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조선시대 賜牌의 발급과 문서양식 / 박성호 인기도
발행사항
과천 : 韓國古文書學會, 2012.08.31
수록지명
古文書硏究. 제41집 (2012. 8), pp.95-124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2108036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조선시대 賜牌의 발급과 문서양식 / 박성호 1

요약 1

I. 서론 3

II. 사패식과 문서 전존 현황 4

III. 사패의 발급 8

IV. 문서양식의 변화 13

1. 문서 형식 14

2. 두사와 결사 18

3. 보인 22

4. 문서 양식의 변화 24

V. 결론 26

참고문헌 27

Abstract 29

초록보기 더보기

사패는 왕조시대에 왕이 신하에게 노비와 토지 등의 사여물을 하사하거나 향리의 역을 면제할 때 발급한 왕명문서이다. 자료조사 결과 현재까지 전하고 있는 원본 사패는 모두 조선시대에 작성된 것으로서 전체 수량은 41점이다. 이 가운데 노비와 토지를 사여할 때 발급한 사패는 40점, 향리의 역을 면제할 때 발급한 사패는 1점이다. 이 연구를 통해 사패에 관하여 새로 밝혀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둘째, <경국대전>에 수록된 사패식을 기준으로 조선초기로부터 조선후기에 이르기까지 사패 양식의 변화를 실증적으로 검토하였다. 사패의 양식은 <경국대전>이 반포된 이후에도 조선초기의 양식이 혼재된 모습을 보이다가 1500년대 중반 이후부터 법전의 사패식을 엄격히 준용하게 되었다. 이후 1700년대 중반 무렵부터는 다시 조선초기 사패에 기재되었던 사패 발급을 담당한 ‘승정원 승지의 長銜 臣 姓 (着名)’ 항목이 문서의 말미에 다시 기재되게 되었다.

Sapae is a document issued by the king's order that proves the ownership of royal endowments such as land or servants the king bestowed on royal officers, or orders local functionaries to be exempted from corvee during the Goryeo Dynasty and Joseon Dynasty. Research results conducted by the author show that all of the Sapaes handed down to the present day were prepared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he total number of them is 41. Out of them, the number of the Sapaes issued to bestow land or servants is 40, meanwhile the number of the Sapaes issued for local functionaries' corvee exemption is 1.

The following new facts were discovered about Sapae through this research.

First, for the Sapae issued during the Joseon Dynasty, Jongchuwon and Seungjeongwon were in charge of issuance of it. Although a document from the king was written in Gyo-ji identically, a government office in charge of issuing the relevant document was different by document characteristics. Accordingly, a prerequisite was to identify a government office in charge of issuing Sapae. Through the Sapaes handed down from the early and the late of Joseon Dynasty and eulogies included in Yuk-jeon-jo-rye (六典條例) and Eun-dae-jo-rye (銀臺條例), the Sapaes were issued by Jungchuwon during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they were issued by Seungjeongwon after the Bureaucracy Reformation. In addition, it is revealed that the writer was a Juseo(注書) of Seunjeongwon.

Second, changes in Sapae styles were examined from the early Joseon Dynasty to the late of Joseon Dynasty from an empirical perspective, based on a Sapaesik (the style of Sapae) included in Gyeong-guk-dae-jeon (經國大典; National Code). Even after the proclamation of Gyeong-guk-dae-jeon, the Sapae showed a mixed style with a style of the early Joseon dynasty, and after the middle of the 1500s, the Sapaesik was strictly applied to the style of Sapae. From the middle of the 1700s, the following 3 factors written in Sapae in the early of the Joseon Dynasty were added to prepare again in the end of the document: (1) title of Seungji in charge of issuing Sapae at Seungjeongwon, (2) family name, and (3)signature.

참고문헌 (2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古文書硏究. Vol. 30. pp. 93 미소장
2 정신문화연구. Vol. 28. pp. 209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