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n]-출현 현상의 두 가지 양상 / 이희두 1

[요약] 1

1. 머리말 1

2. 음절접촉에 의한 열림도 조정 3

3. 비어두 위치의 재구조화 과정 9

4. 맺음말 15

참고문헌 16

초록보기

The additive [n] has appeared in the formation of compound nouns, derived words and phrases in the contemporary Korean. In these cases, the surfaced [n] neither originally exists nor is inserted during their derivative process. I suggest that this phonological phenomenon is caused by the sonority meditation by changing [j] to [ɲ] within the prosodic phrase. Because the initial [j] of a following second syllable is not a vowel, [j] is changed to [ɲ] by decreasing its sonority in order to satisfy the syllable contact constraint. Another motivation of the surfaced [n] is found at the boundary of the following word with initial /i/. The phonetic motivation of the inserted [n] is explicitly not clear and [n] also does not appear in front of the nominative case 'i' and designated case 'i-'. We notice that /i/-initial Sino-Korean did not represent [n] insertion. Therefore /j/ and /i/ undergo different phonological processes. Historically, as the domain of initial sound law was extended to the non-initial position within a prosodic phrase, this restructuring process was gradually expanded through many kinds of words and so both conservative forms and innovative forms coexist.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Metaphor and teaching collocation to L2 learners : with the case of rich Youngju Choi, Sae Il Choi pp.1-19

보기
Pragmatics behind the usage of -nun Jieun Kim pp.21-42

보기
Korean EFL university students' English reading strategy use Nam Hee Kim, Mie Ae Jung pp.43-66

보기
Korean graphemics and Korean orthography Sang-Tae Kim pp.67-82

보기
Contribution of collaborative writing techniques to Korean college students' English writing abilities Keong Yeun Ku pp.83-108

보기
Jan Baudouin de courtenay : his contribution to the development of modern linguistics Soo-Jae Lee pp.109-128

보기
Symmetrically case-marked noun phrase coordinations are not NP coordinations : evidence from the phonetic experiment Wooseung Lee, Young-il Oh pp.129-148

보기
Pauses in Korean-accented conversational English Yongeun Lee pp.149-171

보기
어순공리와 핵매개변인 : 고대영어 하위절을 중심으로 김대익 pp.173-189

보기
[n]-출현 현상의 두 가지 양상 이희두 pp.191-208

보기
중학교 이러닝 영어교육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최형심, 천승미 pp.209-232

보기
영국영어에서 /n, l, r/ 다음의 /ju/ 분포 재고 황보영식 pp.233-259

보기

참고문헌 (5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The n - Epenthesis and Sai - sios in Korean 소장
2 곽동기. (1992). 운율단위에 의한 국어 음운현상의 분석, 서울대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 A Study of N-Insertion Preferences in Korean 소장
4 국어의 음운론적 유형에 대한 연구 소장
5 기세관. (1990). 국어 단어형성에서의 /ㄹ/ 탈락과 /ㄴ/ 첨가에 대한 음운론적 연구, 원광대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6 기세관. (1991). 첨가음 /ㄴ/의 기능, 어문논총, 12 ‧ 13, 27-51, 전남대. 미소장
7 첨가음'ㄴ'의 성격 소장
8 김노주. (2005). 운율구의 정의에 관하여: 음운론과 통사론의 상호작용, 영어학의 최근 논점, 서울: 한국문화사. 미소장
9 김선철. (2003). 표준발음 실태 조사 Ⅱ, 국립국어연구원. 미소장
10 Another Interpretation of /n/-insertion in Korean Complex Words―based on the SF-Phonology 소장
11 김승곤. (1985). 한국어 어중 첨가음 ㄴ의 음성학적 원인 고찰, 선오당 김형기선생팔질기념 국어학논총, 89-100, 서울: 창학사. 미소장
12 김옥영. (2008). ㄴ-첨가 현상의 제약: 강릉 지역어를 중심으로, 음성음운형태론연구, 14(1), 53-75. 미소장
13 'ㄴ'삽입 현상의 연구사적 검토 소장
14 김정우. (1998). ㄴ삽입의 음운론과 형태론, 방언학과 국어학(청암 김영태박사 화갑기념논문집), 789-813, 서울: 태학사. 미소장
15 김차균. (1981). 음절이론과 국어의 음운규칙, 논문집, 8(1), 5-50, 충남대 인문과학연구소. 미소장
16 김차균. (1991). 향명성 구개음 ɲ, λ, y의 음운 현상, 어문연구, 21, 461-486. 미소장
17 Positional markedness and /n/ - insertion in Korean 소장
18 오름 활음(onglide) 'j'의 음절 내부 위치 소장
19 성낙수. (1987a). 이른바 ‘ㄴ덧나기’에 대하여, 한국어학과 알타이어학, 349-360, 대구: 효성여대출판부. 미소장
20 이른바 한국어의 두음법칙 연구 소장
21 구개음화되는 /n/의 표기에 대하여 소장
22 소신애. (2004). 어간 재구조화의 진행 과정(1), 어문연구, 32(4), 117-139. 미소장
23 수의적 교체를 통한 점진적 음운 변화 : 함북 육진 방언의 진행 중인 변화를 중심으로 소장
24 The Existent and Non-existent of Alternation and Synchronic and Diachronic Rule 소장
25 신승용. (2006). 수의적 음운 현상의 종류와 그 특성, 국어국문학, 142, 137-161. 미소장
26 현대국어의 사잇소리 덧나기와 된소리되기 소장
27 複合語의 音韻現象과 最適理論 소장
28 Reexamination of Environments for N-insertion 소장
29 오새내. (2001). 음운론적 조건에 의한 ㄴ삽입의 확장, 한국어학회 136차 연구발표회. 미소장
30 이호영. (1996). 국어음성학, 서울: 태학사. 미소장
31 전철웅. (1979). 음소변동에 관한 일 고찰, 선청어문, 10, 65-95, 서울대 국어교육과. 미소장
32 조현숙. (1995). 중학생 발음 오류에 관한 분석적 연구, 석사논문(한국교원대). 미소장
33 /n/ 添加考 네이버 미소장
34 Barnes, J. (2006). Strength and weakness at the interface: Positional neutralization in phonetics and phonology, Berlin・New York: Mouton de Gruyter. 미소장
35 Ito, J., Kitagawa, Y., & Mester, A. (1996). Prosodic faithfulness and correspondence: evidence from a Japanese argot, Journal of East Asian Linguistics 5, 217-294. 미소장
36 Kaisse, M. (1985). Connected speech: The interaction of syntax and phonology, New York, NY: Academic Press. 미소장
37 Kenstowicz, M. (1997). Uniform exponence: exemplification and extension, Studies in Phonetics, Phonology and Morphology 3, 1-23, The Phonology-Morphology Circle of Korea. 미소장
38 An Optimality Theoretic Analysis of Phonetically Motivated /n/-insertion 소장
39 Kim, N.-J. (1997). Tone, segments, and their interaction in North Kyungsang Korean: A correspondence theoretic account, Ph. D. dissertation, Ohio State Univ. 미소장
40 Prosodic Phrasing in North Kyungsang Korean 소장
41 Kim, N.-J. (2004a). A phonological weight effect on prosodic phrasing: with reference to Chonnam Korean, The New Association of English Language & Literature 29, 181-205. 미소장
42 Kim, N.-J. (2004b). The same generalization in three different accounts of North Kyungsang Korean prosodic phrasing, Studies in Phonetics, Phonology and Morphology 10(1), 111-128. 미소장
43 Kim, N.-J. (2006). A phonological weight effect on prosodic phrasing in Seoul Korean, Studies in Phonetics, Phonology and Morphology 12(1), 3-25. 미소장
44 Kim-Renaud, Y.-K. (1974/1991). Korean consonantal phonology, Doctoral dissertation, University of Hawaii, Hanshin Publishing Co. 미소장
45 Lee, P.-H. (2004). Korean n-insertion as domain-initial amplifier. The Proceedings of Korean Linguistics. 미소장
46 n-insertion as y-devocalization in Korean 소장
47 Nespor, M., & Vogel, I. (1986). Prosodic phonology, Dordrecht: Foris. 미소장
48 Definite NP Anaphora and C-Command Domains 네이버 미소장
49 On derived domains in sentence phonology 네이버 미소장
50 Shin, S.-H. (1997). Constraints within and between syllables: Syllable licensing and contact in optimal theory, Thaehaksa Co, Seoul. 미소장
51 Trask, R. (1996). Historical linguistics, London: Arnold.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