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ㄱ 구개음화 현상의 인지적 고찰 / 박종희 ; 권병로 1
〈벼리〉 1
1. 머리말 2
2. ㄱ 구개음화의 발생 3
3. 'ㄱ>ㅈ'의 변화와 인지적 유사성 8
4. ㄱ 구개음화의 변천성 12
5. 과도교정 현상의 우연성과 선택성 15
6. 맺음말 21
〈참고 문헌〉 23
〈abstract〉 26
‘길>질’, ‘기름>지름’ 등의 변화는 조음적 원인과 더불어 인지적 요인이 2차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난 현상으로 보고자 한다. 일반적인 조음 동화는 보편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인 데 대하여 이 예들은 그 발생 환경이 제1 음절에 국한되어 있고 다른 종류의 구개음화에 비해 그 분포도 매우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다. 인지적 측면에서 볼 때, 전설고모음 ‘ㅣ’ 앞의 ‘ㄱ’은 ‘ㅈ’과 음향적으로 유사해서 ‘ㅈ’으로 인지적 혼동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ㅈ’으로 오인한 결과 특정 환경에서 ‘길>질’ 등의 구개음화가 발생한 것으로 설명하였다.
‘디새>기와’, ‘딤$$>김치’, ‘맛디->맡기-’ 등의 예는 ‘ㄷ>ㅈ>ㄱ’과 같은 단계적 변화로 볼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차례로 ㄷ 구개음화 및 ㄱ 구개음화의 과도교정을 경험한 것으로 보아 왔다. 그러나 과도교정의 목표 대상과 과정이 명확하지 않으므로 이 글에서는 ‘지>기’ 변화의 원인을 음향적 유사성을 토대로 한 청자의 음운화 과정에서 빚어진 인지 작용의 우연성에 두었다.
This paper was aimed to elucidate a velar palatalization in Korean. This phonological phenomenon was generally accepted to be a pure articulatory assimilation. However I would like to insist that this sound shift was not a articulatory assimilation but a phonologization based on the misperception by a hearer. Perception in addition to coarticulation played a role in the sound change of velar palatalization whereby velars shift to alveopalatals in the context of high close vowels. The perceptional experiments of Guion(1998) demonstr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bias towards misperceiving velars as alveopalatals in these contexts.
On the building of this findings We suggested that this velar palatalization of Korean conformed to the typology of CHANGE which Blevins(2004) asserted as a factor motivating sound chang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lso another type which emerged as the opposit direction shifting from /c/ to /k/. It had traditionally been claimed to be a false regression or hypercorrec- tion. In this paper We claimed it could appropriately be described as a change typology like CHANCE and CHOICE following the CCC-model of Blevins(2004) also.
$$:원문참조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음'-이름법과 '기'-이름법의 말본 | 김승곤 | pp.5-46 |
|
보기 |
ㄱ 구개음화 현상의 인지적 고찰 | 박종희 ,권병로 | pp.47-72 |
|
보기 |
경남 방언 외래어의 성조형 :양산·사천 지역을 중심으로 | 박숙희 | pp.73-124 |
|
보기 |
안맺음씨끝 '-나-, -니-, -이-' 통합체의 변화 | 김수태 | pp.125-160 |
|
보기 |
사동형 타동사 파생의 유형과 특징 | 김기혁 | pp.161-192 |
|
보기 |
한국어 색채 표현의 양상과 그 분류 | 이현희 | pp.193-228 |
|
보기 |
최 현배의『우리말본』둘재매 유인본 연구 | 서상규 | pp.229-270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김주필. 1994. 「17, 8세기 국어의 구개음화와 관련 음운 현상에 대한 통시론적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 미소장 |
2 | 구개음화와 과도교정 ![]() |
미소장 |
3 | 축약의 관점에서 본 현대 국어의 구개음화 | 소장 |
4 | The Weakening of Syllable Final /s/ in HAERYE and Its Restructuring | 소장 |
5 | 소신애. 2007. 「언어 변화 기제로서의 과도교정」, 어문연구 35-1. 어문교육연구회. 183~207쪽. | 미소장 |
6 | 송민. 1986. 전기 근대국어 음운론 연구 . 탑출판사. 56~58, 76쪽. | 미소장 |
7 | 송민. 1993. 「‘디새’[瓦]의 어원」,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문학과 지성사. 768~779쪽. | 미소장 |
8 | 이명규. 2000. 중세 및 근대국어의 구개음화 . 한국문화사. | 미소장 |
9 | 이선영. 2006. 「‘앳디히’에 대한 관견」, 국어학 논총(이 병근 선생 퇴임 기념 논문집). 태학사. 979~999쪽. | 미소장 |
10 | 최전승. 2009. 「19세기 후기 국어 방언에서 진행 중인 음성변화와 과도교정의 개입에 대한 일 고찰」, 국어국문학 46. 국어국문학회. 323~385쪽. | 미소장 |
11 | Blevins, Juliett. 2004. Evolutionary Phon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2 | Bybee, Joan L. 2001. Phonology and language us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3 | Croft, William. 2000. Explaining language change : an evolutionary approach. Pearson Education Limited. | 미소장 |
14 | Perception WWW CD-ROM Archive: Instructions for Use ![]() |
미소장 |
15 | The role of perception in the sound change of velar palatalization. ![]() |
미소장 |
16 | Fronted velars, palatalized velars, and palatals. ![]() |
미소장 |
17 | Kiparsky, Paul. 1988. Phonological change. In Frederick J. Newmeter (ed.), Linguistics: the Cambridge survey, vol. 1: Theoretic foundations, 363-415.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8 | Kiparsky, Paul. 1995. The phonological basis of sound change. In John Goldsmith(ed.), The handbook of phonological theory, 640-70. Cambridge, MA: Blackwell. | 미소장 |
19 | Krull, D. 1991. Locus-nucleus relation and VOT in spontaneous and elicited speech. Proc. 12th Int. Congr. Phonet. Sci. vol. 4: 382-385. | 미소장 |
20 | Lindblom, B. 1998. Systemic constraints and adaptive change in the formation of sound structure. In James R. Hurford et al.(eds.), Approaches to the evolution of language, 242-64.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21 | Ohala, J. J. 1983. The direction of sound change. In A. Cohen and M.P.R.v.d. Broecke(eds.), Abstracts of the Tenth International Congress of Phonetic Sciences, 253-58. Dordrecht: Foris. | 미소장 |
22 | Ohala, J. J. 1985. Around flat. In Victoria A. Fromkin(ed.), Phonetic linguistics: essays in honor of Peter Ladefoged, 223-41. Orlando, FL: Academic Press. | 미소장 |
23 | Ohala, J. J. 1986. Phonological evidence for top-down processing in speech perception. In J. S. Perkell and D. H. Klatt(eds.), Invariance and variability in speech processes, 386-97.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 미소장 |
24 | Ohala, J. J. 1989. Sound change is drawn from a pool of synchronic variation. In L. E. Breivik and E. H. Jahr(eds.), Language change: contributions to the study of its causes, 173-98. Series: Trends in Linguistics, Studies and Monographs no. 43. Berlin: Mouton de Gruyter. | 미소장 |
25 | Ohala, J. J. 1992. What's cognitive, what's not, in sound change. In Gunter Kellermann and Michael D. Morrissey(eds.), Diachrony within synchrony: language history and cognition, 309-55. Duisburger Arbeiten zur Sprach und Kulturwissenschaft 14. Frankfurt am Main: Peter Lang Verlag. | 미소장 |
26 | Pierrehumbert, Janet. 2002. Examplar dynamics: word frequency, lenition, and contrast. In Joan Bybee and Paul Hopper(eds.), Frequency and the emergence of linguistic structure, 137- 58. Amsterdam: Benjamins. | 미소장 |
27 | Acoustic properties and perception of stop consonant release transients. ![]() |
미소장 |
28 | Skousen, Royal. 1989. Analogical modeling of language. Dordrecht, Boston, and London: Kluwer. | 미소장 |
29 | Identification of Stops and Vowels for the Burst Portion of /p, t, k/ Isolated from Conversational Speech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1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