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지속가능한 공동체를 위한 시각예술이미지의 조직. 2, 냉전시대와 글로벌시대의 현대미술 재고 / 강수미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2.10.30
수록지명
美學·藝術學硏究 = (The)Journal of aesthetics & science of art. 통권 제36호 (2012년 10월), pp.5-46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3045232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지속가능한 공동체를 위한 시각예술이미지의 조직, 2 : 냉전시대와 글로벌시대의 현대미술 재고 / 강수미 1

I. 서론: 적대-이완-위기의 현재시간 1

II. 냉전·글로벌리즘·현대미술의 사회적 상상 5

1. 구조적 배경으로서 시각이미지 5

2. 소비주의의 역학 13

III. 글로벌 현대미술의 이미지 실천 20

IV. 결론: 지속가능한 공동체를 위한 공간 28

[그림] 31

참고문헌 35

국문 초록 39

ABSTRACT 41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2009년 ‘지속가능성’을 화두로 역사적·사회적·문화적 삶의 문제를 숙고하고, ‘보다 공공적인 차원을 갖는 동시에 개체의 다원성과 자율성이 확보되는 시각예술이미지 모델’을 제안할 목적에서 시작됐다. 그 첫 결과물은 2010년 동 학술지에 「지속가능한 공동체를 위한 시각예술이미지의 조직(Ⅰ) - 아방가르드와 대중예술의 교차점」으로 발표하였다.

그 후속 연구로 본 논문은 냉전시대와 글로벌시대를 역사철학적 관점에서 상관관계로 놓고 두 시대의 사회적 상상, 이데올로기적 이미지, 시각예술의 특정한 경향 및 기능을 재고한다. 특히 현대미술이 생산, 수용, 유통되는 조건들, 즉 냉전시대와 글로벌시대의 사회적 조건 및 해당 시기 시각예술이미지의 특정 경향과 실천이 쟁점이다.

본문 첫 장은 냉전시대와 글로벌리즘시대의 구조적 배경으로서 시각예술이미지의 이데올로기적 작용 및/또는 체제 비판적 실천을 재조명하는 데 집중한다. 먼저 냉전시대 동과 서는 정치적·이념적·경제적 차원에서는 강하게 대립했지만 공통적으로 ‘대중유토피아 건설’을 공동체의 사회적 상상으로 구축했고, 시각예술 이미지는 그 사회적 상상을 재현하는 한편, 이데올로기 비판적 미술을 다양하게 시도했다는 것이 핵심 내용이다. 다음, 냉전 종식 후 글로벌리즘시대의 사회적 상상은 ‘신자유주의경제 체제 아래 글로벌 거버넌스의 실현’으로 변경되고, 국가의 정치경제 및 기업 비즈니스부터 문화예술 실천과 개인의 일상까지 글로벌자본주의 원리가 장악하게 된 상황 및 그 역사적 메커니즘을 분석한다.

본문 둘째 장은 글로벌 현대미술의 실천적 측면을 고찰하는 데 할애된다. 여기서는 특히 동시대 이데올로기적 밀도가 높은 이미지들의 양가적 효과에 대해 현대미술작품을 사례로 들어 분석한다. 이데올로기 밀도가 높은 이미지를 담은 작품들은 내용과 약호 면에서 이미 특정 목적과 방향으로 조직된 의미작용을 효과적으로 실행한다는 점에서 한편으로 의사소통 가능성이 높다. 그러나 다른 한편 바로 그 점에서 이데올로기 밀도가 높은 이미지의 작품들은 대중이 처한 삶의 현실적 조건에 그들을 복속시키는 이데올로기 기제로 기능하게 된다. 본 연구는 이 같은 문제를 구르스키, 권오상, 히르슈호른, 박찬경, 알리스의 작품들을 현대미술비평과 인문사회과학과의 교차이해를 통해 비평함으로써 구체적으로 재고한다.

이러한 논의를 통해 본고는 지속가능한 공동체를 위한 시각예술이미지의 조직(configuration)에는 역사철학적 통찰이 필수요소임을 주장한다. 그리고 그러한 시각예술이미지는 현실의 부정성에 ‘대항적 사회적 상상’과 ‘사회적 꿈이 가능한 자유 공간’을 지속적으로 생산하며 공동체의 미래에 기여할 것이라고 결론짓는다.

This research was began to consider the subject that how visual arts are configured with social consciousness and practice for the sustainable community in 2009. The first achievement of my research, which title is “The Configuration of the Visual Arts Images for Sustainable Community(Ⅰ) - The Crux of Avant-garde and Mass Culture” was published in this journal of aesthetics in 2010.

As the following research, this essay deal with the visual images in cold war era and the global era, these periods are related in political, economical and cultural point of view. It is useful to remind ourselves that cold war era was a period of strong political tension and diverse artistic challenge between the East and the West. And we have to pay attention to a situation that the field of art and culture as well as political and economical sector becoming controlled by global capitalism the here and now. I will argue that artworks and images produced under state cold war during 1947-1991 and globalism after the cold war should rather be considered in more complex terms.

For the second chapter of the present essay, I want to focus on the ideological function of visual image as a social imaginary. Twentieth-century political ideologies, be they socialist, capitalist or fascist, had striven to transform and transcend the natural world through material power by building mass utopias.

The root of consumerism in our global capitalist society is connected with the policy on which the west did to promote the east's collapse. That is my suggestion for the third chapter. In this chapter, I will compare the art works between 1960-80's and 2000s, and examine their limitation or capacity for sustainable community.

From my observation, It seems like more and more global capitalist system is forcing from all nations to individuals to consume the same kind of culture and life. If contemporary art would be configured as the counter social imaginary with concerning history, society and the public, the force can be reduced.

참고문헌 (4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Bishop, Claire, “Zones of Indistinguishability: Collective Actions Group and Participatory Art,” in: e-flux journal #29 (November, 2011), pp. 1-12. 미소장
2 Benjamin, Walter, “Das Passagen-Werk”, in: Gesammelte Schriften, Bd. Ⅴ, Rolf Tiedemann(ed.), Frankfurt. a. M: Suhrkamp Verlag, 1982. 미소장
3 Benjamin, Walter, “Über den Begriff der Geschichte”, in: Gesammelte Schriften, Bd. Ⅰ/2, 1978. 미소장
4 Buck-Morss, Susan, Dreamworld and Catastrophe: The Passing of Mass Utopia in East and West, 윤일성․김주영 역, 꿈의 세계와 파국- 대중 유토피아의 소멸, 경성대학교 출판부, 2008. 미소장
5 Callinicos, Alex, Bonfire of Illusions: The Twin Crises of the Liberal World, 이수현․천경록 역, 무너지는 환상, 책갈피, 2010. 미소장
6 Chomsky, Noam, “냉전과 대학”, 노엄 촘스키 외 지음, 정연복 역, 냉전과 대학, 당대, 2001. 미소장
7 Crow, Thomas, The Rise of the Sixties, 조주연 역, 60년대 미술, 현실문화, 2007. 미소장
8 Crowley, David & Pavitt, Jane (eds.), Cold War Modern: Design 1945-1970, London: V&A Publishing, 2008. 미소장
9 Dimitrakaki, Angela, “The Spectacle and Its Others: Labor, Conflict, and Art in the Age of Global Capital”, in: JGlobalization and Contemporary Art, onathan Harris (ed.), UK: Wiley-Blackwell, 2011. 미소장
10 Elizabeth 네이버 미소장
11 Fukuyama, Francis, The End of History and the Last Man, New York: The Free Press, 1992. 미소장
12 Glyn, Andrew, Capitalism Unleased: Finance, Globalization and Welfare, 김수행․정상준 역, 고삐 풀린 자본주의: 1980년 이후, 필맥, 2008. 미소장
13 González, Jennifer & Posner, Adrienne, “Facture for Change: US Activist Art since 1950”, in: A Companion to Contemporary Art since 1945, Amelia Jones (ed.), Oxford: Blackwell Publishing, 2006. 미소장
14 Castillo, Greg, “Marshall Plan Modernism in Divided Germany”, in: Cold War Modern: Design 1945-1970, Crowley, David & Pavitt, Jane (eds.), London: V&A Publishing, 2008. 미소장
15 Habermas, Jürgen, “Modernity: an Incomplete Project”, in: The Anti-Aesthetic: Essays on Postmodern Culture, Hal Foster (ed.), 윤호병 외 역, 반미학, 박거용 역, 「모더니티: 미완성의 기획」, 현대미학사, 1994. 미소장
16 Hauff, Volker, “Brundtland Report: A 20 Years Update,” Berlin, 2007 in: www.sd-network.eu/pdf/doc_berlin/ESB07_Plenary_Hauff.pdf 미소장
17 Josellit, Davit, “Modern Leisure”, 정한진 역, 「현대 소비사회와 미술」, 이영철 엮음, 현대미술의 지형도: 비평, 매체, 제도분석, 시각과 언어, 1998. 미소장
18 Lyotard, Jean-François, “Réponse à la question: Qu'est-ce que le postmoderne,” 이현복 편역, 「질문에 대한 답변: 포스트모던이란 무엇인가」, 지식인의 종언, 문예출판사, 1993. 미소장
19 Marx, Karl, Das Kapital: Kritik der politischen Ökonomie Bd. 1, Berlin: Dietz Verlag, 1988. 미소장
20 Meecham, Pam & Sheldon, Julie, Modern Art: A Critical Introduction, London & New York: Routledge, 2000. 미소장
21 Negri, Antonio & Hardt, Michael, Empire, 윤수종 역, 제국, 이학사, 2001. 미소장
22 Solomon-Godeau, Abigail, “Living with Contradictions: Critical Practice in the Age of Supply-side Aesthetics”, 이영철 엮음, 정성철 역, 「모순들과 함께 살기」, 현대미술의 지형도: 비평, 매체, 제도분석, 시각과 언어, 1998. 미소장
23 Stallabrass, Julian, art incorporated: the story of contemporary art,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2004. 미소장
24 Stöver, Bernd, Der Kalte Krieg, 최승완 역, 냉전이란 무엇인가: 극단의 시대 1945-1991, 역사비평사, 2008. 미소장
25 Taylor, Charles, Modern Social Imaginaries, 이상길 역, 근대의 사회적 상상-경제․공론장․인민주권 , 이음, 2010. 미소장
26 Tupitsyn, Margarita, “About Early Soviet Conceptualism”, in: Global Conceptualism: Points of Origin 1950s-1980s, Pilomena Mariani(ed.), New York: The Queens Museum of Art, 1999. 미소장
27 Wiener, Norbert, Cybernetics: or Control and Communication in the Animal and the Machine, Cambridge, Mass.: The MIT Press, 1948. 미소장
28 The Configuration of the Visual Arts Images for Sustainable Community (1): The Crux of Avant-garde and Mass Culture 소장
29 강수미, 「시장․향유․비평의 혼합 - 2000-2011 현대미술 상황 연구」, 미술사학보, 38집(2012. 6), 미술사학연구회, pp. 38-73. 미소장
30 강수미, 「센세이션의 권태로움 - 정보의 감각운동에서 이미지의 반복강박까지」, noon: A Journal of Contemporary Art and Visual Culture 3호(2011. 12), 재단법인 광주비엔날레, pp. 84-105. 미소장
31 미니멀리즘과 베트남 전쟁 소장
32 www.guardian.co.uk/artanddesign/2008/sep/18/art.coldwar 미소장
33 http://www.arts.ucsb.edu/faculty/budgett/algorithmic_art/haacke.html 미소장
34 http://findarticles.com/p/articles/mi_m0268/is_1_43/ai_n6206228/ 미소장
35 http://www.medienkunstnetz.de/works/leben-mit-pop/ 미소장
36 http://platypus1917.org/2010/04/08/an-interview-with-hal-foster/ 미소장
37 http://www.guggenheim.org/new-york/collections/collection-online/show-full/piece/?search=Francis%20Al%C3%BFs&page=1&f=People&cr=1 미소장
38 http://www.francisalys.com/ 미소장
39 http://www.beauxartsparis.fr/expositions/ExpoDetail.asp?ExpoID=140 미소장
40 http://www.ensba.fr/download/pdf/Expos/geo-nomades/Press-release-Nomadic-geographies.pdf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