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강영혜(2008). 사교육의 실태와 대처 방안 현안보고. 서울: 한국교육개발원.(Translated in English) Kang, Y.H.(2008). The Actual Condition and it’s Coping Plan on the Private Education. Seoul: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 미소장 |
2 | 교육부(2014).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 매뉴얼 북.(Translated in English) Ministry of Education(2014). Manual for the Special Law for Promotion on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and Regulation of Preceding Education. | 미소장 |
3 | 교육부(2017). 「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 매뉴얼 북.(Translated in English) Ministry of Education(2017). Manual for the Special Law for Promotion on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and Regulation of Preceding Education. | 미소장 |
4 | 김승호(1994). 학교교육 성과에 대한 학부모의 평가 연구. 박사학위논문.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Translated in English) Kim, S.H.(1994). A Study on the Parents’ Evaluation of School Performance.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 미소장 |
5 | 김정민, 김일혁, 김정숙, 김근화(2013). 학교교육 내 선행학습 유발 요인 분석 및 해소 방안 연구(연구보고 OR 2013-11). 서울: 한국교육개발원.(Translated in English) Kim, J.M., Kim, I.H., Kim, J.S., Kim, G.W.(2013). The Study on the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Prior Learning in School and Improvement Plan(OR 2013-11). Seoul: Korean Education Development Institute. | 미소장 |
6 | Analysis on the Effect of Private Tutoring:Propensity Score Matching Model | 소장 |
7 | 동아닷컴 디지털뉴스팀(2014. 9. 14). 공교육정상화법 시행, 선행교육·유발행위 금지…초등 영어만 허용. 동아닷컴 사이트(http://news.donga.com/3/all/20140914/66390161/1) 2017. 9. 1열람(Translated in English) Donga.comDegitalnewsTeam(2014.9.14.). The Implement of the Special Law for Promotion on Normalization of Public Education and Regulation of Preceding Education, Prohibition of Prior Teaching except Elementary School English. Donga.com. http://news.donga.com/3/all/20140914/66390161/1 2017. 9. 1 열람 | 미소장 |
8 | Effect of Academic Achievement on the Use of Private Tutoring in Korea | 소장 |
9 | 안상진(2014). 선행학습의 실태와 원인. pp. 1-19. 한국교육과정평가원(2014). 제1차 ‘공교육 정상화’ 정책 포럼(연구자료 ORM 2014-50).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Translated in English) Ahn, S.J.(2014). The Status and Source of the Prior Teaching, pp, 1-49. Korea Institution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2014). The 1st Policy Forum “Public Education Normalization”(ORM 2014-50). Seoul: Korea Institution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 미소장 |
10 | 양정호(2008). 교육 양극화와 공교육 활성화 방안. 국회도서관보, 45(10). 33-39.(Translated in English) Yang, J.H.(2008). Educational Polarization and Revitalization of Education. National Assembly Library Review, 45(10). 33-39. | 미소장 |
11 | 연합뉴스(2016. 6. 12). 저소득층 학생 10% 이상이면 방과후 선행학습 허용. 연합뉴스.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6/10/0200000000AKR20160610126000004.HTML?input=1179m 2017. 9. 1 열람(Translated in English) Yonhapnews(2016. 6. 12). Prior Teaching in the After-School is Permitted When the Ratio of the Low Income students is over 10%. http://www.yonhapnews.co.kr/bulletin/2016/06/10/0200000000AKR20160610126000004.HTML?input=1179m 2017. 9. 1 열람 | 미소장 |
12 | 이승미(2008). 학교의 교육과정 책무성에 관한 연구 – 교육법규와 국가교육과정 총론을 중심으로.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Translated in English) Lee, S.M.(2008), A Study on School’s Curricular Accountability in the Educational Laws, Regulations and the General Guideline of National Curriculum. Unpublished doctoral dissertation. Korea University. | 미소장 |
13 | A Study on the Curricular Autonomy in the history of the General Guideline of the National Curriculum | 소장 |
14 | 이승미, 김경희, 정은주, 김선희, 옥현진, 오수정(2015). 공교육정상화를 위한 초·중학교 교과 교육의 질 관리 방안 – 국어, 수학, 영어과를 중심으로(연구보고 RRC 2015-13).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Translated in English) Lee, S.M., Kim, K.H., Jung, E.J., Kim, S.H., Ok, H.J., Oh, S.J.(2015). A Study on Quality Management of Subject Education to Normalize Public Education– focused on Korean Language, Mathematics, and English(RRC 2015-13). Seoul: Korea Institution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 미소장 |
15 | 이승미, 안태연, 김선희(2016). ‘공교육정상화법’ 적용의 실효성 제고 방안(연구보고 RRI 2016-7).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Translated in English) Lee, S.M., Ahn, T.Y., Kim, S.H.(2015). Suggetstions for the Improvement of ‘School Learning Enhancement and Prioir Learning Prevetion Law’(RRI 2016-7). Seoul: Korea Institution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 미소장 |
16 | 이화진, 김민정, 이대식, 손승현(2009). 학습부진 학생 지도·지원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대안 탐색-학습부진 학생 지도·지원 종합 계획(안) 제안을 중심으로- (연구보고 RRI 2009-13).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Translated in English) Lee, W.J. Kim, M.J., Lee, D.S., Son, S.H.(2009). Seeking for the better instruction and support for low achievers in schools: A Framework for educational policy-making for low achievers(RRI 2009-13). Seoul: Korea Institution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 미소장 |
17 | 홍선주, 이혜원, 최인선, 이명진, 박형준, 최혁준(2015). 선행교육 예방을 위한 고등학교 교육과정 및 평가 개선 연구(연구보고 RRC 2015-30).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Translated in English) Hong, S.J., Lee, H.W., Choi, I.S., Lee, M.J., Park, H.J., Choi, H.J.(2015). A Study on How to Improve Curriculum and Evaluation for a Prevention of Prior Learning in High Schools(RRC 2015-30). Seoul: Korea Institution for Curriculum and Evaluation. | 미소장 |
18 | Darling-Hammond, L. & Ascher, C.(1991). Accountability Mechanisms in Big City School Systems. ERIC/CUE Digest No. 71.(ED334311). | 미소장 |
19 | Kogan, M.(1986). Educational Accountability. London: Hutchinson & Co. Ltd. 2016.12.20., 일부개정). 국가법령정보센터 사이트http://www.law.go.kr/lsSc.do?menuId=0&subMenu=1&query=%EA%B3%B5%EA%B5%90%EC%9C%A1%EC%A0%95%EC%83%81%ED%99%94%EB%B2%95#undefined. 2017. 9. 1. 열람. | 미소장 |
20 | 공교육정상화법 시행령(공교육 정상화 촉진 및 선행교육 규제에 관한 특별법 시행령)(대통령령제27477호, 2016.9.5., 일부개정). 국가법령정보센터 사이트http://www.law.go.kr/lsSc.do?menuId=0&subMenu=1&query=%EA%B3%B5%EA%B5%90%EC%9C%A1%EC%A0%95%EC%83%81%ED%99%94%EB%B2%95#undefined. 2017. 9. 1. 열람. | 미소장 |
21 | 초·중등교육법(법률 제14603호, 2017.3.21., 일부개정). 국가법령정보센터 사이트. http://www.law.go.kr/lsSc.do?menuId=0&subMenu=1&query=%EA%B3%B5%EA%B5%90%EC%9C%A1%EC%A0%95%EC%83%81%ED%99%94%EB%B2%95#undefined. 2017. 9. 1. 열람.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