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모더니티의 역설과 도심(都心) 속 빈 공간 : 벤야민의 파사주와 앗제(Eugène Atget)의 사진 / 전영백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美術史學硏究會, 2011.12.30
수록지명
美術史學報. 제37집 (2011년 12월), pp.219-250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2022206
주기사항
모더니티의 역설과 도심 속 빈 공간
벤야민의 파사주와 앗제의 사진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모더니티의 역설과 도심(都心) 속 빈 공간 : 벤야민의 파사주와 앗제(Eugene Atget)의 사진 / 전영백 1

I. 파사주를 들어가며 - 도시 공간 속 시간의 교차: 몰락한 파사주의 역설의 미학 1

II. 앗제 사진에 나타난 모더니터의 다른 얼굴 5

III. '빈 거리 미학'과 '기억의 장소'로서의 도시 공간 6

IV. 파리의 뒷골목: 화려한 전면(facade) 배후의 '저급한 모더니티' 9

V. 아우라를 벗어난 자기 소외의 효과 14

VI. 도큐먼트 사진의 시각: 파리의 기록적 표상 17

VII. 파사주를 나오며 - 시각의 문지방 체험: 앗제의 사진에서 보는 시각의 교차 21

[사진] 23

국문초록 26

참고문헌 28

Abstract 30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벤야민의 파사주를 구심점으로 삼고, 그 시간의 역설적 구조와 모던 주체의 시각체험을 앗제의 사진작업과 연관시켜 이해하려는 시도이다. 논문의 구성은 오늘날 파리에 남아있는 다수의 파사주를 연구자가 체험적으로 탐색하며 이를 통해 20세기의 벤야민과 19세기의 보들레르로 잇닿는 회고적인 시간의 여정으로 설정하였다. 따라서 논문의 목차는 파사주를 들어가는 것으로 시작하여 파사주를 걸어 나오는 것으로 마무리된다.

19세기 말에서 20세기 초, 앗제(Jean Eugène-Auguste Atget, 1857-1927)의 사진작업은 도심의 텅 빈 공간을 나타낸다는 점에서 주목을 끈다. 공간의 공허를 두드러지게 보이는 그의 사진은 당시 서구 모더니티가 가져온 산업사회의 발달과 그 이미지 표상의 면에서 보아 아이러니하지 않을 수 없다. 그것은 물질의 풍요와 산업화의 빠른 속도, 그리고 화려한 스펙터클의 상품사회에 반(反)하는 양상을 드러내기 때문이다.

앗제의 파리는 현대 대도시의 뼈대를 앙상하게 보여준다. 그의 사진들 중에는 전체화면을 차지하는 빈 거리의 비율이 유난히 두드러지게 큰 작품들을 다수 발견할 수 있다. 본 논문은 파리를 포착한 앗제의 카메라가 드러낸 ‘공허함(emptiness)’에 주목, 이를 미학적 담론에 치우치거나 기록사진의 도구적 차원으로만 이해하는 이분법적 사고를 벗어나, 양자 사이의 연관에서 발생하는 보다 정교한 의미를 탐색하고자 했다.

그러한 방법론을 갖고 본 연구에서는 모더니티의 개념과 그 주체인 ‘산책자(flâneur)’의 시각체험을 앗제의 사진작업이 보여주는 도시공간의 표상을 통해 구체적으로 고찰하려 하였다. 여기서의 중심점은 이론에서 말하는 주체의 시각체험이 도시의 실제 공간을 표상하는 작품에서 어떻게 드러나 있는가를 읽으려는 시도이다. 그러한 과정에서 그의 작품에서 보는 20세기 초, 파리의 빈 도시공간의 이미지가 함유하는 다층적 의미를 벤야민(Walter Benjamin) 및 보들레르(Charles Baudelaire)와 연계하여 풀어보고자 했다.

보들레르의 모더니티 개념을 이어받은 벤야민의 경우, 모더니티의 흔적을 담은 구체적인 역사물인 파사주가 그의 도시연구에 중요한 가치를 지닌다. 그는 ‘파사주 프로젝트’를 1927년 파리 연구를 구상한 이후 착수, 그가 사망하던 1940년까지 몰두했다. 이 프로젝트는 파리라는 도시에 대한 관상학적 분석을 통해 19세기의 역사적 시간 속 모더니티의 형성을 연구한다. 모더니티의 기원에 대한 분석을 도시공간과 그 시각적 체험을 통해 수행하는 기획이었다.

산업자본주의 대도시를 사는 모던 주체의 시각체험은 어쩌면 앗제를 통해 ‘무의지적’으로 발현한 것일 수도 있다. 그리고 그것이 작가의 의도를 표명하는 예술사진이 아닌 도큐먼트 사진이었기에, ‘앗제’ 개인보다 보들레르와 벤야민이 궁극적으로 드러내려던 군중 속 멜랑콜리 산책자의 시각을 잘 나타냈다고 볼 수 있다. 앗제의 작업은 이들의 시기로 거슬러 올라갔다가 다시 그 과거를 현재의 공간으로 되살려오며 그것이 ‘기억의 이미지’임을 확인시킨다. 그리고 그 이미지는 거부할 수 없는 호소력으로 모더니티의 이질성을, 그 환상 배후의 공허함을 대면하게 한다.

본 연구에서는 앗제 사진을 보는 이론적 시각으로 1970년대 이후 현대미술 이론에서 중요하게 부각된 ‘지표(index)’의 개념을 강조한 기호학적 접근에 기대고 있다. 예컨대, 앗제 사진의 도큐먼트적이 기록적인 성격을 강조한 크라우스는 그의 사진을 들어 현대미술의 담론에서 사진의 중요성을 재조명한 바 있다. 따라서 본 연구자는 앗제의 사진에서 보는 텅 빈 거리의 파리를 초현실주의의 신비감이 섞인 멜랑콜리 감성이나 모더니스트의 예술적 미화로 조명하는 관점을 지양한다.

말하자면, 포스트미니멀 미학에서 부각시킨 지표의 개념은 벤야민의 현대주체의 시각적 체험, 그리고 이의 기반이 된 보들레르의 근대 산책자의 고독한 멜랑콜리의 심리적 구조로 거슬러 올라갈 수 있다고 보는 것이다. 요컨대, 본고는 오늘날 중요시되는 현대사진의 기록적 특징과 그 지표성이 파리라는 도시를 다룬 앗제의 사진에서 두르러진다면, 이것은 파리의 모더니티를 탐색한 보들레르의 차가운 멜랑콜리와 더불어 이를 발전시킨 벤야민의 대도시 소외된 주체의 소격감과 밀접한 연관이 있다는 것을 밝히고자 하였다. 이러한 시각이 앗제의 파리를, 그 기록적 공허를 오늘날의 현대미술에서 더욱 의미 있게 만든다고 제시하는 바이다.

Taking the remained Passages in Paris as centering motif, this research attempts to trace back to Walter Benjamin's conception of modernity following Charles Baudelaire’s original idea of it and the visual experience of the flâneur. Thus there is involved the retrospective journey of the time passing through the two centuries from now to the time of Beaudelaire. Jean Eugène-Auguste Atget's photography is the locus of the journey of the research.

Atget's work has attracted much attention since it enlightened emptiness of the modern city as early as the period from the end of the nineteenth century to the early twentieth century. On looking throughout his photographic document of old Paris, one can find it quite different from what is to be the representative image of the capital city of modernization. That is to say, it is against the phantasy and myth coming from the economical prosperity and materialistic abundance of this period. If such modernist myth was invested on the intriguing facade of those luxurious buildings lining on the boulevards of the Second Empire, Atget's photography revealed its other side, the shaded depth of modernist facade.

In reading Atget's such representation of Paris, it is both important and relevant to see what Benjamin and Baudelaire saw as paradox in rebuilding the modern capital. This paper tries to see what such paradox is meant in the photography of Atget and its relation to their concept when he actually captured the emptiness and depth of the capital of modernity.

What I highlighted as ‘paradox’ of modernity conceived by Benjamin and Baudelaire has to do with the actual reconstruction of Paris by Haussmann in the Second Empire. It was creative destruction on a scale hitherto unseen. From 1853 to the next two decades, Haussmann's plan for the reconstruction of the street system of Paris was successfully carried out. As Paris becoming the capital of modernity, Modernist myth of a radical break from what went before was inevitable. Haussmann's city plan created a founding myth essential to the new regime. Therefore, there was a break between the past and the present. disruption between the old city and the modern Paris.

Baudelaire, as the apostle of modernity, sensed the bittersweet experience of creative destruction. One has to overthrow the tradition in order to construct the present and the future. It is thus not difficult to think of sense of loss, nostalgia, or melancholy that accompanied the process of modernisation of the city. Compared to the tradition signified as being eternal and immovable, the modern was understood as the transient, the fleeting and the contingent. In Baudelaire's notion of modernity consists of the poles together, which depend on each other.

Following Beaudelaire, Benjamin enlightens the paradoxical relationship of ruins to modernity via the Passages in Paris, which then allows us to look at modernity with the background of its past. What the Parisian Passages meant to Benjamin then can be said a kind of symbolic construction of modernity. Their ruins connotes the overlapping of time of the present and the past, and the ruins of today bear the witness of glory of the past. This is much the same way of looking at Atget's work when it captures Paris as the primary locus for historical experience of modernity.

Unveiled by surrealists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Atget's photography was admired of its mood of mystic melancholy and rediscovered ordinary space of our cityscape. However, in this paper I take the theoretical stance of postmodernism stressing on the identity of photography as recording actual reality. The indexical quality of photography is much emphasized as postmodern theorists such as Rosalind Krauss reads Atget's work.

Referring to the significance of photography's indexical character in our time, his document photography of the modern Paris is taken based on the objective stance not from the individual artist's subjective vision as it reveals the disillusioned and distanced view of the city. His record of empty cityspace is, in my view, quite closely related to the disinterested melancholy of Baudelaire and the isolated and distanced subjectivity in Benjamin's conception of modernity.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아스클레피오스 숭배와 치유의 도상 조은정 pp.5-41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토머스 에이킨스 : 해부학, 리얼리즘, 그리고 일그러진 근대의 초상 신채기 pp.43-77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사진과 19세기 신경정신의학 박상우 pp.79-116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미술 속의 포스트휴먼 신체와 의학 전혜숙 pp.117-154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김홍도 ≪신선도8첩병풍≫의 호로신선(葫蘆神仙) 이미지 유옥경 pp.155-182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요젭 간트너의 미술사학 : '선형상(Präfiguration)'이론에 입각한 창조과정의 해명 민주식 pp.183-217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모더니티의 역설과 도심(都心) 속 빈 공간 : 벤야민의 파사주와 앗제(Eugène Atget)의 사진 전영백 pp.219-250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Representing identity in flow : Xu Bing's art since immigration, 1991-2003 Phil Lee pp.251-274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