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쉬빙(徐冰)의 문자 작업이 함축한 문화정치적 의미 / 최정원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美術史學硏究會, 2012.06.30
수록지명
美術史學報. 제38집 (2012년 6월), pp.277-308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2092846
주기사항
쉬빙의 문자 작업이 함축한 문화정치적 의미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쉬빙(徐冰)의 문자 작업이 함축한 문화정치적 의미 / 최정원 1

I. 서론 1

II. 쉬빙 작업에서의 문자 도입 배경 3

III. 문자 작업을 통한 역동적 문화의 창출 7

1. '문화 생성의 힘'으로서의 문자 7

2. 활자의 문화 재생산 기능 전환 11

3. 혼합 문자로 구현된 간문화적 공간 14

IV. 결론 18

국문초록 27

참고문헌 29

Abstract 31

초록보기 더보기

본 논문은 쉬빙(徐冰)의 문자 작업을 문화와의 역학적 관계 속에서 고찰한 것이다. 중국 사회에서 문화는 연속적인 혁명의 물결 속에서 반복적으로 등장한 화두였으며, 마오의 사망 이후에는 그 토대부터 근본적으로 점검된 개념이었다. 전형적인 식자층 가정에서 성장한 그는 문화혁명기와 문화열, 그리고 미국으로의 이주라는 역사적 분기점들을 거치면서, 문화를 곧 언어라는 상징체계와 동형으로 인식하게 되었다. 특히 문자는 혁명기 동안 쉬빙이 숙명적으로 관계 맺어야 했던 언어 체계로서, 그의 작업이 판화에서 벗어나기 시작했을 때 주요 매체로 자리하게 되었다. 쉬빙은 자신의 삶 전체를 관통했던 ‘문화’라는 포괄적인 주제를 다름 아닌 ‘문자’를 통해 사유하고 가시화하였다. 본 논문에서 또 한 가지 주목한 것은 그의 작업에 제시되고 있는 문화와 문자의 관계가 단선적 구조로 환원될 수 없다는 점이었다. 혁명기, 사상적 계도라는 명분하에 시행된 언어 통제나 지식층에 가해진 박해, 그리고 이주 후 낯선 문화적 환경에의 노출 등은 그로 하여금 양자 사이에 권력의 문제가 필연적으로 내포되어 있음을 자각하게 만들었다. 이에 본 논문은 그의 작업에서 다뤄지고 있는 문화와 문자의 관계를 권력의 문제에 연계시켜 해석해 보았다. 또한 본문을 구성함에 있어서는, 쉬빙이 문화와 문자 사이의 역학을 비평할 뿐만 아니라, 그에 실천적 개입을 시도하였다는 점을 도출하고자, 상징적인 작업에서 구체적인 문제의식을 표출한 작업으로 전개되도록 기술하였다. 먼저 본 논문은 문화 구성 요소인 문자를 ‘문자언어’라는 보편적 개념으로 상정하여 다룬 작품들을 분석하였다. 쉬빙은 ‘살아 있는 글자’라는 다소 이상적 형태의 문자를 구현함으로써, 문화를 역동적으로 전환시키기 위한 선행 조건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또한 작업에 등장하는 텍스트, 서사, 책 등의 인쇄된 문자들을 문화 재생산이라는 기능적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그는 활자 공간의 질서를 교란하거나 텍스트의 구조를 해제함으로써, 문화 변동과 재구성의 가능성을 실험하였다. 마지막으로 이질적 체계의 문자들을 충돌시킨 작업들을 통해, 문화에 관여된 힘의 구조들이 구체적인 논의의 대상으로 가시화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중국과 서구 양자로부터 축출되는 과정을 경험한 그는 혼합 문자를 고안함으로써, 언어, 정체성, 민족국가의 순수성에 의문을 제기하였다. 본 논문은 이러한 분석을 통해, 쉬빙 작업의 궁극적 목표가 문화에 대한 인식의 전환에 있었음을 살펴보았다. 그의 작업은 직접적인 정치적 발언의 통로는 아니지만, 문화 속에 내재되어 있는 저항의 계기들을 들춰낸다는 점에서 문화정치적인 의미를 함축한다고 요약할 수 있다. 또한 매체적 측면에서, 미술에서의 변화된 문자의 위상을 가늠케 한다는 점, 그리고 주제적 측면에서, 미술과 문화의 밀착된 관계를 재확인시킨다는 점을 쉬빙 작업의 미술사적 의의로 도출하였다.

This study examined Xu Bing’s text-based works in the dynamic relation with culture. In Chinese society, culture is an issue that has emerged repeatedly in the successive waves of revolution, and particularly since the death of Mao the concept of culture has been reexamined fundamentally. Xu Bing, who grew in a typical family of the literate class, came to perceive culture to be identical with language as a symbolic system while going through historical turning points such as the Cultural Revolution, the Culture Fever, and immigration to the U.S. In particular, written character as a language system that he had to be involved in as his fate settled as a major medium of his works when his works began to get away from prints. Through ‘written character,’ Xu Bing reasoned and visualized the comprehensive subject ‘culture’ that penetrated through the whole of his life. Another noteworthy point in this study is that the relation between culture and written word presented in his works cannot be reduced to a linear structure. Language control or persecution on intellects carried out on the pretext of ideological enlightenment during the period of revolution, exposure to strange cultural environment after immigration, etc. made him aware that the issue of power was inevitably involved in the relation between culture and written word. Thus, this study attempted to interpret the relation between the two covered in his works in connection to the issue of power. Moreover, this study was structured to develop from symbolic works to works for revealing specific problems in order to prove that Xu Bing criticized the dynamics between the two and tried practical interventions between them. First of all, this study analyzed Xu Bing’s works that raised script, which is a component of culture, as universal concept ‘written language.’ Xu Bing tried to suggest preconditions for transforming culture dynamically by realization scripts of a somewhat ideal form called ‘living words.’ In addition,this study approached printed words of texts, narratives, books, etc. appearing in his works from the functional aspect of cultural reproduction. By disturbing the order of type space or deconstructing the structure of texts, he experimented on the possibility of cultural change and restructuring. Lastly,this study confirmed that the structures of power involved in culture were visualized as specific subjects of discussion through his works that scripts of heterogeneous systems collided. Experiencing the process of being expelled by both China and the West, he invented hybrid scripts and raised a question on the purity of language, identity, and nation states. Through these analyses, this study suggested that the ultimate goal of Xu Bing’s works was to change the perception of culture. Although his works were not a direct channel of political expressions, we can say that they connote a culture-political meaning in that they reveal the motives of resistance inherent in culture. Moreover, this study derived the significance of Xu Bing’s works in art history in that they present the changed status of written language in fine arts in the aspect of media, and reconfirm the close relation between fine arts and culture in the aspect of themes.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승자독식 사회와 예술 심상용 pp.5-37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시장·향유·비평의 혼합 : 2000-2011 현대미술 상황 연구 강수미 pp.38-73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예술상(賞)과 예술장(場) : 기업 미술상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심보선 pp.74-100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미술사의 소비 박소현 pp.101-134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조선시대 초상화를 읽는 다섯 가지 코드 강관식 pp.135-183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해부학이 미술을 만날 때 : 안드레아스 베살리우스의 『인체의 구조에 대하여』 정은진 pp.184-211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티치아노 베첼리오의 <참회하는 막달라 마리아> 연구 김보연 pp.212-239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신사실파의 추상개념 : 기하추상의 주체적 재인식 박장민 pp.240-276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쉬빙(徐冰)의 문자 작업이 함축한 문화정치적 의미 최정원 pp.277-308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중국현대미술사》, 미진사, 2009 미소장
2 『마오의 중국과 그 이후 1』, 김수영 역, 이산, 2007 미소장
3 『모택동의 문학예술론』, 이욱연 역, 논장, 1989 미소장
4 『문화 이론 사전』, 박명진 외 역, 한나래, 2007 미소장
5 『문화란 무엇인가』, 현대미학사,1996 미소장
6 『문화의 위치』, 소명출판,2005. 미소장
7 “当代中国艺术的“书法性”表現: 以徐冰的艺术流变为例,”『동아시아 문화와 예술』제6집 미소장
8 “徐冰的‘书’,”『东方艺术』, 2006年第18期 미소장
9 “观念的生长: 徐冰殷双喜, 冯博一对话录,”『美术研究』, 2005 미소장
10 Culture : A Critical Review of Concepts and Definitions. New York : Vintage Books, 1963. 미소장
11 Why Asia?: Contemporary Asian and Asian American Art, New York University Press, 1998 미소장
12 Associated Press, China: from Long March to Tiananmen Square, Aurum Press, 1990 미소장
13 The Art of Xu Bing: Words without Meaning, Meaning without Words, Arthur M. Sackler Gallery, 2001 미소장
14 Glenn Harper, “Exterior Form/Interior Substance: A Conversation with Xu Bing,” Sculpture Vol.22, No.1, 2003 미소장
15 “Imperious Griffonage: Xu Bing and the Graphic Regime,” Art J ournal Vol.68 No.3, 2009 미소장
16 Nine Lives: the Birth of Avant-garde art in New China, Scalo: Distributed in North America by Prestel, 2005 미소장
17 Art, Culture, and Cultural Criticism in Post-New China 네이버 미소장
18 (ed.), Persistence-Transformation: Text as Image in the Art of Xu Bing, P. Y. and Kinmay W. Tang Center for East Asian Art,... 미소장
19 In the Making: Creative Options for Contemporary Art, D.A.P.(Distributed Art Publishers), 2003 미소장
20 Ten Thousand Things: Module and Mass Production in Chinese Art, Princeton University Press, 2000 미소장
21 “Pun Intended: A Response to Stanley Abe, “Reading the Sky”, Cross-cultural readings of Chineseness: narratives, images, and... 미소장
22 「Cultural-Specific and International Influences on and Critical Perceptions of Five Asian Installation Artists: Gu Wenda, Yanago... 미소장
23 “Pseudo-language: A Conversation with Wenda Gu, Xu Bing, and Jonathan Hay,” Asian Art, Blackwell Pub., 2006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