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ㄱ 구개음화 현상의 인지적 고찰 / 박종희, 권병로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글학회, 2011.03.30
수록지명
한글. 제291호 (2011. 봄), pp.47-72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1113037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ㄱ 구개음화 현상의 인지적 고찰 / 박종희 ; 권병로 1

〈벼리〉 1

1. 머리말 2

2. ㄱ 구개음화의 발생 3

3. 'ㄱ>ㅈ'의 변화와 인지적 유사성 8

4. ㄱ 구개음화의 변천성 12

5. 과도교정 현상의 우연성과 선택성 15

6. 맺음말 21

〈참고 문헌〉 23

〈abstract〉 26

초록보기 더보기

‘길>질’, ‘기름>지름’ 등의 변화는 조음적 원인과 더불어 인지적 요인이 2차적으로 작용하여 나타난 현상으로 보고자 한다. 일반적인 조음 동화는 보편적으로 일어나는 현상인 데 대하여 이 예들은 그 발생 환경이 제1 음절에 국한되어 있고 다른 종류의 구개음화에 비해 그 분포도 매우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다. 인지적 측면에서 볼 때, 전설고모음 ‘ㅣ’ 앞의 ‘ㄱ’은 ‘ㅈ’과 음향적으로 유사해서 ‘ㅈ’으로 인지적 혼동을 일으키기 쉬우므로 ‘ㅈ’으로 오인한 결과 특정 환경에서 ‘길>질’ 등의 구개음화가 발생한 것으로 설명하였다.

‘디새>기와’, ‘딤$$>김치’, ‘맛디->맡기-’ 등의 예는 ‘ㄷ>ㅈ>ㄱ’과 같은 단계적 변화로 볼 수 있는데, 이 경우에는 차례로 ㄷ 구개음화 및 ㄱ 구개음화의 과도교정을 경험한 것으로 보아 왔다. 그러나 과도교정의 목표 대상과 과정이 명확하지 않으므로 이 글에서는 ‘지>기’ 변화의 원인을 음향적 유사성을 토대로 한 청자의 음운화 과정에서 빚어진 인지 작용의 우연성에 두었다.

This paper was aimed to elucidate a velar palatalization in Korean. This phonological phenomenon was generally accepted to be a pure articulatory assimilation. However I would like to insist that this sound shift was not a articulatory assimilation but a phonologization based on the misperception by a hearer. Perception in addition to coarticulation played a role in the sound change of velar palatalization whereby velars shift to alveopalatals in the context of high close vowels. The perceptional experiments of Guion(1998) demonstrate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bias towards misperceiving velars as alveopalatals in these contexts.

On the building of this findings We suggested that this velar palatalization of Korean conformed to the typology of CHANGE which Blevins(2004) asserted as a factor motivating sound changes. On the other hand, there was also another type which emerged as the opposit direction shifting from /c/ to /k/. It had traditionally been claimed to be a false regression or hypercorrec- tion. In this paper We claimed it could appropriately be described as a change typology like CHANCE and CHOICE following the CCC-model of Blevins(2004) also.

$$:원문참조

참고문헌 (29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주필. 1994. 「17, 8세기 국어의 구개음화와 관련 음운 현상에 대한 통시론적 연구」, 서울대 박사학위 논문. 미소장
2 구개음화와 과도교정 네이버 미소장
3 축약의 관점에서 본 현대 국어의 구개음화 소장
4 The Weakening of Syllable Final /s/ in HAERYE and Its Restructuring 소장
5 소신애. 2007. 「언어 변화 기제로서의 과도교정」, 어문연구 35-1. 어문교육연구회. 183~207쪽. 미소장
6 송민. 1986. 전기 근대국어 음운론 연구 . 탑출판사. 56~58, 76쪽. 미소장
7 송민. 1993. 「‘디새’[瓦]의 어원」, 국어사 자료와 국어학의 연구. 문학과 지성사. 768~779쪽. 미소장
8 이명규. 2000. 중세 및 근대국어의 구개음화 . 한국문화사. 미소장
9 이선영. 2006. 「‘앳디히’에 대한 관견」, 국어학 논총(이 병근 선생 퇴임 기념 논문집). 태학사. 979~999쪽. 미소장
10 최전승. 2009. 「19세기 후기 국어 방언에서 진행 중인 음성변화와 과도교정의 개입에 대한 일 고찰」, 국어국문학 46. 국어국문학회. 323~385쪽. 미소장
11 Blevins, Juliett. 2004. Evolutionary Phonology.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12 Bybee, Joan L. 2001. Phonology and language use.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13 Croft, William. 2000. Explaining language change : an evolutionary approach. Pearson Education Limited. 미소장
14 Perception WWW CD-ROM Archive: Instructions for Use 네이버 미소장
15 The role of perception in the sound change of velar palatalization. 네이버 미소장
16 Fronted velars, palatalized velars, and palatals. 네이버 미소장
17 Kiparsky, Paul. 1988. Phonological change. In Frederick J. Newmeter (ed.), Linguistics: the Cambridge survey, vol. 1: Theoretic foundations, 363-415.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18 Kiparsky, Paul. 1995. The phonological basis of sound change. In John Goldsmith(ed.), The handbook of phonological theory, 640-70. Cambridge, MA: Blackwell. 미소장
19 Krull, D. 1991. Locus-nucleus relation and VOT in spontaneous and elicited speech. Proc. 12th Int. Congr. Phonet. Sci. vol. 4: 382-385. 미소장
20 Lindblom, B. 1998. Systemic constraints and adaptive change in the formation of sound structure. In James R. Hurford et al.(eds.), Approaches to the evolution of language, 242-64. Cambridge: Cambridge University Press. 미소장
21 Ohala, J. J. 1983. The direction of sound change. In A. Cohen and M.P.R.v.d. Broecke(eds.), Abstracts of the Tenth International Congress of Phonetic Sciences, 253-58. Dordrecht: Foris. 미소장
22 Ohala, J. J. 1985. Around flat. In Victoria A. Fromkin(ed.), Phonetic linguistics: essays in honor of Peter Ladefoged, 223-41. Orlando, FL: Academic Press. 미소장
23 Ohala, J. J. 1986. Phonological evidence for top-down processing in speech perception. In J. S. Perkell and D. H. Klatt(eds.), Invariance and variability in speech processes, 386-97. Hillsdale, NJ: Lawrence Erlbaum. 미소장
24 Ohala, J. J. 1989. Sound change is drawn from a pool of synchronic variation. In L. E. Breivik and E. H. Jahr(eds.), Language change: contributions to the study of its causes, 173-98. Series: Trends in Linguistics, Studies and Monographs no. 43. Berlin: Mouton de Gruyter. 미소장
25 Ohala, J. J. 1992. What's cognitive, what's not, in sound change. In Gunter Kellermann and Michael D. Morrissey(eds.), Diachrony within synchrony: language history and cognition, 309-55. Duisburger Arbeiten zur Sprach und Kulturwissenschaft 14. Frankfurt am Main: Peter Lang Verlag. 미소장
26 Pierrehumbert, Janet. 2002. Examplar dynamics: word frequency, lenition, and contrast. In Joan Bybee and Paul Hopper(eds.), Frequency and the emergence of linguistic structure, 137- 58. Amsterdam: Benjamins. 미소장
27 Acoustic properties and perception of stop consonant release transients. 네이버 미소장
28 Skousen, Royal. 1989. Analogical modeling of language. Dordrecht, Boston, and London: Kluwer. 미소장
29 Identification of Stops and Vowels for the Burst Portion of /p, t, k/ Isolated from Conversational Speech 네이버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