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교과 교육과정의 적정화 지침 개발 연구 / 이승미, 홍후조, 민부자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韓國敎育學會, 2011.09.30
수록지명
敎育學硏究 = The Journal of educational research. 제49권 제3호 (2011. 9), pp.101-125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1133990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교과 교육과정의 적정화 지침 개발 연구 / 이승미 ; 홍후조 ; 민부자 1

〈Abstract〉 1

〈요약〉 2

I. 서론 3

II. 교과 교육과정 적정화의 방향 5

III. 교과 교육과정 적정화를 위한 교과별 요구 7

IV. 교과 교육과정 적정화 지침의 영역 및 세부 항목 개발 12

V. 결론 18

참고문헌 22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2009 개정 교육과정에 따른 교과군, 학년군, 집중이수 등의 새로운 편제를 포함하여 교육과정 구조의 전반적인 측면에서 교육과정 적정화의 방향을 모색하고, 각 교과 교육과정과 관련된 적정화의 요구를 수용하여, 교과 교육과정 적정화에 기준이 되는 지침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하여 본 연구에서는 첫째, 교육과정 총론의 측면에서 제시하는 교과 교육과정의 적정화 방향을 선행연구를 포함하여 이론적인 측면에서 탐색하였고, 둘째, 각 교과 교육과정과 관련된 적정화의 요구를 수용하고자 초등학교와 중학교의 현장 교사의 의견을 수렴하였으며, 셋째, 앞의 두 절차를 통하여 도출된 방안을 종합하여 델파이 조사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교과 교육과정 적정화의 지침으로서 총론과 교과와의 연계성 강화, 교과 교육과정 연구 개발의 질 관리 개선, 교과 교육내용의 선정 및 조직 개선, 수업 운영 및 방법 개선, 평가 방법 개선, 교과서 개선 등의 6영역에 걸쳐, 전문가 집단의 타당성(CVR 값) 검증을 거쳐 그 상세한 적정화 지침을 28개로 확정·개발하였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학회지 인용 분석을 통한 우리나라 교육학 학문공동체의 특성 탐색 양미경 pp.1-31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영국 신교육운동이 우리 대안교육에 주는 시사점 박용석 pp.33-53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재일한국·조선인 '본명을 부르고 밝히기' 교육실천의 고찰 宋隆美, 申明熙 pp.55-80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미국 아버지의 육아활동 형태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들에 대한 탐색 채수은 pp.81-100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교과 교육과정의 적정화 지침 개발 연구 이승미, 홍후조, 민부자 pp.101-125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외국어 발음 교육에서 인지적 구성주의 교수 설계의 필요성 이선희 pp.127-150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유아주도적 질문과 교사주도적 질문이 유아의 초인지에 미치는 효과 손은주, 박영태 pp.151-181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의과대학생의 학업적 실패내성과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따른 성취목표지향성의 차이 천경희, 송영명 pp.183-211 원문보기 (음성지원, 협정기관 방문 후 이용 가능 ) 보기

참고문헌 (2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A Comparative Study on the Reduction Discourses of Educational Content in the 4th to 7th National Curriculum R & D Reports 소장
2 김재춘 (2004). "교육 내용의 적정화 - 전제와 쟁점". 교육 내용의 적정화 방안 탐색을 위한 세미나, 19-36. 6월 4일 교육과정 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4-7. 미소장
3 김정애(2005). 제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과학교과서 내용 적정화 분석.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4 김주환(2011). 사회적 요구 조사를 통해서 본 국어 교과의 정체성. 박사학위논문. 고려대학교 대학원. 미소장
5 박도순(2003). 교육연구방법론. 서울:학지사. 미소장
6 A Study on the Conflict between General and Subject Curriculum in the Revision Practice of Korean National Curriculum 소장
7 신현주(2005). 제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사회교과서 내용 적정화 분석.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8 A study on the relevance of contents in moral subject at elementary school 소장
9 이돈희(2004). 교육내용 적정화 :왜, 무엇을, 어떻게?내용의 적정화 방안 탐색을 위한 세미나, 11-18. 6월 4일.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자료 ORM 2004-7. 미소장
10 이양락(2004). 교과별 교육내용 적정화 연구 -제7차 국민공통 기본교육과정의 교육내용 적정성 분석 및 평가.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C 2004-1-1. 미소장
11 이주연(2008). 초등학교 미술과 교육 내용의 적정화. 교육논총, 28, 3-22. 미소장
12 정영근, 박순경(2007). 국가 수준 교육과정에서의 교육내용 적정화 담론 고찰. 교육사상연구, 19, 1-25. 미소장
13 조옥희(2005). 제7차 교육과정의 초등학교 수학 교과서 내용 적정화 분석. 석사학위논문. 경남대학교 교육대학원. 미소장
14 Criteria for the Appropriateness of Curriculum Coverage and Depth 소장
15 홍후조(2011). 알기 쉬운 교육과정. 서울:학지사. 미소장
16 홍후조, 강익수, 백경선, 성열관(2008). 교육과정 적정화 및 필수 교과 조정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8년 교육과정 선진화 위탁과제 답신 보고. 미소장
17 Derr, R. L. (1985). 학교교육의 사회적 목적분류학. [A taxonomy of social purposes of public schools: A handbook]. (이종각 역). 서울:문음사. (원전은 1973에 출판) 미소장
18 Goodlad, John I. (1979). Curriculum inquiry :the study of curriculum practice. New York: McGraw-Hill, 미소장
19 Klein, M. France(1991). The politics of curriculum decision-making : issues incentralizing the curriculum. Albany, NY: State University of New York Press. 미소장
20 Lawshe, C. H. (1975). A quantitative approach to content validity. Personal Psychology, 28(4), 563-575. 미소장
21 Newlon, J. H. & Threlkeld, A. L. (1926). The denver curriculum-revision program, The foundations and technique of curriculum-construction, The Twenty-sixthyear book of the National Society for the Study of Education, IL: Bloomington. 미소장
22 Tyler (1949). Basic principles of curriculum and instruction.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미소장
23 A Naturalistic Model for Curriculum Development 네이버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