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공공미술을 통한 미적 체험의 특성과 효과 : 감천문화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 백영제 인기도
발행사항
[부산] : 한국문화교육학회, 2012.12.30
수록지명
문화예술교육연구 = Korean journal of culture and arts education studies. 7권 4호 (2012. 12), pp.219-241
자료실
[서울관] 해당자료 없음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4074091
주기사항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KCI 등재학술(후보)지임
원문

초록보기 더보기

이 논문은 지난 20세기 후반부터 새롭게 부상한 동시대의 공공미술이 도심재생의 기능과 함께 공간에 대한 미적 체험의 계기가 된다는 것을 논점으로 다루면서, 구체적으로 필자가 예술감독으로 참여한 ‘감천문화마을’의 사례를 중심으로 공공미술을 통한 미적 체험의 특성과 그 구체적 효과를 알아보았다.

공공미술은 20세기 모더니즘 미술이 갖는 개별적인 미적 체험과 사적 전유를 뛰어넘어, 공공의 공간과 장소에 위치하고 공적 관심사에 입각하면서 대중의 참여와 소통 및 공유라는 주된 특징을 갖는다. 공공미술의 영역에서 과거의 수용 대중은 더 이상 전문 예술가가 일방적으로 제시하는 예술을 수동적으로 받아들이기만 하는 객체가 아니라, 문화적 주체로서 능동적으로 소통하고 참여하는 가운데 스스로를 창조적 주체로 경험하게 된다.

논문은 2009년부터 지금까지 공공미술프로젝트가 지속적으로 실행되고 있는 대상지 마을에서 공간의 미적 체험이 갖는 특성과 효과를 활력, 자부심, 참여와 협력, 문화에 대한 새로운 이해 등으로 확인하고, 이를 바탕으로 동시대 공공미술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This thesis is a study on the aesthetic experience of space through Public Art. Public Art is not only a method of the urban regeneration but also a significant motive of the aesthetic experience of urban space. Modernism (Modern Art) as aesthetic subjectivism is appreciated by the individual experience and the private possession. But Public Art has some specific character that is popular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based on the public interest and is located at some public place. Accordingly, it shows a effect of art education from the execution process itself.

First, the thesis comments on the developmental process of Public Art and examines the characteristics and function of the aesthetic experience that Public Art has. In the area of Public Art, the receptive masses is no more the object who only receive passively the arts offered by professional artist. They recognize themselves as a creative subject through the active participation and communication. Comparing this experience with the conventional art-experience, there is a great difference in the aspect of art education And through the instance of ‘Gamcheon Culture Village’ which is constantly practiced from 2009, this paper demonstrates the significance and concrete effect of the aesthetic experience of space formed by Public Art. The concrete effects are ‘vitality’, ‘self-confidenc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and ‘comprehension of culture’. ‘Gam-cheon Culture Village’ is acquired the meaningful results by the execution process of last 4 years. Recently, adding cultural contents through Public Art, they publish the village newspaper and have the community center named 'Gan-nae social center', which has the space to experience and learn cultural art.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부산시 예술분야 토요 프로그램 현황과 발전방안 차철표, 박창언 pp.243-263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그림책 표현치료를 위한 새로운 방법 : 점그림책 만들기 신혜은 pp.171-194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델파이 조사를 통한 유아교사의 다문화 역량의 중요도 이경선 pp.155-170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공공미술을 통한 미적 체험의 특성과 효과 : 감천문화마을 사례를 중심으로 백영제 pp.219-241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공동체와 커뮤니티 박물관 : 사회적 역할과 조건에 대한 탐색적 연구 양지연, 김혜인 pp.107-130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피로교육'을 넘어서는 교육의 새로운 지평으로서 향유 김소희 pp.49-90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왜 시각적 사고(visual thinking)인가? : 문화인지적 관점에서의 고찰 이모영 pp.265-285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존 듀이의 프래그머티즘 미학의 상호작용 원리와 예술적 실천 박준영 pp.17-32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음악의 자연성과 미적 경험의 음악교육 실천적 함의(含意) : 존 듀이 예술철학을 중심으로 김기수 pp.33-47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평생교육으로서의 문화예술교육 질 관리의 딜레마 박응희, 이병준 pp.1-16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G. Simmel의 사회적 공간담론의 교육학적 의미 분석 : 학습도시·창조도시·마을만들기 담론에의 함의 이병준, 박지연 pp.91-106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유아의 발달특성을 고려한 미술관 교육에 대한 탐색 : 미국의 미술관 사례를 중심으로 정진나 pp.131-153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어린이 책읽기 북돋우기 7개국 사례 고선주 pp.195-218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참고문헌 (1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해곤 (2010).생활공간을 문화공간으로.2009마을미술프로젝트.20-23.문화체육관광부 마을미술프로젝트추진위원회 미소장
2 박삼철 (2006).왜 공공미술인가.서울:학고재 미소장
3 백영제·김다희·이명희 (2011).감천문화마을이야기.부산:도서출판 두손컴 미소장
4 서성록 (2011).마을과 미술이 만났을 때.문화체육관광부 마을미술프로젝트추진위원회 2011마을미술프로젝트 세미나. 6-18.7월.서울:예총회관 미소장
5 양현미 (2010).한국의 공공미술제도 -미술장식에서 공공미술로.한국문화예술위원회 국제컨퍼런스 새로운 지형을 모색하는 공공미술.55-101.5월 14일.서울: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 미소장
6 장형복 (2004).감천2동 향토지.부산:보림인쇄 미소장
7 HelenE.Fisher(1993).성의 계약 〔TheSexContract〕.(박매영 역)서울:정신세계사(원전은 1983년에 출판) 미소장
8 H.W.& D.J.Janson (1992).회화의 역사 〔StoryofPainting-from CavePaintingto Moderntimes〕.(유홍준 역)서울:열화당(원전은 1977년에 출판) 미소장
9 Richard Wrangham & Dale Peterson (1998).악마 같은 남성 〔DemonicMales: ApesandtheOriginsofHumanViolence〕.(이명희 역)서울:사이언스북스(원 전은 1996년에 출판) 미소장
10 SuzanneLacy (2010).새로운 장르 공공미술:지형그리기 〔MappingtheTerrain New GenrePublicArt〕.(이영욱·김인규 역)서울:문화과학사(원전은 1995년에 출판) 미소장
11 Yi-Fu Tuan (2011).공간과 장소 〔SpaceandPlacethe〕.(구동회·심승희 역)서울:도서출판 대윤(원전은 1977년에 출판)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