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프랑스민법상 무체동산질권 / 남효순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서울대학교법학연구소, 2014.09.30
수록지명
(서울대학교)法學 = Seoul law journal. 제55권 제3호 통권 제172호 (2014년 9월), pp.163-220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4357616
주기사항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KCI 등재학술(후보)지임
원문

초록보기 더보기

프랑스민법전은 2006년 3월 23일자 오르도낭스에 의하여 무체동산(meubles incorporels)에 대한 질권의 설정을 일반적으로 인정하였다(제2355조). 무체동산질권에 대한 독자성을 인정하면서 그 명칭도 유체동산을 대상으로 하는 질권을 “gage”라고 부르는 반면에, 무체동산에 대한 질권은 “nantissement”이라고 부르게 되었다. 프랑스민법이 인정하는 무체동산에는 동산점용권(usufruit sur mobilliers), 동산반환청구권(action en revendication d’une propriété mobilère), 계약상 또는 불법행위상의 손해배상청구권의 소권과 같은 “객체에 의한 동산(meuble par objet)”과 금전 또는 동산을 목적으로 하는 채권과 같은 “법률규정에 의한 동산(meuble par la déterminationde la loi)”이 있다. 그 밖에 지적재산권 등의 특수한 무체재산의 질권에 대하여는 상법전과 지적재산권법 등이 이를 규율하고 있다. 또 2006년 3월 23일자 오르도낭스는 무체동산질권을 인정하는 이외에 신탁(fiducie)에 의한 무체동산에 대한 질권의 설정도 인정하기에 이르렀다. 무체재산은 Dailly양도의 경우처럼 채권자에게 직접적으로 양도될 수는 없고 담보의 목적에 따라 즉, 채권자의 이익을 위하여 수탁자에 의하여 관리되는 별개의 신탁재산으로 양도될 수 있을 뿐이다. 이에 반하여 Dailly양도는 직업채권의 양도를 통하여 질권의 설정을 인정하는 것으로, 이는 금융재정법전 제L313-23조 내지 제L313-35조에 의하여 규율되고 있다.

채권질권은 무체동산질권의 전형이라고 할 수 있는데, 프랑스민법전은 제2355조에서 제2366조에 걸쳐 이에 대하여 상세한 규정을 두고 있다. 개정 전 채권질권은 공정증서 또는 등록된 사서증서로 설정하여야 하고 그렇지 않을 경우 채권질권의 설정은 무효가 되었지만(개정 전 제2075조), 에 의하여 서면은 등록되지 않은 사서증서일 수도 있다(제2356조 제1항). 또 개정 전과는 반대로 프랑스민법전은 채권증서의 교부요건을 완전히 폐지함으로써 채권질권의 설정을 단순화시켰다. 프랑스민법전은 채권에 대한 질권은 설정서면의 기재일에 당사자 사이에서 효력을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제3자와의 관계에서도 대항력을 가지고(제2361조), 채무자에 대한 대항력은 질권이 설정된 사실을 통지하거나 채무자가 설정행위에 참가하는 경우에 인정하고 있다(제2362조). 한편 개정 프랑스민법 제2366조에 의하면, 채권질권의 고유한 효력으로서 채권질권자만이 채무자로부터 직접 유효하게 원본과 이자의 변제를 받을 수 있는데, 질물인 채권의 변제기가 피담보채권의 변제기보다 먼저 도래한 경우와 질물인 채권의 변제기가 피담보채권의 변제기보다 나중에 도래한 경우 구분하여 규정하고 있다(제2364조 및 제2365조).

담보신탁에 의한 질권의 설정은 프랑스민법전 제2372-1조 내지 제2372-5조에 규정되어 있다. 담보신탁은 신탁계약에 관한 제2018조가 규정하는 사항을 기재하여야할 뿐 아니라 그 외에 피담보채무와 신탁재산으로 이전될 동산 또는 권리의 감정가액을 기재하여야 한다(제2372-2조). 또 피담보채무의 변제가 없을 경우 신탁계약에 반대의 약정이 없는 한 수탁자가 채권자인 때에는 담보목적으로 양도된 동산 또는 권리에 대한 처분권을 취득하고(제2372-3조 제1항), 수탁자가 채권자가 아닌 경우에는 채권자는 수탁자에게 동산의 교부를 요구하여 이를 자유롭게 처분할 수 있다(제2372-3조 제2항). 프랑스민법전은 담보신탁에 의한 질권의 경우 담보권의 실현에 관한 당사자의 약정과 유질계약을 금지하지 않는다.

Le Code civil franais, par l’ordonnance du 23 mars 2006, énonce le principe général selon lequel tous les meubles incorporels peuvent être affectés en nantissement pour garantir une obligation (article 2355). Les sûretés sur les meubles incorporelss’appellent ≪nantissements≫ alors que celles-ci sur les meubles corporels sont≪gages≫. En droit francais les meubles incorporels sont constitués, d’une part, par lesmeubles par objet et, d’autre part, par les meubles par la létermination de la loi ;ceux-ci sont l’usufruit sur mobilliers et l’action en revendication d’une propriété mobilère etc. et ceux-là sont les obligations et actions qui ont pour objet des sommes exigibles ou des effets mobiliers etc. Le nantissement sur les meubles incorporeles, par exemple, la propriété intellectuelle n’est pas réglé par le Code civil mais le Code commercial et le Code de la propriete intellectuelle.

Le Code civil francais (articles 2011 et s.), également par l’ordonnance du 23 mars 2006, a consacré une nouvelle technique juridique dite “la fiducie-sûreté”.

S’agissant de cette technique, elle constitue pour la garantie des créances un patrimoine fiduciaire. S’agissant des créances, celles-ci vont être cédées à titre de garantie, non pas directement au créancier comme dans la cession Dailly, mais dans un patrimoine fiduciaire distinct qui sera géré par le fiduciaire conformément à ce butde garantie, c’est-à-dire dans l’intérêt du créancier. En revanche, cession Dailly a pour objet de céder les creances professionnelles. Elle est régie par les articles L313-23 à L313-35 du Code monétaire et financier.

Etant donné que le nantissement sur les créances est le modèle du nantissment général des meubles incorporels, il est réglé par les articles de 2355 à 2366 du Code civil francais. Avant la réforme du Code civil il devait être conclu par un acte authentique ou un acte sous seing privé dûment enregistré à peine de nullité (ancien article 2075), alors que le nouvel article 2356 (alinéa 1er) exige seulement qu’il soit conclu par écrit. Cet écrit peut être un acte authentique ou un acte sous seing privé et, dans cette dernière hypothèse, il n’est plus nécessaire qu’il soit enregistré.

Contrairement au droit antérieur à la réforme du 23 mars 2006, le Code civil a abandonné totalement l’exigence d’une remise du titre et rend ainsi la constitution du nantissment de créances plus simple à réaliser. Selon la réforme, le nantissement des créances, présente ou future, prend effet entre les parties et devient opposable aux tiers à la date de l’acte (article 2361). Il doit également être notifié au tiers ou ce dernier doit intervenir à l’acte pour être opposable au débiteur de la créance nantieet à défaut, seul le constituant recoit valablement paiement de la créance (article 2362).

Selon le nouvel aricle 2366, par l’effet spécifique du nantissemet des créances, seul le créancier nanti peut recevoir valablement paiement de la créance donnée en nantissemnt, tant en capital qu’en intérêt. Les articles du 2364 et 2366 réglementent les cas suivant lequels la créance nantie est échue avant ou après la créance garantie.

S’agissant de la fiducie-sûreté, elle est régie par les articles du 2372-1 à 2372-5 du Code civil. Selon l’article 2372-2, en cas de fiducie conclue à titre de garantie, le contrat mentionne à peine de nullité, outre les dispositions prévues à l’article 2018, la dette garantie et la valeur estimée du bien ou du droit transféré dans le patrimoine fiduciaire. A défaut de paiement de la dette garantie et sauf stipulation contraire du contrat de fiducie, le fiduciaire, lorsqu’il est le créancier, acquiert la libre disposition du bien ou du droit cédé a titre de garantie (alinéa 1er de l’article 2372-3)et lorsque le fiduciaire n’est pas le créancier, ce dernier peut exiger de lui la remise du bien, dont il peut alors librement disposer, ou, si le contrat de fiducie le prévoit,la vente du bien ou du droit cédé et la remise de tout ou partie du prix (alinéa 2 del’article 2372-3).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통일헌법의 제정 방법과 국가조직 이효원 pp.31-66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일본에서의 입체상표의 식별력 판단에 관한 비교법적 고찰 정태호 pp.257-291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부가가치세법 제14조 제1항 제2호가 규정하는 이른바 '부수재화·용역 공급'의 범위를 어떻게 정하여야 하는가? : 대법원 2002. 11. 8. 선고 2001두4849 판결과 대법원 2013. 6. 28. 선고 2013두932 판결을 중심으로 윤지현 pp.293-348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최선노력조항(best efforts clause)의 해석 권영준 pp.67-106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법경제학적 방법론의 유용성과 한계에 관한 소고 송옥렬 pp.1-30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부당이득법의 경제적 분석 윤진수 pp.107-162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다국적기업에 의한 인권침해와 OECD 다국적기업 가이드라인 이상수 pp.221-255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프랑스민법상 무체동산질권 남효순 pp.163-220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참고문헌 (3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곽윤직⋅김재형, 물권법[민법강의 II], 2013. 미소장
2 김현진, 동산⋅채권담보권 연구, 서울대학교 법학연구소 법학연구총서 46, 경인문화사, 2013. 미소장
3 프랑스法에서의 法人의 歷史 : 法人論 및 法人에 관한 判例와 立法의 發達史 소장
4 histoire de r?forme de droit civil Fran?ais 네이버 미소장
5 프랑스민법상 물건의 개념 : 동산과 부동산의 구별 소장
6 법무부,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 법무부(2010). 미소장
7 송덕수, 물권법, 2014. 미소장
8 민법주해 [VI] 물권⑶, 1992. 미소장
9 민사법학 -프랑스민법개정안에 대한 연구-, 제45-2호(2009. 6). 미소장
10 프랑스 민법상의 유체동산 질권(gage)에 관하여 소장
11 이준형, “프랑스 민법의 충전저당(充塡抵當)”, 민사법학, 제49-2호(2010. 6). 미소장
12 정소민, 채권담보제도에 관한 연구 ― 「동산⋅채권 등의 담보에 관한 법률」을 중심으로 ―, 서울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2012. 미소장
13 프랑스 신탁법 소장
14 무체재산에 대한 담보물권(새로운 재산) 소장
15 Ch. Albiges et P. Crocq, “Nantissement”, Répertoire de Droit commercial, Dalloz. 미소장
16 Ch. Atias, Droit civil, Les biens (Litec, 1999). 미소장
17 A. Bac, “La position de la Fédération bancaire sur le projet de réforme des sûretés”, Droit et Patrimoine, Dossier, septembre, 2005. 미소장
18 A. Ch. de Beaupré, Droit des biens (Vuibert, 2011). 미소장
19 M. Bourassin, V. Brémond et M.-N. Jobard-Bachellier, Droit des sûretés (Sirey, 2010). 미소장
20 P. Crocq, “Gage”, Répertoire de Droit civil, Dalloz, 2008. 미소장
21 P. Crocq, “La réforme des sûretés mobilières”, Le droit des sûretés à l’épreuve des réformes, Editons juridiques et techniques, 2006. 미소장
22 P. Crocq, “Nantissement”, Répertoire de Droit civil, Dalloz, 2008. 미소장
23 W. Dross, Droit des biens (Montchrestien, 2012). 미소장
24 J.-P. Dumas et M. Cohen-Branche, et M. Cohen-Branche, et M. Cohen-Branche, “Cession et nantissement de créances profesionnelles”, Répertoire de Droit civil, Dalloz, 2008. 미소장
25 E. Frémeaux et G. Daublon, “La réforme du droit des sûretés”, Défrénois, 2006, Doctrine 38420. 미소장
26 D. Legeais, Sûretés et garanties du crédit (L.G.D.G, 2009). 미소장
27 D. Legeais, “Gage de meubles corporels, droit commun, constitution”, Jurisclasseur Code civil, Art. 2333 à 2336, 2007. 미소장
28 D. Legeais, “Gage de meubles corporels, gage de biens fongibles”, Jurisclasseur Code civil, Art. 2341 à 2342, 2008. 미소장
29 D. Legeais, “Gage de meubles corporels, effets”, Jurisclasseur Code civil, Art. 2343 à 2349, 2008. 미소장
30 D. Legeais, “Nantissement de meubles I corporels, nantissement de créance”, Jurisclasseur Code civil, Art. 2356 à 2366, 2008. 미소장
31 Ph. Malaurie et L. Aynès, Droit civil, Les biens (Cujas, 1990). 미소장
32 Ph. Malaurie et L. Aynès, Les sûretés, la publicité foncière, par L. Aynès et P.Crocq (Défrénois, 2012). 미소장
33 J. Mestre, E. Putman et M. Billiau, Traité de droit civil, Droit spécial, Des sûretés réelles (L.G.D.G, 1996). 미소장
34 S. Piedelièvre, “Premier aperçu sur la réforme du droit des sûretés par l’ordonnance du 23 mars 2006”, Défrénois, 2006, Doctrine 38393. 미소장
35 N. Reboul-Maupin, Droit des biens (Dalloz, 2012). 미소장
36 Ph. Simler et Ph. Delebecque, Droit civil, les sûretés, la publicité foncère (Dalloz, 2009). 미소장
37 J. Stoufflet, “Le nantissement de meubles incorporels”, Jurisclasseur, La Semaine juridique, Etudes, 2006. 미소장
38 H. Synvet, “Le nantissement de meubles incorporels”, Droit et Patrimoine, Dossier, septembre, 2005.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