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PISA 2009 읽기 영역 결과 분석 연구 / 옥현진, 김경희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어교육학회, 2011.02.28
수록지명
국어교육= (The)Education of Korean language. 제134호 (2011년 2월), pp.383-407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1067780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PISA 2009 읽기 영역 결과 분석 연구 / 옥현진 ; 김경희 1

I.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II. PISA 2009 연구 절차 3

III. 읽기 소양의 개념 및 주요 결과 분석 4

1. 읽기 소양의 개념 4

2. 읽기 영역 주요 결과 분석 6

IV. 결론 및 제언 20

참고문헌 23

〈Abstract〉 25

초록보기 더보기

This study introduced the procedure of PISA 2009, analyzed the

results of reading literacy in PISA 2009, and suggested ideas about the

plan and practice for Korean language education based on the result in

order to call for the interest in PISA from the community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Korean students' results of reading literacy in PISA 2009 were

analyzed at the point of percentile, gender, and sub-categories such as

text format(continuous text and non-continuous text) and aspects(access

and retrieve, integrate and interpret, and reflect and evaluate). The

results were also compared with the results of PISA 2000, 2003, and

2006 in order to observe their trends.

Based on the analysis, this study firstly called for more interest in

designing research on and teaching top performers of reading literacy,

and secondly needed more attention to the difference in reading literacy

between male and female students in order to reduce their gaps.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국가수준학업성취도평가의 본질과 제 문제 김창원 pp.1-33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개선을 위한 '듣기' 평가 이론의 정립 임칠성 pp.35-6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국가 수준 학업 성취도 평가 개선을 위한 '읽기' 평가의 비판적 검토 김혜정 pp.61-86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국가 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개선을 위한 '쓰기' 평가 이론의 정립 박영민 pp.87-11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국가수준 국어과 학업성취도 평가의 시행 체제 개선 방안 남민우 ,남가영 pp.113-13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문자생활사 관점에서의 '갑자 상소문' 재평가 장윤희 pp.131-15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텍스트 중심 문법교육의 방향 탐색 제민경 pp.155-181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漁父四時詞의 흥과 서정적 특질 김석회 pp.183-21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격물치지론'의 문학교육적 함의 김혜련 pp.217-24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삼국유사』의 설화를 통해 본 <토착-외래>의 관계유형 박진태 pp.243-26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한용운의 <님의 침묵>에 나타난 사유의 특성과 동양과 서양 사상의 회통 서준섭 pp.267-30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다목적 통합형 '또물또' 발문 모형 설정론 김슬옹 pp.301-328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개정 교육과정 '설득' 범주의 교육 내용 통합 연구 박재현 pp.329-35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초등학생의 읽기 태도에 대한 연구 정혜승 ,서수현 pp.353-38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PISA 2009 읽기 영역 결과 분석 연구 옥현진 ,김경희 pp.383-407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김경희ㆍ김수진ㆍ김남희ㆍ박선용(2008). OECD 학업성취도 국제비교 연구(PISA 2009)-예비검사 시행 보고서(연구보고 RRE 2008-3-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2 김경희ㆍ김수진ㆍ김미영ㆍ김남희ㆍ김선희(2009). OECD 학업성취도 국제비교 연구 (PISA 2009)-본검사 시행 보고서(연구보고 RRE 2009-7-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3 김경희ㆍ시기자ㆍ김미영ㆍ옥현진ㆍ임해미ㆍ김선희(2010). OECD 학업성취도 국제비교 연구(PISA 2009) 결과 보고서(RRE 2010-4-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4 Present Conditions and Improvements of Reading Literacy Assessment 소장
5 A Study of Comparative On Reading Assessment Framework 소장
6 Study on Building a Frame for Test Of Reading Literacy 네이버 미소장
7 이미경ㆍ곽영순ㆍ민경석ㆍ채선희ㆍ최성연ㆍ최미숙ㆍ나귀수(2004). PISA 2003 결과분석 연구(연구보고 RRE 2004-2-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8 이미경ㆍ손원숙(2007). PISA 2006 결과 분석 연구(연구보고 RRE 2007-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9 최미숙(2005). 사고력 신장을 위한 국어과 평가 문항 연구. 어문연구 33(1), 417-444.한국어문교육연구회. 미소장
10 Guthrie, J. T. & Wigfield, A. (2000). Engagement and motivation in reading. In M. L. Kamil & P. B. Mosenthal (Eds.), Hanbook of reading research (vol. Ⅲ, pp. 403-422). Mahwah, NJ: Erlbaum. 미소장
11 Guthrie, J. T. & Wigfield, A., & You, W.(in press). Instructional contexts for engagement and achievement in reading. In S. L. Christenson (Ed.), Handbook of research on student engagement. New York: Springer Science. 미소장
12 OECD(2010a). PISA 2009 results: What students know and can do(Vol. I). Retrieved Feb 10, 2011, from the World Wide Web: http://dx.doi.org/10.1787/9789264091450-en 미소장
13 OECD(2010b). PISA 2009 results: Overcoming social backbground(Vol. Ⅱ).Retrieved Feb 10, 2011, from the World Wide Web:http://dx.doi.org/10.1787/9789264091504-en 미소장
14 OECD(2010c). PISA 2009 results: Learning to learn(Vol. Ⅲ). Retrieved Feb 10,2011, from the World Wide Web:http://dx.doi.org/10.1787/9789264083943-en 미소장
15 OECD(2010d). PISA 2009 results: What makes a school successful?(Vol. Ⅳ). Retrieved Feb 10, 2011, from the World Wide Web: http://dx.doi.org/10.1787/9789264091559-en 미소장
16 OECD(2010e). PISA 2009 results: Learning trends(Vol. Ⅴ). Retrieved Feb 10, 2011, from the World Wide Web: http://dx.doi.org/10.1787/9789264091580-en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