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학생 종단자료를 이용한 학교 부가가치지수 산출의 적용 타당성 / 김준엽, 신진아, 김경희 인기도
발행사항
청원군 : 한국교육평가학회, 2012.06.30
수록지명
교육평가연구. 제25권 제2호 (2012년 6월), pp.213-239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2072017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학생 종단자료를 이용한 학교 부가가치지수 산출의 적용 타당성 / 김준엽 ; 신진아 ; 김경희 1

[요약] 1

I. 서론 2

II. 맥락 부가가치 모형(CVA) 4

III. 연구방법 6

1. 분석 자료 6

2. 분석 모형 및 분석방법 6

IV. 연구 결과 10

1. 연도별, 교과별 기초모형 분석결과 10

3. 부가가치 지수들 간 및 단순향상도와의 비교 15

4. 소규모 학교에 관한 분석 17

V. 논의 및 제언 20

후주 24

참고문헌 25

- 저자소개 - 26

〈ABSTRACT〉 27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2011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향상도 공시를 위한 학교 향상도 지표 개발을 위해 부가가치 모형을 중심으로 한국의 맥락에서 타당한 변수들을 검토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하여 2009년 고등학교 1학년과 2010년 고등학교 2학년의 평가 결과를 연계하여 학생 종단자료를 구축하였고, 맥락 부가가치 모형을 중심으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에서 활용할 수 있는 변수를 모형에 투입하였다. 연구결과, 부가가치 분석 모형 중 동일한 학생의 사전 성취도는 학생의 현재 성취도를 예측하기 위한 가장 강력한 변수였다. 또한 연도간 평가 결과의 비선형적 연관성을 반영하기 위한 사전 성취도 이차항의 투입과 학교의 평균적 성취도를 모형에 포함하는 것은 타당한 학교 부가가치를 산출하기 위해 필요하지만, 학교별 성취수준의 표준편차와 학교의 기초수급대상자 비율을 부가가치 모형에 포함하는 것은 현 시점에서 적절하지 않음을 제언하였다. 또한 소규모 학교의 문제를 포함하여 향후 정책적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CIPP 평가모형 적용을 통한 2009 개정 중학교 교육과정 평가지표 개발 김석우, 이대용 pp.145-166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2014학년도 수준별 수능시험 개편방안에 대한 인식분석 양정호 pp.167-191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인지진단모형의 다층 분석을 적용한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분석 : 지역 간 인지요소 숙달 차이를 중심으로 박윤수, 이영선, 이영주, 인보란, 김성은, 송미영 pp.193-212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학생 종단자료를 이용한 학교 부가가치지수 산출의 적용 타당성 김준엽, 신진아, 김경희 pp.213-239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인지조절능력과 학업성취의 종단관계 연구 김동준, 조은정, 김현철 pp.241-261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IRT 수직척도의 자료수집방법과 추정방법에 따른 피험자 능력점수의 성장패턴과 척도변동성 박인용, 이규민, 강상진 pp.263-286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초6-중3 학업성취도 검사의 IRT 수직척도 개발을 위한 탐색 연구 강태훈, 송미영 pp.287-315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BILOG-MG를 사용한 IRT 모형 모수의 추정에서 기저 능력분포의 경험적 추정이 문항모수 추정에 미치는 영향 김성훈 pp.317-336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A comparison of MCMC and MMLE/EM algorithms for fixed item parameter calibration Kim, Sohee, Kang, Taehoon pp.337-350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A between-school design approach in multi-site evaluations of programs involving eligibility cutoffs Hyekyung Jung pp.351-370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A comparison of subscore equating results with raw and augmented scores of anchor items Jiwon Choi, Guemin Lee, Sang-Jin Kang pp.371-388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한국일보(2010.12.23.). 교장 평가에 학업성취도 반영 안한다. 미소장
2 강상진(2010). 5․31 교육개혁 이후의 고교간 교육격차 추세분석-1995~2010학년도 대학 수학능력시험 결과 분석.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와 대학수학능력시험 자료 분석 심포지엄 자료집.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ORM 2010-55). 미소장
3 김성숙, 송미영, 최인봉, 김희경, 김준엽, 이현숙, 박서홍, 김진화(2010). 우리나라 초․중․고 학생의 학업성취 특성 분석: 2009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전수 결과 중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서 (RRE 2010-7-1). 미소장
4 김준엽(2009). 대규모 학업성취도 평가 자료를 활용한 학교 부가가치 지수 설정 방법. 교육평가연구, 23(1), 101-124. 미소장
5 Allen, M., & Yen, W. (1979). Introduction to measurement theory. Monterey, CA: Brooks/Cole. 미소장
6 Controlling for Student Background in Value-Added Assessment of Teachers 네이버 미소장
7 Bryk, A., Thum, Y. M., Easton, J., & Luppescu, S. (1998). Assessing school academic productivity: The case of Chicago school reform. Social Psychology of Education, 2, 103-142. 미소장
8 Cohen, J., & Cohen, P. (1983). Applied Mulple Regression/Correlation Analysis for the Behavioral Sciences, (2ne ed.). Hillscale, JN.: Erlbaum Associates. 미소장
9 Suppressor Variables, Prediction, and the interpretation of Psychological Relationships 네이버 미소장
10 Modeling Heterogeneity in Relationships Between Initial Status and Rates of Change: Treating Latent Variable Regression Coefficients as Random Coefficients in a Three-Level Hierarchical Model 네이버 미소장
11 Choi, K., Seltzer, M., & Herman, J. (2004). Children left behind in AYP and non-AYP schools: Using student progress and the distribution of student gains to validate AYP. CRESST technical report #637. Los Angeles: CA. 미소장
12 Fitz-Gibbon, C. T. (1997). The value added national project final report: Feasibility studies for a national system of value-added indicators. London: School Curriculum and Assessment Authority. 미소장
13 Goldschmidt, P., Roschewski, P., Choi, K., Auty, W., Hebbler, S., Blank, R., & Williams, A. (2005). Policymakers’ guide to growth models for school accountability: how do accountability models differ? Washington, DC: Council of Chief State School Officers. 미소장
14 League Tables and Their Limitations: Statistical Issues in Comparisons of Institutional Performance 네이버 미소장
15 Harris, D. N. (2011), Value-added measures in Education. Harvard Education Press, Cambridge: MA. 미소장
16 Hox, J. (2002). Multilevel analysis. Mahwah, NJ: Lawrence Erlbaum. 미소장
17 Raudenbush, S. W., & Bryk, A. S. (2002). Hierarchical Linear Models: Applications and Data Analysis Methods (2nd ed.). Thousand Oaks, CA: Sage Publication, Inc. 미소장
18 The Estimation of School Effects 네이버 미소장
19 RAY, A. (2006). School Value Added Measures in England: A Paper for the OECD Project on the Development of Value-Added Models in Education Systems. London: Department for education and Skills. 미소장
20 Ray, A., Evans, H & McCormack, T (2009). The use of national value-added models for school improvement in English schools. Revista de Educación, 348, 47-66 미소장
21 Singer J. D. & Willet, J. B. (2002). Applied longitudinal data analysis. New York, NY: Ox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22 An Empirical Comparison of Statistical Models for Value-Added Assessment of School Performance 네이버 미소장
23 Tymms, P. & Dean, C. (2004). Value added in the primary school league tables, A report for the national association of head teachers, Durham: CEM centre, University of Durham.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