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놀이 개념의 정립을 위한 시론 : 예술과 놀이의 비교를 중심으로 / 민주식 인기도
발행사항
대구 : 영남대학교 출판부, 2008.06.30
수록지명
人文硏究= The Journal of the humanities. 제54호 (2008. 6), pp.1-36
자료실
전자자료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4029441
주기사항
한국연구재단에서 제공한 KCI 등재학술(후보)지임
원문

초록보기 더보기

인간 문화의 원초적 단계에서 놀이와 예술은 주술(呪術)이나 제 례(祭禮) 속에서 밀접하게 결합하고 있었다. 그러나 근대에 이르러서는 놀이와 예술이 서로 다른 의미내용을 가지고 있음도 부정할 수 없다. 이를테면 소꿉장난, 스포츠, 카드게임 등은 놀이이기는 하지만 예술은 아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우리는 놀이와 예술 양자의 공통점을 규명하는 일과 더불어, 다른 한편으로 그들 간의 차이점을 분명하게 할 필요가 있다.

양자의 공통점은 본래 자기 목적적이라는 것이다. 그런데 행위 의 내용에서 다른 점이 있다. 예술에서는 표현의욕이 중요한 의미를 부여하고 있는 반면에, 놀이에서는 배경 속으로 사라져 버린다. 예술에서는 ‘행하는 자’와 ‘보는 것’과의 원리적인 분열이 발생하지만, 놀이에서는 이런 분열이 일어나지 않는다. 놀이는 본래적으로 커뮤니케이션의 구조를 갖지 않는다.

놀이는 성과를 남기지 않는다는 점에서, 예술뿐만 아니라 거의 모든 인간적 행위와 다르다고 해도 좋을 정도이다. 레크리에이션조차도 심신의 긴장을 진정시키는 등의 실리적 성과를 가져온다. 이 점에서 보자면 예술의 존재 형체 중에서도 결과가 후에 남지 않는 ‘공연예술(performing arts)’은 놀이에 가장 가깝다고 할 수 있다. 놀이가 전달구조를 갖지 않는 일원적인 것이며, 예술이 전달을 기초로 하는 이원적 구조를 갖는다. 이런 점에서 예술의 경우는 작품이 중요한 의미를 지니게 된다. 그리고 이러한 사실은 결국 창작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이기도 하다. 이 점에서 예술과 놀이 사이에 다음과 같은 차이가 발생한다. 즉 예술에서는 그 에너지가 창작욕(創作欲)과 감상욕(鑑賞欲)으로부터 나온다. 그것이 ‘작가-작품-감상자'라는 긴장 관계 속에서 발휘된다. 이에 반하여 놀이는 모든 에너지를 그 내부 구조 속에 받아들이지 않으면 안 된다.

놀이와 예술의 공통점으로서, 양자 모두 현실을 이탈한 존재라 는 점을 들 수 있다.

놀이의 현실이탈 방식은, 일종의 경쾌함 즉 현실 세계가 짊어지고 있는 ‘무게’를 가지지 않는 세계를 만들어낸다. 놀이가 아무리 진지하더라도 마음은 상쾌하고 즐겁고 명랑하다. 놀이의 세계는 ‘현실로부터 부상(浮上)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예술에서는 창작행위가 완료되어도 작품은 세계에 남고, 그것이 창작행위 자체까지도 규정한다. 예술의 현실이탈은 이와 같은 놀이의 부유성(浮遊性)을 갖지 않는다. 예술은 커뮤니케이션의 구조를 갖는다는 점에서는 현실의 지반 위에 서있다. 자기 목적적임으로 인해 현실을 이탈하지만, 전달성에 의해 현실로 되돌아온다.

Both art and play were closely related in the incantation or the rite in the early stage of human culture. There are many common properties between art and play. Bur from the modern period, they were differentiated each other. This paper aims to illuminate the commonness and difference between art and play. The word play is expressing two kinds of meaning. The one indicates the phenomenal forms of cultural genre such as seesaw game or card game, and the other indicates the specific property or principle of psychological state. We need to regard play as a spiritual principles.

The usage of european words, for example play, spielen and jouer has strong meaning of behaviour comparing to the usage of Korean word play, nori. European word play has the meaning of ‘to do' or to practice. But in Korean word, the meaning of ‘not to do' appears in the front. The emphasis of meaning is different in two languages.

Human behaviour can be classified into the following three, according to its relation to purpose: the other-purposive act, the instinctive act, and the self-purposive act. The character of ‘to do' is appeared most genuinely in the self-purposive act. Play is the most representative self-purposive act. Above all, the act of play is to do. To do something is distinctive in human play. Indulging thoroughly in 'to do' finally dissolves the subject. The acting subject doesn't exercise leading power, and then the movement of play act moves its own accord. Moreover, play dissolves the object of the play. To play has a cohesive unified structure among various human acts. Play is non- purposive and non-objective act. Chinese word you(遊) indicates this character very well. It means a kind of wandering here and there without deciding its aiming direction. Play has the character of natural rhythm which is made by itself. Play is separated from the real world. The secession from actuality is the state of play.

Both play and art are primarily self-purposive. However, the expressive volition has an important meaning in art, but it disappears into the background in play. Play finds its significance in 'to do' itself, but art has an inclination to show its outcome. There occurs dissolution between the actor and the seer in art, but not in play. Play doesn't have the communicative structure basically. Art brings forth the product, namely the work of art, but play doesn't. In that sense, performing art is the nearest one to play among various arts.

Art and play is common to their character of secession from actuality. But the ways of secession are different. The secession in play brings about a kind of lightness or cheerfulness without charging the weight of real world. And the moral judgement and feeling is weakened in play. But art has not floating quality or suspension, on the contrary to play.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놀이학'의 선구자, 호이징하와 까이와의 놀이담론 연구 김겸섭 pp.145-190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생명과학과 인문학의 생명윤리정책에 관한 의사소통의 시론적 분석 최준호, 박기묵 pp.277-312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Reconsidering Framing Perspective in Social Movement Studies : Bringing in the Larger Cultural Environments 허창덕 pp.223-248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오락과 교육의 경계 : 교육적 오락물 (Entertainment-Education)이 친사회적 태도 변화에 미치는 효과 배현석 pp.191-222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浮遊と同調 : 遊びの現象学 西村淸和 pp.55-78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游"作爲中國傳統文人的生活方式 彭峰 pp.37-54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놀이 개념의 정립을 위한 시론 : 예술과 놀이의 비교를 중심으로 민주식 pp.1-36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쉴러의『인간의 미적교육』에 나타난 '놀이'의 의미 기정희 pp.249-276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셰익스피어와 놀이 : 폴스타프를 통해 본 근대 초기 연극에 나타난 카니발적 전통과 변용 김문기 pp.113-146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식민 구조의 작동 메커니즘에 내재된 놀이의 정치학 : 일제 말 식민지 여성의 놀이를 중심으로 곽은희 pp.79-112 원문보기 (음성지원, 국회도서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참고문헌 (1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놀이와 인간』, 문예출판사, 1994. 미소장
2 순자 荀子,「第二十六篇 賦」. 미소장
3 ,『莊子』,「逍遙遊」. 미소장
4 호모 루덴스. 까치. 서울 1993. 미소장
5 古代芸藝と祭式, 東京:筑摩書房 1971i. 미소장
6 「近代藝道の特質とその展開 岩波日本思想大系 近代藝道論, 1972. 미소장
7 藝術學. 東京大學出版會,1975, p. 183. 미소장
8 Les jeux et les hommes, Paris: Gallimard, 1958 미소장
9 Man, Play and Games, Translated by Meyer Barash,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2001. 미소장
10 Oase des Glücks. Gedanken zu einer Ontologie des Spiels Freiburg 1957. 미소장
11 : Wahrheit und Methode. Grundzüge einer philosophischen Hermeneutik. 2. Aufl. Tübingen 1965. 미소장
12 Das Spiel, Jena: Fischer, 1922. 미소장
13 Die Anfange der Kunst, Freiburg I. B. ; Leipzig : Mohr, 1894. 미소장
14 Ellen Ancient Art and Ritual. London: Oxford University Press, 1951. 미소장
15 (1955). Homo Ludens: A Study of the Play Element in Culture, English translation: Boston: The Beacon Press. 미소장
16 Homo Ludens: vom Ursprung der Kultur im Spiel, Hamburg: Rowohlt, 1956. 미소장
17 Sport, a Philosophic Inquiry, Southern Illinois University Press, 1969. 미소장
18 Lexikon der deutschen Sprache: Warterbuch fur Rechtschreibung, Silbentrenrumg, Aussprache, Beaeutungen, Synonyme,...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