 SR75-F20-L24의 응력블록 290

〈그림. 219〉 단순지지보에서 사인장 균열 Yield line 291

〈그림. 220〉 단순지지보에서 사인장 균열 cracking load 292

〈그림. 221〉 x에 따른 Vu와 Vcr의(이미지참조) 관계 293

〈그림. 222〉 직사각형보의 응력블록 294

〈그림. 223〉 SR20-VF2-SS4의 응력블록 299

〈그림. 224〉 SR35-VF2-SS4의 응력블록 299

〈그림. 225〉 SR50-VF1-SS4의 응력블록 300

〈그림. 226〉 SR50-VF2-552의 응력블록 300

〈그림. 227〉 SR50-VF2-SS4의 응력블록 300

〈그림. 228〉 SR50-VF3-SS4의 응력블록 301

〈그림. 229〉 SR41-VF2-SS4의 응력블록 301

〈그림. 230〉 SR41-VF2-SS6의 응력블록 301

〈그림. 231〉 SR41-VF2-SS8의 응력블록 302

〈그림. 232〉 SR50-VF2-SS4의 응력블록 302

〈그림. 233〉 SR50-VF2-SS4의 응력블록 302

〈그림. 234〉 SR50-VF2-SS8의 응력블록 303

〈그림. 235〉 I-Shape 단순지지 보의 파괴 특성 304

〈그림. 236〉 I-Shape 단순지지 보의 파괴 메커니즘 304

〈그림. 237〉 I형 보에서 critical 사인장 균열에 의한 응력 분포 305

〈그림. 238〉 변수에 따른 파괴모드 313

〈그림. 239〉 극한모멘트와 공칭 휨강도에 의한 파괴모드 314

〈그림. 240〉 무근 UHPCC보의 하중-처짐 곡선 316

〈그림. 241〉 SR41의 I형 B 단면 317

〈그림. 242〉 SR41VF2SS4-b의 하중-처짐 곡선 317

〈그림. 243〉 SR41VF2SS6-b의 하중-처짐 곡선 317

〈그림. 244〉 SR41VF2SS8-b의 하중-처짐 곡선 318

〈그림. 245〉 시험체의 단면형상 326

〈그림. 246〉 시험체의 형상 및 치수 326

〈그림. 247〉 시험체 및 데이터취득 시스템 330

〈그림. 248〉 측정 게이지 및 LVDT 위치 330

〈그림. 249〉 실험장치 및 시험체 모습 330

〈그림. 250〉 긴장력 변화에 따른 하중-처짐 곡선(경간형고비 15) 334

〈그림. 251〉 긴장력 변화에 따른 하중-처짐 곡선(경간형고비 10) 334

〈그림. 252〉 긴장력 변화에 따른 하중-처짐 곡선(경간형고비 5) 335

〈그림. 253〉 복부폭 70mm인 경우, 경간형고비의 영향 335

〈그림. 254〉 복부폭 50mm인 경우, 경간형고비의 영향 336

〈그림. 255〉 상하부 긴장에 따른 하중-처짐 관계 변화 336

〈그림. 256〉 복부폭 변화에 따른 하중-처짐 관계 변화 337

〈그림. 257〉 경간형고비가 15인 시험체의 하중-처짐 곡선 비교 337

〈그림. 258〉 경간형고비가 10인 시험체의 하중-처짐 곡선 비교 338

〈그림. 259〉 경간형고비가 5인 시험체의 하중-처짐 곡선 비교 338

〈그림. 260〉 FP-W7-L15 시험체의 균열진전 형상 339

〈그림. 261〉 HP-W7-L15 시험체의 균열진전 형상 339

〈그림. 262〉 NP-W7-L15 시험체의 균열진전 형상 339

〈그림. 263〉 FP-W7-L15-B 시험체의 균열진전 형상 339

〈그림. 264〉 FP-W7-L10 시험체의 균열진전 형상 340

〈그림. 265〉 FP-W7-L10-B 시험체의 균열진전 형상 340

〈그림. 266〉 FP-W5-L10 시험체의 균열진전 형상 340

〈그림. 267〉 HP-W5-L10 시험체의 균열진전 형상 340

〈그림. 268〉 NP-W5-L10 시험체의 균열진전 형상 340

〈그림. 269〉 FP-W5-L5 시험체의 균열진전 형상 341

〈그림. 270〉 HP-W5-L5 시험체의 균열진전 형상 341

〈그림. 271〉 NP-W5-L5 시험체의 균열진전 형상 341

〈그림. 272〉 FP-W7-L15 시험체 중앙단면에서의 위치별 하중-변형률 관계 342

〈그림. 273〉 HP-W7-L15 시험체 중앙단면에서의 위치별 하중-변형률 관계 342

〈그림. 274〉 NP-W7-L15 시험체 중앙단면에서의 위치별 하중-변형률 관계 343

〈그림. 275〉 FP-W7-L15-B 시험체 중앙단면에서의 위치별 하중-변형률 관계 343

〈그림. 276〉 FP-W7-L10 시험체 중앙단면에서의 위치별 하중-변형률 관계 344

〈그림. 277〉 FP-W7-L10-B 시험체 중앙단면에서의 위치별 하중-변형률 관계 344

〈그림. 278〉 FP-W5-L10 시험체 중앙단면에서의 위치별 하중-변형률 관계 345

〈그림. 279〉 HP-W5-L10 시험체 중앙단면에서의 위치별 하중-변형률 관계 345

〈그림. 280〉 NP-W5-L10 시험체 중앙단면에서의 위치별 하중-변형률 관계 346

〈그림. 281〉 FP-W5-L5 시험체 중앙단면에서의 위치별 하중-변형률 관계 346

〈그림. 282〉 FP-W5-L5 시험체 중앙단면에서의 위치별 하중-변형률 관계 347

〈그림. 283〉 FP-W5-L5 시험체 중앙단면에서의 위치별 하중-변형률 관계 347

〈그림. 284〉 FP-W7-L15 균열 및 파괴형상 348

〈그림. 285〉 HP-W7-L15 균열 및 파괴형상 348

〈그림. 286〉 NP-W7-L15 균열 및 파괴형상 348

〈그림. 287〉 FP-W7-L15-B 균열 및 파괴형상 348

〈그림. 288〉 FP-W7-L10 균열 및 파괴형상 349

〈그림. 289〉 FP-W7-L10-B 균열 및 파괴형상 349

〈그림. 290〉 FP-W5-L10 균열 및 파괴형상 349

〈그림. 291〉 HP-W5-L10 균열 및 파괴형상 349

〈그림. 292〉 NP-W5-L10 균열 및 파괴형상 350

〈그림. 293〉 FP-W5-L5 균열 및 파괴형상 350

〈그림. 294〉 HP-W5-L5 균열 및 파괴형상 350

〈그림. 295〉 NP-W5-L5 균열 및 파괴형상 350

〈그림. 296〉 중립축 351

〈그림. 297〉 프리스트레스 I형 거더의 중립축 판별 351

〈그림. 298〉 I형 거더의 내력과 외력 354

〈그림. 299〉 I형 프리스트레스 거더의 단면 354

〈그림. 300〉 중립축이 복부에 있는 I형 거더 360

〈그림. 301〉 중립축이 복부에 있는 I형 거더의 단면 360

〈그림. 302〉 I형 거더의 근사적 응력블록 364

〈그림. 303〉 응력 블록의 가정 368

〈그림. 304〉 실험에 의한 하중과 해석적 모델에 의한 하중과의 비교 372

〈그림. 305〉 UHPCC I형 거더의 단면과 가상 항복라인 378

〈그림. 306〉 upper bound 해석에 의한 파괴역학적 개념 380

〈그림. 307〉 미소단면과 미소체적에서 강섬유의 임의의 분포 383

〈그림. 308〉 강섬유 길이의 수직투영 계열 385

〈그림. 309〉 묻힌 강섬유 길이의 계열 385

〈그림. 310〉 I형 프리스트레스 거더의 중립축 판별 조건 389

〈그림. 311〉 프리스트레스 거더의 대각선 균열에 따른 응력 분포 390

〈그림. 312〉 콘크리트 인장응력에 의한 모멘트 요소 392

〈그림. 313〉 II type 프리스트레스 거더 균열단면의 응력분포 394

〈그림. 314〉 철근콘크리트 I형 거더의 중립축 판별 397

〈그림. 315〉 대각선 균열단면의 응력 분포 398

〈그림. 316〉 대각선 균열단면의 응력분포 399

〈그림. 317〉 x0에 따른 Vu와 Vcr(이미지참조)의 변화 401

〈그림. 318〉 12개 시험체의 x0(이미지참조)결정 402

〈그림. 319〉 최초의 복부 대각선 균열 413

〈그림. 320〉 프리스트레스 I형 거더의 최초 대각선 복부 균열면에서 응력 분포 414

〈그림. 321〉 복부 대각선 균열 418

〈그림. 322〉 철근콘크리트 I형 거더의 복부 대각선 균열의 응력분포 418

〈그림. 323〉 실험보의 강도와 이론적 강도와의 비교 423

〈그림. 324〉 콘크리트 인장구역의 응력-변형률 관계 431

〈그림. 325〉 VEM (Variable Engagement Model) 432

〈그림. 326〉 PS 강재의 Trilinear Model 432

〈그림. 327〉 NPW5L5의 하중과 변위 관계 434

〈그림. 328〉 HPW5L5의 하중과 변위 관계 434

〈그림. 329〉 FPW5L5의 하중과 변위 관계 435

〈그림. 330〉 NPW5L10의 하중과 변위 관계 435

〈그림. 331〉 HPW5L10의 하중과 변위 관계 436

〈그림. 332〉 FPW5L10의 하중과 변위 관계 436

〈그림. 333〉 FPW7L10의 하중과 변위 관계 437

〈그림. 334〉 NPW7L15의 하중과 변위 관계 437

〈그림. 335〉 HPW7L15의 하중과 변위 관계 438

〈그림. 336〉 FPW7L15의 하중과 변위 관계 438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