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스마트글래스 시장은 최근 급속히 성장하고 있으며 초창기의 특이한 외형을 벗어나 안경프레임과 같은 형태로 발전하고있다. 안경은 얼굴의 극소 부위에 상당한 무게가 집중되므로 인체에 착용하는 제품 중에서 인체적합성이 가장 요구되는제품이라 할 수 있다. 스마트 글래스의 경우 디지털 기기를 포함하고 있어 인체에 대한 하중 압박이 보다 심각할 것으로예상되므로 무게감을 적절히 분산하고 인체에 대한 압박을 줄일 수 있도록 인간공학적인 사이즈 시스템 개발이 절실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마트글래스 설계를 위한 안경프레임 사이즈 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을 목표로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글래스 설계를 위한 안경프레임 사이즈 시스템 개발을 위하여 3차원 인체측정 데이터베이스를 활용하여한국 성인 남성의 얼굴 부위 치수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를 위하여 제6차 사이즈코리아 사업에서 수집된 2-30대 성인 남성 365인의 3차원 머리 측정항목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머리 부위의 3차원 측정 항목 중에서, 안경프레임 설계와 관련성이 낮은 수직길이 항목과 호길이 항목, 수직길이항목에 관련된 항목 등을 제외하여 8개 항목을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안경프레임 설계에 관련된 인체치수항목을 요약하기 위한 요인분석 결과 총 3개의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Front, Temple. Bridge 요인으로 명명하였다. 각 요인의 대표 측정 항목인 눈살귀구슬수평길이, 귀바퀴사이너비, 눈구석사이너비를 평균과 표준편차를 이용하여 구간화하였고 이에 대한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총 7개 사이즈 구간이 도출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글래스 설계에 활용할 수 있도록 각 사이즈 구간의 커버율과 인체측정항목의 대표치수를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안경프레임 산업계에서 필요로 하는 인간공학적 사이즈 정보를 제공하는 프로세스를 제안하여 다양한 산업분야에서 수요자 중심 사이즈 정보를 제공하는 연구방법론을 제안하였다
In product design, human body measurements are essential when it should come to products that need to fit the contour of the human body. When designing these products, designers must integrate anthropometric dimensions in their design process to optimize the usability and function of the product. In spite of the wide variety of available anthropometric data, designers most commonly use traditional anthropometric information because of the difficulty of 3D data handling. A size system and application model for spectacle frame based on 3D body data is urgently required by smart glass industries. The 8 measurement items of 365 males, aged 20-39 years were used to analysis by statistical methods. Factor analysis and crosstabulation analysis were performed using these data.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교육과학기술부.『혼합현실 인터페이스를 위한 스마트 안경 기술』. 2013 | 미소장 |
2 | 기술표준원. 『제6차 한국인 인체치수 3차원 형상측정 조사사업』. 2010 | 미소장 |
3 | A Comparative Study on the Current Status of Spectacle Frames Standards | 소장 |
4 | Development of Standard Sizing System for Taekwondo Uniform | 소장 |
5 | A Study on the Sizing System of Head Wears According to the Head Types | 소장 |
6 | Ophthalmic Anthropometry for Dimensions of Spectacle Frame in Korean Children - Measurements for spectacles front and sides - ![]() |
미소장 |
7 | Facial measurements for frame design. ![]() |
미소장 |
8 | Ophthalmic anthropometry for Hong Kong Chinese adults. ![]() |
미소장 |
9 | Darryl Meister & James E. Sheedy. Introduction to ophthalmic optics. Carl zeiss vision. 2008 | 미소장 |
10 | X. Liu, J. Wu, X. He, & H. Li. 「Facial dimensions driven design and optimization techniques or spectacles」. Journal of theoretical and applied information technology, 48(2). 2013 | 미소장 |
11 | Young Lim Choi. 「Developing size specifications of 3D body models for males aged between 7 and 18」. Advanced Materials Research, 605-607, 2013 | 미소장 |
12 | http://www.brillen-sehhilfen.de/en/googleglass/ | 미소장 |
13 | http://www.dailymail.co.uk/sciencetech/article-2543395/The-end-mechanic-Smart-glasses-make-possible-fix-car-engine-just-looking-it.html | 미소장 |
14 | http://www.epson.com | 미소장 |
15 | http://www.pcworld.com/article/2084969/glassup-smartglasses-a-more-tasteful-simplified-take-on-wearable-face-tech.html | 미소장 |
16 | https://developer.sony.com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2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