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우리나라 공공미술정책을 위한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의 적용 / 정철현, 박윤조 인기도
발행사항
춘천 : 江原大學校社會科學硏究院, 2011.12.30
수록지명
社會科學硏究. 제50집 2호 (2011년 12월), pp.81-113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2030718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우리나라 공공미술정책을 위한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의 적용 / 정철현 ; 박윤조 1

[요약] 1

I. 서론 2

II. 공공미술 개념과 정책 변화 5

III.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의 이해 10

IV. 우리나라 공공미술정책의 사례연구 15

1. 우리나라 공공미술정책의 발전 15

2.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의 적용 사례 17

V. 나가며 25

참고문헌 29

〈Abstract〉 32

초록보기 더보기

이 논문은 수잔 레이시(Suzanne Lacy)의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New Genre Public Art)이 우리나라 공공미술정책 모델로서 기능할 수 있는지를 분석한 것이다.

우선 공공미술정책의 근간이 되는 공공미술의 개념이 어떻게 변화했는지 조사하고, 특히 1960년대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공공미술 개념의 획기적 전환 과정을 중점적으로 파악하였다. 또한 수잔 레이시의 구체적 작업 사례를 통해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을 재해석하고 그 실천적 의미를 알아보았다. 그리고 우리나라의 공공미술정책의 발전과정에서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이 어떻게 적용되었는지 안양공공예술프로젝트와 서울시 도시갤러리 사업 그리고 경기문화재단의 내일책방의 사례를 분석하였다. 새로운 장르 공공미술의 성공을 위해서는 지역사회의 현안 과제에 대한 지역구성원의 참여를 유도하고, 이러한 참여를 지속하고 심화시킬 수 있는 제도적 인프라구축이 중요하다. 커뮤니티 아트에 기반한 예술가, 참여 공동체, 재원지원 공공기관 각각의 역할이 협력적으로 수행되어야 하고, 이를 통한 상호 신뢰와 이해의 새로운 관계가 형성되고 지속적으로 유지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지역개발과 연계하여 지역전문가와 다양한 지역 사회 조직(예술가, 시민단체, 공공기관, 시민 등)이 만나는 지점에서 구체적이고 실천력 있는 담론형성이 선행되어야 한다.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Korean public art policy model-developing within the context of Suzanne Lacy’s concept of New Genre Public Art. First, it traces how the concept of public art changed in the United State, as it has always been the basis for pubic art policy. Next, the paper analyzes three public art projects in South Korea according to Lacy’s New Genre Public Art: the Anyang Public Art Project, the City Gallery Project, and the Tomorrow Project of Gyeonggi Cultural Foundation and Bae Young. We find that Lacy’s model is useful for community-based art projects and that in these three cases, the model resulted in

a search for compromises in Korean public art policy. For the success of New Genre Public Art, we must attract collaborative practice from communities and establish a infrastructures for maintaining these practices. These models of community art will be successful only if artists, engaged communities, and funding institutions encourage appropriate discourse.

참고문헌 (34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rt as Public Address 소장
2 경기문화재단(2011).『내일을 여는 책방 2010 공동프로그램 결과보고서』. 경기문화재단. 미소장
3 김갑수(2005).『건축물 미술장식 제도 개선 방안』. 문화관광부. 미소장
4 김도경(1995). “도시환경 개선을 위한 옥외 미술장식에 관한 연구.” 고려대 원예과학과 조경학 전공 박사논문. 미소장
5 Self-Definition of Community Identity 네이버 미소장
6 남미영․남기범(2009). “우리나라 공공미술사업의 공공성-황금시장 황금시대 공공미술 사업 사례를 중심으로.” 대한지리학회 2009년 연례학술대회 발표논문 요약집. 대한지리학회. pp. 3~277. 미소장
7 문화관광부(2006).『공공미술이 도시를 바꾼다』. 문화관광부. 미소장
8 관람자(audience)에 대한 대안적 접근 : 수잔 레이시 작품 속에서 소장
9 공공미술과 미술의 공공성 소장
10 서울시도시갤러리(2008).『도시가 작품이다: 서울시도시갤러리프로젝트 2007』. 서울특별시. 미소장
11 서울시도시갤러리(2009).『도시가 작품이다: 서울시도시갤러리프로젝트 2008』. 서울특별시. 미소장
12 유정아(2005). “1970~90년대 뉴욕의 공공미술: 장소와 관람자의 인식변화를 중심으로.” 서울대학교 고고미술사학과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3 문화의 집 운영에 있어서 주민참여 활성화 방안에 관한 시론 소장
14 정철현(2008).『문화정책과 예술경영』. 서울경제경영. 미소장
15 Arts Marketing for Arts Consumption of Seoul Citizens 소장
16 지역개발을 위한 공공미술정책의 성공요인에 관한 연구 소장
17 조선령(2007). “공공미술의 조건과 현실: 물만골 프로젝트의 경우.” 『아트인시티 2006 자체평가보고서』. 공공미술추진위원회. (페이지). 미소장
18 조은정(1999). “한국 근대미술 이론가: 김복진-김복진의 비평과 근대미술.”『한국근현대미술사항』. 7권. 한국근현대미술사학회. pp. 6~57. 미소장
19 최혜원(2009). “미술 쟁점-그림으로 비춰보는 우리시대.”『조선일보』. p. 5. 미소장
20 플라잉시티(2009).『청계아카이브관: 무쇠구름』. 서울: 네오북. 미소장
21 Abercrombie, Nicholas & Longhurst, Brian. (1998). Audiences: A sociological theory of performance and imagination. London and Thousand Oaks. Calif. : Sage. 미소장
22 Andreasen, A. R.. (1992). Expanding the audiences for the performing arts. Seven Locks Press. 미소장
23 Burnham, Linda F.. (1989). “Moments in the heart: Performance and video experiences in community art since 1980” in Arlene Raven, ed. Art the Public Interest, Ann Arbor : UMI Research Press. pp. 193-208. 미소장
24 Gouma-Peterson, Thalia & Mathews, Patricia. (1987). The feminist critique of art history. 이수경 역. (1994).『페미니즘 미술의 이해』. 시각과 언어. 미소장
25 Reevaluating Segmentation Practices and Public Policy in Classical Performing Arts Marketing: A Macro Approach 네이버 미소장
26 Kwon Miwon. (2004). “One place after another: Site-specific art and locational identity.” Cambridge. MA. The MIT Press. 미소장
27 Lacy, Suzanne. (1995). ed. Mapping the terrain: New genre public art. Seattle. Bay Press. 미소장
28 The paradox of public art: Democratic space, the avant-garde, and Richard Serra's "Tilted Arc" 네이버 미소장
29 Moira Roth. (2001). “Making & performing code 33: A public art project with Suzanne Lacy, Julio Morales, and Unique Holland.” A Journal of Performance and Art. vol.23 issue 3. pp. 47~62. 미소장
30 Raven, Arlene (ed). (1993). Art in the public Interest. Da Capo Press. 미소장
31 Rifkin, Jeremy. (2001). The age of access. 이희재 역. (2001). 『소유의 종말』. 민음사. 미소장
32 Cultural Policies and Local Planning Strategies: What Is the Role of Culture in Local Sustainable Development? 네이버 미소장
33 Willett, J.. (1967). Art in a city: Revised edition. Liverpool University Press. 미소장
34 Miles, Malcolm (ed). (1997). Art, space and the city: public art and urban futures. London: Routledge.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