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1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1)
일반도서 (1)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자료명/저자사항
지반 내구성 강화를 위한 고칼슘계 차수성능 향상 기술개발 / 건설교통부 ; 한국건설교통기술평가원 [공편] 인기도
발행사항
경산 : 플러스환경건설, 2005
청구기호
전자형태로만 열람가능함
자료실
해당자료 없음
형태사항
xxxix, 396 p. : 삽화, 도표, 사진 ; 30 cm
제어번호
MONO1200713455
주기사항
주관연구기관: 플러스환경건설
2003 건설핵심기술연구개발사업 최종보고서
총괄연구책임자: 김세호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제출문

요약문

Summary

목차

Contents 25

제1장 서론 42

제1절 연구개발의 필요성 42

제2절 연구개발의 목적 및 내용 44

1. 연구개발의 최종목표 44

2. 연구내용 및 범위 45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48

제1절 국내 기술개발 현황 48

제2절 국외 기술개발 현황 49

제3절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 분석 52

제3장 연구개발 수행내용 및 결과 54

제1절 칼슘계 지반개량재 개발을 위한 문헌 연구 54

1. 심층혼합처리공법(Deep Soil Mixing Method)의 개요 54

2. 시멘트계 지반개량재 60

3. 시멘트계 지반개량재의 개량 원리 및 개량토의 특성 102

제2절 실험내용 및 방법 124

1. 실험개요 124

2. 실험항목 및 조건 126

3. 실험재료 127

4. 배합비 129

5. 시료성형 및 양생 130

6. 실험방법 131

제3절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지반개량재 개발 150

1. 산업부산물의 재료특성 150

2. 시멘트 혼합비에 따른 재료 특성 156

3. 산업부산물의 포졸란 반응특성 161

4. 최적의 산업부산물 혼합비 결정 166

5.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지반개량재의 개량효과 검증 173

제4절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지반개량재의 지반공학적 특성 182

1. 강도 특성 182

2. 투수 특성 187

3. 동결-융해, 습윤-건조에 대한 내구성 191

4. 침출수와의 화학적 적합성 195

5. 반응 메카니즘 197

제5절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지반개량재의 오염물질 제어능력 206

1. 개발된 지반개량재의 환경적 안정성 206

2. 중금속 흡착특성 206

3. 흡착평형모형의 적용 226

4. 혼합 중금속 시료에 대한 용출시험 227

5. 중금속+휴믹산 흡착실험 233

6. 페놀 흡착시험 234

7. 암모니아 제거능 평가시험 236

8. 암모니아 Freundlich Isotherm 237

9. 시안(CN) 제거능 평가시험 237

10. TCE, PCE 제거능 평가시험 239

11. 총량분석 및 연속추출법 결과 241

제6절 현장시험시공 244

1. 현장시험시공의 목적 244

2. 현장시험시공의 내용 244

3. 시공장비 244

4. 충북 진천 폐광산 지역 시험시공 246

5. 강원 정선 광미적치장 지역 256

6. 대구 칠곡 비위생매립장 지역 264

제7절 칼슘계 산업부산물 혼합재료의 설계ㆍ시공 및 품질관리지침(안) 276

제8절 연구 결론 및 향후 연구방향 278

1. 연구를 통한 발견사항 278

2. 연구결론 284

3. 향후 연구방향 286

제4장 연구개발목표 달성도 및 관련분야의 기여도 288

제1절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288

제2절 관련분야에의 기여도 289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 계획 290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 292

제7장 참고문헌 298

[부록] 304

판권지 438

〈표 2.1.1〉 국내 지반개량재 요약 48

〈표 2.2.1〉 특허분석을 통한 지반개량재 분야의 주요기술과제 50

〈표 2.2.2〉 국외 지반개량재 요약 50

〈표 3.1.1〉 혼합처리공법의 분류 54

〈표 3.1.2〉 대표적인 시멘트계 지반개량재의 종류와 특징 61

〈표 3.1.3〉 보통포틀랜드시멘트의 화학조성 65

〈표 3.1.4〉 보통포틀랜드시멘트의 화합물 66

〈표 3.1.5〉 슬래그의 용도 74

〈표 3.1.6〉 고로슬래그의 화학성분 범위(%) 75

〈표 3.1.7〉 석탄회의 화학적 구성성분(%) 81

〈표 3.1.8〉 석탄회 물리적 특성 82

〈표 3.1.9〉 석탄회 유효이용 84

〈표 3.1.10〉 각종 규소합금 제조시에 부산되는 실리카흄의 화학조성 89

〈표 3.1.11〉 벤토나이트의 양이온 교환능력 98

〈표 3.1.12〉 시멘트계 지반개량재에 의한 개량토의 양생온도와 일축압축강도 115

〈표 3.1.13〉 동상시험 예 118

〈표 3.1.14〉 시멘트계 지반개량재에 의한 개량토의 pH 시험 결과 121

〈표 3.2.1〉 실험항목 및 조건 126

〈표 3.2.2〉 지반개량재 혼합재료의 유해물질 용출량(ppm) 127

〈표 3.2.3〉 지반개량재 혼합재료의 화학성분 분석(%) 127

〈표 3.2.4〉 사용시료의 기본물성 128

〈표 3.2.5〉 강성벽과 연성벽 투수시험의 장단점 비교 137

〈표 3.2.6〉 일반적인 침출수의 성분(mg/L) 142

〈표 3.3.1〉 산업부산물의 재료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배합조건 150

〈표 3.3.2〉 산업부산물 종류에 따른 일축압축 강도실험 결과 151

〈표 3.3.3〉 시멘트를 기준으로한 산업부산물의 강도 백분율(%) 153

〈표 3.3.4〉 산업부산물의 재료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배합실험 조건(2차) 154

〈표 3.3.5〉 산업부산물 종류에 따른 일축압축 강도실험 결과(kg/㎠) 154

〈표 3.3.6〉 산업부산물 종류에 따른 투수계수(cm/sec) 155

〈표 3.3.7〉 시멘트 혼합비에 따른 특성을 알아보기 위한 배합조건 156

〈표 3.3.8〉 시멘트 혼합비에 따른 일축압축강도(kg/㎠) 157

〈표 3.3.9〉 시멘트 혼합비에 따른 강도 백분율(%) 158

〈표 3.3.10〉 시멘트 혼합비에 따른 투수계수(cm/sec) 160

〈표 3.3.11〉 산업부산물의 포졸란반응 특성 분석을 알아보기 위한 배합조건 161

〈표 3.3.12〉 산업부산물의 포졸란반응 특성 (kg/㎠) 163

〈표 3.3.13〉 고로슬래그와 석탄회의 혼합비에 따른 강도비(%) 163

〈표 3.3.14〉 화학적 활성화 실험 결과(kg/㎠) 164

〈표 3.3.15〉 석탄회와 석고비 혼합비에 따른 일축압축강도 167

〈표 3.3.16〉 고로슬래그의 혼합비에 따른 일축압축강도 168

〈표 3.3.17〉 화학적 활성화에 의한 일축압축강도 169

〈표 3.3.18〉 활성제의 효과검증 실험조건 및 결과 169

〈표 3.3.19〉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지반개량재의 구성비율(%) 173

〈표 3.3.20〉 개발된 지반개량재의 성능비교로 위한 배합조건 174

〈표 3.3.21〉 지반개량재 강도비교(kg/㎠) 175

〈표 3.3.22〉 지반개량재별 강도비 (%) 175

〈표 3.3.23〉 지반개량재별 투수계수(cm/sec) 177

〈표 3.3.24〉 지반개량재 구성성분의 가격(원/톤) 179

〈표 3.3.25〉 지반개량재 원가 계산표(생산량 : 300톤/1일(10시간 작업)) 181

〈표 3.4.1〉 양생일과 배합비에 따른 강도특성(kg/㎠) 182

〈표 3.4.2〉 양생일과 배합비에 따른 투수특성(cm/sec) 187

〈표 3.4.3〉 동결-융해에 의한 무게변화율(%; 잔류중량/기준중량×100) 191

〈표 3.4.4〉 동결-융해에 의한 무게손실량 192

〈표 3.4.5〉 습윤-건조에 의한 무게변화율(%; 잔류중량/기준중량×100) 193

〈표 3.4.6〉 습윤-건조에 의한 무게손실량 193

〈표 3.5.1〉 용출실험 결과 (ppm) 206

〈표 3.5.2〉 중금속의 등온흡착 결과(시멘트) 207

〈표 3.5.3〉 중금속의 등온흡착 결과(고로슬래그) 209

〈표 3.5.4〉 중금속의 등온흡착 결과(석탄회) 210

〈표 3.5.5〉 중금속의 등온흡착 결과(폐석고) 212

〈표 3.5.6〉 중금속의 등온흡착 결과(황산나트륨) 213

〈표 3.5.7〉 중금속의 등온흡착 결과(일본산 지반개량재) 215

〈표 3.5.8〉 중금속의 등온흡착 결과(국내산 지반개량재) 216

〈표 3.5.9〉 중금속의 등온흡착 결과(개발 지반개량재) 218

〈표 3.5.10〉 중금속의 등온흡착 결과(모래) 220

〈표 3.5.11〉 중금속의 등온흡착 결과(화강토) 221

〈표 3.5.12〉 중금속의 등온흡착 결과(점토) 222

〈표 3.5.13〉 중금속의 등온흡착 결과(Cu2+)(이미지참조) 223

〈표 3.5.14〉 중금속의 등온흡착 결과(Pb+)(이미지참조) 223

〈표 3.5.15〉 중금속의 등온흡착 결과(Cd2+)(이미지참조) 224

〈표 3.5.16〉 중금속의 등온흡착 결과(Zn2+)(이미지참조) 224

〈표 3.5.17〉 중금속의 등온흡착 결과(As) 225

〈표 3.5.18〉 중금속의 등온흡착 결과(Cr) 225

〈표 3.5.19〉 중금속의 등온흡착 결과(Ni) 225

〈표 3.5.20〉 NH₃-N의 등온흡착 실험결과 238

〈표 3.5.21〉 pH에 따른 TCE의 제거효율 240

〈표 3.5.22〉 pH에 따른 PCE의 제거효율 241

〈표 3.5.23〉 폐광산 흙의 용출실험 결과(mg/kg) 241

〈표 3.5.24〉 폐광산 흙의 중금속 총량(mg/kg) 242

〈표 3.6.1〉 현장토의 물성 246

〈표 3.6.2〉 실내배합실험 및 현장 시공 조건 248

〈표 3.6.3〉 실내실험과 현장실험의 강도 차이(kg/㎠) 251

〈표 3.6.4〉 실내실험과 투수계수 차이(cm/sec) 252

〈표 3.6.5〉 현장토의 물성 256

〈표 3.6.6〉 현장토의 물성 264

〈표 3.6.7〉 Slope/W 모델해석에 사용된 물성값 272

〈표 3.7.1〉 칼슘계 산업부산물 혼합재료의 설계ㆍ시공 및 품질관리지침(안)의 목차 277

〈표 4.1.1〉 연구개발 목표 달성도 288

〈그림 1.1.1〉 본 연구의 필요성 43

〈그림 1.2.1〉 본 연구의 목적 44

〈그림 2.1.1〉 국내 일반적인 지반개량재의 구성요소 48

〈그림 2.2.1〉 혼합처리공법의 국가별 출원비율 49

〈그림 2.2.2〉 혼합처리공법의 주요 출원인 49

〈그림 2.3.1〉 국내외 지반개량재 기술현황 비교 53

〈그림 3.1.1〉 심층혼합처리공법 DLM의 모식도 56

〈그림 3.1.2〉 슬러리계 심층혼합처리공법의 모식도 57

〈그림 3.1.3〉 분체계 심층혼합처리공법의 모식도 58

〈그림 3.1.4〉 분사식 심층혼합처리공법의 모식도 59

〈그림 3.1.5〉 시멘트계 지반개량재의 분류 61

〈그림 3.1.6〉 옹벽 기초지반 개량 예 62

〈그림 3.1.7〉 박스암거 기초지반 개량 예 63

〈그림 3.1.8〉 관암거 기초지반 개량 예 63

〈그림 3.1.9〉 법면 개량 예 63

〈그림 3.1.10〉 케이슨 기초지반의 개량 예 64

〈그림 3.1.11〉 성토의 미끄럼 방지를 위한 개량 예 64

〈그림 3.1.12〉 굴삭지반의 강화를 위한 개량 예 64

〈그림 3.1.13〉 소일시멘트 연속벽 구성 예 65

〈그림 3.1.14〉 보통포틀랜드시멘트의 수화반응 66

〈그림 3.1.15〉 시멘트 경화 진행 과정 67

〈그림 3.1.16〉 대전된 표면에서의 이온의 분포 68

〈그림 3.1.17〉 포졸란반응의 메카니즘 69

〈그림 3.1.18〉 시멘트와 유해물질의 상호반응 70

〈그림 3.1.19〉 pH에 따른 중금속 산화물의 최대 용해도 71

〈그림 3.1.20〉 pH에 따른 중금속 산화물의 용해도 71

〈그림 3.1.21〉 pH에 따른 구리의 흡착과 존재상태 72

〈그림 3.1.22〉 구리의 흙에 대한 침전 양상 72

〈그림 3.1.23〉 규소 표면에 가능한 3가지 흡착 메카니즘 73

〈그림 3.1.24〉 이온교환 과정의 전기적 힘의 예시 73

〈그림 3.1.25〉 몰탈강도에 따른 활성도 지수 78

〈그림 3.1.26〉 각종 시멘트의 초기재령에서의 강도발현 상태 79

〈그림 3.1.27〉 석탄회의 치환율과 압축강도의 관계 85

〈그림 3.1.28〉 실리카흄 혼합 콘크리트의 단위수량 변화 89

〈그림 3.1.29〉 실리카흄 혼합물과 AE제의 사용량과의 관계 90

〈그림 3.1.30〉 실리카흄의 혼합율과 압축강도 91

〈그림 3.1.31〉 시멘트 경화체의 공극분포 91

〈그림 3.1.32〉 몬모릴로나이트의 입자 구조 96

〈그림 3.1.33〉 점토입자의 구조 : 벤토나이트 입자의 입자 배열 96

〈그림 3.1.34〉 Na, Ca 벤토나이트의 팽창 97

〈그림 3.1.35〉 점토표면에서의 물의 흡착 메카니즘 99

〈그림 3.1.36〉 스테아릭산(Stearic Acid)의 분자구조 100

〈그림 3.1.37〉 PVA의 생성과정 100

〈그림 3.1.38〉 흙과 석회 및 흙과 시멘트의 강도증가 모델 102

〈그림 3.1.39〉 점토와 시멘트의 입경가적곡선의 일례와 개량 강도 103

〈그림 3.1.40〉 고유기질토용 시멘트계 지반개량재를 물과 혼합한 상태 105

〈그림 3.1.41〉 일반 연약토용 시멘트계 지반개량재를 물과 혼합한 상태 105

〈그림 3.1.42〉 점토에 8%의 일반 연약토용 시멘트계 지반개량재를 혼합한 상태 106

〈그림 3.1.43〉 재령 7년 X선 회절 패턴 106

〈그림 3.1.44〉 개량토 특성에 대한 영향인자 107

〈그림 3.1.45〉 개량 전후의 흙의 습윤밀도 108

〈그림 3.1.46〉 석탄회 첨가에 따른 점토의 액성한계, 소성지수의 감소 109

〈그림 3.1.47〉 시멘트계 지반개량재로 개량한 실트의 재령과 일축압축강도 110

〈그림 3.1.48〉 토질에 따른 지반개랑재 첨가량과 일축압축강도 111

〈그림 3.1.49〉 재령 7일과 재령 28일의 일축압축강도 관계(슬러리 첨가) 113

〈그림 3.1.50〉 유기질토의 개량강도 예 114

〈그림 3.1.51〉 함수비의 일축압축강도에 대한 영향 114

〈그림 3.1.52〉 후민산 혼합비 Fw/Ww와(이미지참조) 일축압축강도의 관계 115

〈그림 3.1.53〉 지반개량재 첨가량과 투수계수 116

〈그림 3.1.54〉 재령 10년까지의 일축압축강도의 관계 117

〈그림 3.1.55〉 개량토의 장기강도 예 117

〈그림 3.1.56〉 동상률과 일축압축강도의 관계 118

〈그림 3.1.57〉 동결-융해 시험 예 119

〈그림 3.1.58〉 습윤-건조 시험 예 119

〈그림 3.1.59〉 침출수에 의한 투수계수 변화 120

〈그림 3.1.60〉 표면수 및 침투수의 pH 122

〈그림 3.1.61〉 장기 pH 측정결과 122

〈그림 3.1.62〉 개량토의 pH 추적조사 예 123

〈그림 3.2.1〉 시료 성형 장면 130

〈그림 3.2.2〉 시료 양생 장면 130

〈그림 3.2.3〉 유기물함량 측정 장면 131

〈그림 3.2.4〉 pH 측정 장면 132

〈그림 3.2.5〉 함수비 측정 장비 132

〈그림 3.2.6〉 회분식 용출실험 장면 133

〈그림 3.2.7〉 AAS 모식도 134

〈그림 3.2.8〉 AAS(Atomic Absorption Spectrometry) 장비 135

〈그림 3.2.9〉 XRF 실험기 135

〈그림 3.2.10〉 일축압축강도 실험 장면 136

〈그림 3.2.11〉 투수시험기의 모식도 138

〈그림 3.2.12〉 투수실험 장면 138

〈그림 3.2.13〉 습윤-건조시험에 사용된 건조로 및 항온수조 139

〈그림 3.2.14〉 동결-융해시험에 사용된 냉장함 및 시료거취 장면 140

〈그림 3.2.15〉 동결-융해 및 습윤-건조시험 중 시료 무게측정 장면 141

〈그림 3.2.16〉 침출수를 이용한 투수실험 장면 142

〈그림 3.2.17〉 Column 실험기 모식도 144

〈그림 3.2.18〉 SEM의 원리 148

〈그림 3.3.19〉 SEM 장비 148

〈그림 3.3.1〉 산업부산물 혼합시료의 일축압축강도(1차 배합시험) 152

〈그림 3.3.2〉 산업부산물 종류에 따른 일축압축강도 비교 152

〈그림 3.3.3〉 산업부산물 종류에 따른 일축압축강도비 153

〈그림 3.3.4〉 산업부산물 혼합시료의 일축압축강도(2차 배합시험) 154

〈그림 3.3.5〉 산업부산물 종류에 따른 투수계수 155

〈그림 3.3.6〉 시멘트 혼합비에 따른 일축압축강도 157

〈그림 3.3.7〉 시멘트 혼합비에 따른 일축압축강도비(%) 158

〈그림 3.3.8〉 시멘트 혼합비에 따른 투수계수 160

〈그림 3.3.9〉 산업부산물 종류에 따른 포졸란반응 특성 163

〈그림 3.3.10) 고로슬래그와 석탄회 혼합비에 따른 강도비 164

〈그림 3.3.11〉 화학적 활성화에 의한 일축압축강도 변화 165

〈그림 3.3.12〉 화학적 활성화에 의한 미시구조 변화(양생 28일) 165

〈그림 3.3.13〉 석탄회와 석고의 혼합비에 따른 일축압축강도 167

〈그림 3.3.14〉 고로슬래그의 혼합비에 따른 일축압축강도 167

〈그림 3.3.15〉 화학적 활성화에 의한 일축압축강도 168

〈그림 3.3.16〉 활성제 종류에 따른 일축압축강도 170

〈그림 3.3.17〉 활성제 종류에 따른 투수계수 171

〈그림 3.3.18〉 활성제에 따른 시료 SEM 172

〈그림 3.3.19〉 지방개량재별 일축압축강도 176

〈그림 3.3.20〉 지방개량재별 일축압축강도비(%) 177

〈그림 3.3.21〉 지방개량재별 투수계수 178

〈그림 3.3.22〉 지반개량재의 가격/강도비 180

〈그림 3.4.1〉 양생일과 배합비에 따른 일축압축강도 변화(모래) 183

〈그림 3.4.2〉 양생일과 배합비에 따른 일축압축강도 변화(화강토) 183

〈그림 3.4.3〉 양생일과 배합비에 따른 일축압축강도 변화(점토) 184

〈그림 3.4.4〉 재령 7일, 28일 일축압축강도의 상관관계(모래) 185

〈그림 3.4.5〉 재령 7일, 28일 일축압축강도의 상관관계(화강토) 186

〈그림 3.4.6〉 재령 7일, 28일 일축압축강도의 상관관계(점토) 186

〈그림 3.4.7〉 양생일과 배합비에 따른 투수계수 변화(모래) 188

〈그림 3.4.8〉 양생일과 배합비에 따른 투수계수 변화(화강토) 189

〈그림 3.4.9〉 양생일과 배합비에 따른 투수계수 변화(점토) 190

〈그림 3.4.10〉 동결-융해를 받은 시료의 잔류중량비 191

〈그림 3.4.11〉 동결-융해에 의한 일축압축강도 변화 192

〈그림 3.4.12〉 동결-융해에 의한 투수계수 변화 192

〈그림 3.4.13〉 습윤-건조를 받은 시료의 잔류중량비 193

〈그림 3.4.14〉 습윤-건조에 의한 일축압축강도 변화 194

〈그림 3.4.15〉 습윤-건조에 의한 투수계수 변화 194

〈그림 3.4.16〉 침출수와 증류수를 사용한 투수계수의 비교 195

〈그림 3.4.17〉 침출수와 증류수를 사용한 일축압축강도의 비교 196

〈그림 3.4.18〉 지반개량재에 따른 SEM결과(모래) 198

〈그림 3.4.19〉 지반개량재에 따른 SEM결과(화강토) 199

〈그림 3.4.20〉 지반개량재에 따른 SEM결과(점토) 200

〈그림 3.4.21〉 개발된 지반개량재의 XRD 결과 201

〈그림 3.4.22〉 지반개량재에 따른 XRD결과(모래) 203

〈그림 3.4.23〉 지반개량재에 따른 XRD 결과(화강토) 204

〈그림 3.4.24〉 지반개량재에 따른 XRD 결과(점토) 205

〈그림 3.5.1〉 중금속의 등온흡착 결과(시멘트) 207

〈그림 3.5.2〉 중금속의 등온흡착 결과(고로슬래그) 209

〈그림 3.5.3〉 중금속의 등온흡착 결과(석탄회) 211

〈그림 3.5.4〉 중금속의 등온흡착 결과(폐석고) 212

〈그림 3.5.5〉 중금속의 등온흡착 결과(황산나트륨) 214

〈그림 3.5.6〉 중금속의 등온흡착 결과(일본산 지반개량재) 216

〈그림 3.5.7〉 중금속의 등온흡착 결과(국내산 지반개량재) 217

〈그림 3.5.8〉 중금속의 등온흡착 결과(개발 지반개량재) 218

〈그림 3.5.9〉 중금속의 등온흡착 결과(모래) 220

〈그림 3.5.10〉 중금속의 등온흡착 결과(화강토) 221

〈그림 3.5.11〉 중금속의 등온흡착 결과(점토) 222

〈그림 3.5.12〉 흡착평형모형의 분류 227

〈그림 3.5.13〉 단일시료의 주상식 용출실험 결과(BV) 228

〈그림 3.5.14〉 단일시료의 주상식 용출실험 결과(평형시간) 228

〈그림 3.5.15〉 혼합시료의 주상식 용출실험 결과(평형시간) 228

〈그림 3.5.16〉 pH에 따른 제거 효율(Cu) 229

〈그림 3.5.17〉 pH에 따른 제거 효율(Pb) 230

〈그림 3.5.18〉 pH에 따른 제거 효율(Cd) 231

〈그림 3.5.19〉 pH에 따른 제거 효율(Zn) 232

〈그림 3.5.20〉 휴믹산의 혼합량에 따른 Cu2+의(이미지참조) 제거율 233

〈그림 3.5.21〉 휴믹산의 혼합량에 따른 Cd2+의(이미지참조) 제거율 233

〈그림 3.5.22〉 휴믹산의 혼합량에 따른 Pb2+의(이미지참조) 제거율 234

〈그림 3.5.23〉 휴믹산의 혼합량에 따른 Zn2+의(이미지참조) 제거율 234

〈그림 3.5.24〉 지반개량재(10%)에 대한 평형시간 235

〈그림 3.5.25〉 지반개량재(15%)에 대한 평형시간 235

〈그림 3.5.26〉 지반개량재(20%)에 대한 평형시간 235

〈그림 3.5.27〉 pH에 따른 NH₃-N의 제거효율(지반개량재 10%) 236

〈그림 3.5.28〉 pH에 따른 NH₃-N의 제거효율(지반개량재 15%) 236

〈그림 3.5.29〉 pH에 따른 NH₃-N의 제거효율(지반개량재 20%) 237

〈그림 3.5.30〉 pH에 따른 CN의 제거율(pH 4) 238

〈그림 3.5.31〉 pH에 따른 CN의 제거율(pH 7) 239

〈그림 3.5.32〉 pH에 따른 CN의 제거율(pH 12) 239

〈그림 3.5.33〉 pH에 따른 TCE의 Equilibrium Test 240

〈그림 3.5.34〉 pH에 따른 PCE의 Equilibrium Test 240

〈그림 3.5.35〉 연속추출에 의한 분포형태(지반개량재 10%) 242

〈그림 3.5.36〉 연속추출에 의한 분포형태(지반개량재 15%) 243

〈그림 3.5.37〉 연속추출에 의한 분포형태(지반개량재 20%) 243

〈그림 3.6.1〉 시공장비 245

〈그림 3.6.2〉 장비 시스템 구성도 245

〈그림 3.6.3〉 시공순서도 245

〈그림 3.6.4〉 현장토의 입도곡선 246

〈그림 3.6.5〉 현장시험시공 모식도(충북 진천 폐광산) 247

〈그림 3.6.6〉 진천 폐광산 전경 248

〈그림 3.6.7〉 심층혼합처리장비 전경 249

〈그림 3.6.8〉 심층혼합처리 장비를 이용한 관입 시공 249

〈그림 3.6.9〉 개량재 혼합 장비 250

〈그림 3.6.10〉 분말 개량재 및 물과 혼합된 개량재 250

〈그림 3.6.11〉 현장시료 채취 및 샘플링 250

〈그림 3.6.12〉 실내실험과 현장실험의 강도 차이 251

〈그림 3.6.13〉 실내실험과 현장실험의 투수계수 차이 252

〈그림 3.6.14〉 심도별 일축압축강도 253

〈그림 3.6.15〉 수치해석을 위한 모델조건 254

〈그림 3.6.16〉 연직차수재를 설치하지 않은 경우의 지하수 흐름 254

〈그림 3.6.17〉 연직차수재를 1열 설치한 경우의 지하수 흐름 255

〈그림 3.6.18〉 연직차수재를 2열 설치한 경우의 지하수 흐름 255

〈그림 3.6.19〉 현장토의 입도곡선 256

〈그림 3.6.20〉 현장시험시공 모식도(강원 정선 폐광미 적치장) 257

〈그림 3.6.21〉 실내배합시험 결과(일축압축강도) 258

〈그림 3.6.22〉 실내배합시험 결과(투수계수) 258

〈그림 3.6.23〉 폐광미 적치장 전경 259

〈그림 3.6.24〉 폐광미(상부 30cm정도는 화강토로 복토되어 있음) 259

〈그림 3.6.25〉 심층혼합처리 장비를 이용한 관입 시공 259

〈그림 3.6.26〉 시공장비 전경 260

〈그림 3.6.27〉 지반개량재 공급 플랜트 260

〈그림 3.6.28〉 시료채취 및 샘플링 261

〈그림 3.6.29〉 저시멘트계 지반개량재와 시멘트의 강도비교 261

〈그림 3.6.30〉 저시멘트계 지반개량재와 시멘트의 투수계수비교 262

〈그림 3.6.31〉 저시멘트계 지반개량재 첨가에 따른 폐광미의 pH 변화 263

〈그림 3.6.32〉 현장토의 입도곡선 264

〈그림 3.6.33〉 현장시험시공 모식도(대구 칠곡 비위생매립장) 265

〈그림 3.6.34〉 실내배합시험 결과(일축압축강도) 265

〈그림 3.6.35〉 실내배합시험 결과(투수계수) 266

〈그림 3.6.36〉 비위생매립장 전경 266

〈그림 3.6.37〉 심층혼합처리 장비를 이용한 관입 시공 266

〈그림 3.6.38〉 시공장비 전경 267

〈그림 3.6.39〉 지반개량재 플랜트 267

〈그림 3.6.40〉 자동 제어장치 268

〈그림 3.6.41〉 시공심도 측정기 268

〈그림 3.6.42〉 저시멘트계 지반개량재와 시멘트의 강도비교 269

〈그림 3.6.43〉 저시멘트계 지반개량재와 시멘트의 투수계수비교 269

〈그림 3.6.44〉 심층혼합처리 기둥체의 시공순서 및 명칭 270

〈그림 3.6.45〉 시공위치에 따른 일축압축강도 270

〈그림 3.6.46〉 시공위치에 따른 투수계수 271

〈그림 3.6.47〉 원지반 및 개량체 주변의 pH 271

〈그림 3.6.48〉 수치해석을 위한 지반조건 및 모델 273

〈그림 3.6.39〉 심층혼합처리 공법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의 제방 안정성 분석 결과 274

〈그림 3.6.39〉 심층혼합처리 공법을 적용하지 않은 경우의 제방 안정성 분석 결과 275

〈그림 6.1.1〉 산업부산물을 이용한 지반개량재 294

〈그림 6.1.2〉 일본에서 개발된 중성 지반개량재 294

〈그림 6.1.3〉 심층혼합 시공장비 295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