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사고의 트라우마와 그 치유책으로서의 사고조사보고서 : 괌 대한항공추락사고의 경우 / 이영준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미학예술학회, 2010.06.30
수록지명
美學·藝術學硏究 = (The)Journal of aesthetics & science of art. 통권 제31호 (2010년 6월), pp.5-40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1043915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사고의 트라우마와 그 치유책으로서의 사고조사보고서 : 괌 대한항공추락사고의 경우 / 이영준 1

I. 서론 1

II. 본론 4

1. 사고란 무엇인가? 4

2. 사고와 트라우마 13

3. NTSB 사고보고서의 특성 16

III. 결론: 소 잃고 외양간 고쳐야 하는가 28

참고문헌 31

국문초록 33

ABSTRACT 35

초록보기 더보기

이 논문은 1997년 8월6일 괌에서 발생한 대한항공 801편의 추락사고에 대해 미국립교통안전국(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 이하 NTSB)이 발행한 조사보고서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이 분석은 미학과 예술학이 다루고 있는 지각(perception)의 문제를 예술의 영역을 벗어난 항공사고라는 영역으로 확대하게 될 것이다. 이 논문은 우선 대한항공 801편의 추락사고의 개요에 대해 서술하고, 이어서 사고란 무엇인가, 여러 종류의 사고 중에서 항공사고는 왜 특별히 더 트라우마적인가, 그런 트라우마에 대한 대처에는 어떤 것들이 있는가를 논의할 것이다. 궁극적으로는 그런 표상과 과학기술의 담론들이 어떻게 사고에 대한 우리들의 지각을 형성하고 있으며, 사고로 가득 찬 이 세계에서 어떻게 우리의 존재가 균열을 일으키지 않도록 봉합하고 있는지 살펴볼 것이다.

이 보고서에는 사고현장 사진은 이 두 장밖에 없지만 보고서가 가진 함축의미를 유추해내는 데는 충분하다. 그것은 사고의 혼란과 무질서, 트라우마와, 이를 극복하려는 보고서의 질서정연한 도식 사이의 대조이다. 보고서는 잘 정돈된 양식을 가지고 사고현장을 다시 방문하여, 사고를 다시 겪어내고(relive), 트라우마를 극복하려 한다.

보고서는 필연의 영역에 해로운 우주선(cosmic ray)처럼 침입한 우연의 요소를 분석과 추론에 의거하여 씻어내고 객관성과 필연성의 담론으로 해석하여 우연을 제거하려는 노력이라고 할 수 있다. 혹은, 우연성의 침입으로 말미암아 엉망이 되어버린 테크놀로지의 영역에 필연성을 되찾아주어 테크놀로지가 지배하는 이 세계의 질서를 회복하려는 노력이라고도 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사고란 시스템과 의미의 질서가 붕괴되는 순간이라고 정의한다. 이때 평소 시스템을 관장하고 다루던 주체도 붕괴된다. 희생자의 죽음에 맞서, 사고조사보고서는 “죽음을 반복함으로써 죽음의 일회성을 극복하려는 시도“라고 할 수 있다. 결국 사고조사보고서란 극단으로 치달은 혼란과 무질서의 요인들을 다 재구성해서 사고 전의 원형으로 만들려는 노력이다. 그러나 이는 불가능한 프로젝트이다. 이 경우 내러티브의 특징은 근접성(proximity)이다. 즉 사고의 원인에 근접은 하지만 결코 그것에 도달할 수 없다는 것이다. 마치 제논의 역설과 같이, 보고서는 자세하고 객관적으로 서술하면 할수록 사고의 순간에 도달하는 것이 아니라 끊임없이 가까이 가기만 할 뿐이다. 그것은 시뮬레이션과 실제의 차이 같은 것이다. 따라서 보고서와 사고의 순간은 환유적인 관계(metonymy), 즉 인접의 관계이지 은유는 아니다. 환유란 참으로 허무한 것이, 제논의 화살이 결코 목표에 가까이만 갈 뿐 맞출 수 없듯이 서술하려는 대상에 도달하지 못하기 때문이다.

사고조사보고서에서는 그런 허무함을 극복하려는 노력이 저자의 회복으로 결실을 맺는다. 앞서 썼듯이 사고는 주체가 사라지는 순간이다. 그 순간이 몇 천분의 1초로 짧다고 해도 주체가 사라지는 것은 대단히 트라우마적인 경험이다. 사고를 하나의 내러티브라고 할 수는 있을지 몰라도 그것을 쓴 저자는 없다. 이때 사고조사보고서는 그 사태에 대한 저자(author)로 나서서 내러티브를 재구성하고 사고의 성격과 본질을 규정하며(define), 사고 자체를 재연해낸다(to relive).

This thesis analyzes the accident report piled by National Transportation Safety Board about the crash of Korean Air 801 at Guam in 1997. This analysis will extend the range of aesthetics and the study of art to that of the perception in technology. At first, this thesis describes the overal aspect of the accident and discusses what an accident is, why aviation accident is more traumatic than other accidents and what the measures to cope with them are. Finally, this thesis investigates how our perception of the accident is formulated by the representation and discourses in an accident report. This thesis argues that the ultimate purpose of the accident report is to suture our own being in a world ridden with all kinds of accidents that threat the coherence of our existence.

This thesis focuses on how the details of representatio such as texts, drawing, diagram and photographs play their roles to cope with the trauma of the accident. Although there are only two photographs of the scene of the accident, they are enough to help us deduce the connotation of the accident report. It is the contrast between the chaos, disorder and trauma of the accident on the one hand and the orderly format of the report. It

revisits the scene of the accident with a well organized format and relives it and finally tries to overcome the trauma of the accident.

An accident report can be seen as an effort to eliminate the dangerous chance element that penetrates into the system like a harmful cosmic ray and fill the void with the discourse of objectivity and neccessity. Or, it can be seen as an effort to recuperate the neccessity in system which has been damaged by the above mentioned penetration of the chance element and restore an order to this world governed by technology.

An accident is defined as a moment in which the system and the order of meaning collapse. The subject that controls the system collapses along with them. Facing it, the accident report tries to “repeat the death and overcome the happening of the death”. However, this is impossible. The main feature of the narrative of the accident report is ‘proximity’. It reaches close enough to the cause of the accident but can not really touch it. Thus the accident report and the moment of the accident are in a relationship of metonymy.

As the symbol and its referent have only a contiguous relation to each other in metonymy, the accident tries to cover this gap by reinstate the subject of the accident. The accident report acts as the author of the accident and define the nature and character of the accident. That is how the contemporary humans cope with the alien phenomenon of accident.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사고의 트라우마와 그 치유책으로서의 사고조사보고서 : 괌 대한항공추락사고의 경우 이영준 pp.5-4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지속가능한 공동체를 위한 시각예술이미지의 조직. 1, 아방가르드와 대중문화예술의 교차점 강수미 pp.41-8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현실과 가상의 변증법 "입체현실" 연구 : 비릴리오의 영화매체론을 중심으로 이혜인 pp.87-118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디지털 합성, 완전 영화의 기술적 이상과 모순 강유정 pp.119-137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랩 음악에 대한 매체미학적 고찰 : 키에르케고어, 크라카우어, 벤야민으로부터 하선규 pp.139-18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펑크 하위문화의 미학적 의의와 펑크 록의 한국적 변용 사례 연구 양효실 pp.185-211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수월관음도의 예술적 특성 연구 智順任 pp.215-251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장자(莊子) '덕(德)' 개념의 미학적 해석 : 예술 주체의 관점을 중심으로 임태규 pp.253-296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칸트의 미적 상상력에 대한 고찰 김기수 pp.297-33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윌리엄 블레이크의 회화에 나타난 숭고와 상상력에 대한 연구 신나경 pp.337-37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신지학에서의 예술과 미적 직관 연구 : 블라봐츠키(H. P. Blavatsky)와 지나라자다사(C. Jinarâjadâsa)의 이론을 중심으로 조관용 pp.373-399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20세기 음악의 역사적 변증법 연구 : 아도르노의 사회학적 미학에 근거해서 서인정 pp.401-42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틈의 구조로 본 전통연희 하진숙 pp.425-44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심미적 컴퓨팅에 '미학의 필터'는 있는가 이재준 pp.445-479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참고문헌 (16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Camera Lucida, Reflections on Photography, Hill and Wang, 1982. 미소장
2 “The Discourse of History”, in: The Clothing of Clio: A Study of the Representation of History in Nineteenth- Century Britain... 미소장
3 (ed.), Jacques Derrida’ The Work of Mourning, University of Chicago Press, 2001. 미소장
4 The Logic of Failure- Recognizing and Avoiding Error in Complex Situations,Basic Books, 1997. 미소장
5 Objectivity, MIT Press, 2000. 미소장
6 Context of Human Error in Commercial Aviation, Micro Analysis and Design, Inc. 2001. 미소장
7 1999. Normal Accidents: Living with High-Risk Technologies. Princeton, NJ: Princeton University Press. 미소장
8 Visual Explanations' Images and Quantities, Evidence and Narratives, Graphics Press, 1977. 미소장
9 The Challenger Launch Decision: Risky Technology, Culture, and Deviance at NASA by Diane Vaughan 네이버 미소장
10 The Original Accident, Polity Press, 2007. 미소장
11 2000, A Landscape of Events, MIT Press, Cambridge, MA. 미소장
12 「항공기」 , 김우룡, 이영준 옮김,홍디자인, 2007. 미소장
13 『철도사고 왜 일어나는가』, 논형, 2004. 미소장
14 (2003) 『실재의 귀환』, 이영욱 외 역, 부산: 경성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15 「항공기 이미지의 작은 역사 」, 「기계비평-한 인문학자의 기계문명산책」 , 눈빛,2006, pp. 149-192. 미소장
16 NTSB 광사고조사보고서 www.ntsb.gov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