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고등학교 졸업요건 설정 방안 탐색 연구 / 김신영, 박현정, 홍원표, 김재철, 김경희 인기도
발행사항
청원군 : 한국교육평가학회, 2010.12.30
수록지명
교육평가연구. 제23권 제4호 (2010년 12월) pp.735-763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1031527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고등학교 졸업요건 설정 방안 탐색 연구 / 김신영 ; 박현정 ; 홍원표 ; 김재철 ; 김경희 1

[요약] 1

I. 서론 2

II. 고교 졸업요건제 도입의 배경 3

1. 고교 교육력 강화의 필요성 3

2. 기초학력을 토대로 한 졸업요건 운영의 필요성 6

III. 고교 졸업요건제 설정 방안 10

1. 고등학교 졸업요건 설정에 대한 선결요건 10

2. 졸업요건 설정 방안에 대한 델파이 조사 결과 12

3. 졸업요건 설정 방안 13

IV. 결론 23

후주 24

참고문헌 25

저자소개 27

〈ABSTRACT〉 28

초록보기 더보기

이 연구는 고등학교의 교육력 강화를 위한 고교 졸업요건 설정 방안을 모색해 보기 위해 수행되었으며, 최근 정부가 발표한 고등학교 선진화 정책과 관련해 졸업요건 설정 방안을 탐색해 정책아이디어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을 두고 있다. 이 연구에서는 고교 교육 선진화를 위한 교육력 강화방안을 살펴보고, 고교 졸업요건제 도입의 배경과 그 필요성, 고교 졸업요건제 도입의 선결요건, 고교 졸업요건 설정 방안을 탐색하였다. 먼저, 고등학교에서의 졸업요건제 시행이 성공적으로 안착되기 위해 필요한 선결요건으로는 초등학교 단계부터 학생의 기초학력에 대한 체계적 관리, 학생의 과목 선택권 보장, 교과별 성취기준 개발, 교사의 평가전문성 제고, 졸업요건제 도입 취지에 대한 충분한 사전 홍보 등을 제시하였다. 이러한 선결요건들을 토대로 국가수준에서 학교의 내신 성적을 기준으로 졸업요건을 설정하여 운영하는 방안과 국가수준에서 외부의 표준화 성취도검사 결과를 기준으로 졸업요건을 설정하여 운영하는 방안, 그리고 국가가 아닌 시·도교육청이나 단위학교수준에서 자체적으로 졸업요건을 설정하여 운영하는 방안으로 졸업요건 설정 방안을 구안해본 다음, 이들 각각의 방안을 다시 두 가지씩 세분하여 총 6개 방안으로 구체화하였다. 그리고 이들 6개 방안의 장단점을 분석하고, 델파이조사를 통해 6개 방안에 대한 전문가의견을 수집해 분석하였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고등학교 졸업요건 설정 방안 탐색 연구 김신영 ,박현정 ,홍원표 ,김재철 ,김경희 pp.735-763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대학수학능력시험의 변천 과정과 쟁점 분석 양길석 pp.765-791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대학평가인증제 평가기준의 타당성 검토 :공학교육인증제와 경영교육인증제를 중심으로 곽진숙 pp.793-82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초등교사 임용시험의 타당성 분석 박정 pp.821-84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수학과 성취도 검사 결과의 자기평가를 통한 오답원인 유형화 권효진 ,김성훈 pp.843-868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Likert형 태도 척도의 문항진술방식에 따른 척도 및 문항 특성 비교 백순근 ,김미림 pp.869-886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학생들의 사교육 참여와 수학 성취도 및 수학 수업이해도간 관계에 대한 종단적 분석 박현정 pp.887-907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문항 분석 및 피험자 분석에서 컴퓨터이용검사로부터 얻어진 정보의 활용 가능성 탐색 부재율 pp.909-929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다분 DIF의 사후분석을 위한 비모수적 차별기능단계 기법의 적용 손원숙 pp.931-951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비연속시간 사건사 분석을 위한 분할함수 모형화 방법의 제시 및 적용 홍세희 ,노언경 pp.953-973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A)comparison of kernel and traditional equating methods under the non-equivalent groups with anchor test design SeoHong Pak ,Guemin Lee ,Sang-Jin Kang pp.975-100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Developing a score scale in relation to measurement error for mixed format tests Jae-Chun Ban ,Won-Chan Lee pp.1003-1023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참고문헌 (4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국가교육기술자문회의 (2009). 미래형 교육과정 구상(안). 제8차 국민대토론회자료집. 서울: 국가교육기술자문회의. 미소장
2 교육과학기술부 (2009). 2008학년도 학업성취도 평가결과 및 기초학력 미달학생 해소 방안. 12월 6일 보도자료.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미소장
3 교육과학기술부 (2009). 학교단위 책임경영을 위한 학교 자율화 추진 방안(시안).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미소장
4 교육과학기술부 (2010). 2009년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결과 및 기초학력 미달학생 지원 방안. 서울: 교육과학기술부. 미소장
5 교육과학기술부 (2009.12). 고등학교 선전화를 위한 입학제도 및 체제 개편 방안. 미소장
6 교육과학기술부 (2008.5). 2008년 주요 업무 계획. 제1차 정책자문위원회 회의자료. 미소장
7 교육인적자원부 (2004). 학교교육 정상화를 위한 2008학년도 이후 대학입학제도 개선안.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미소장
8 교육인적자원부 (2006a). “다문화가정” 품어 안는 교육지원 대책.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미소장
9 교육인적자원부 (2006b). 다문화가정 자녀 교육지원 대책.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미소장
10 교육인적자원부 (2006c). '05-06년 다문화 가정 자녀 교육지원 사 현황.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미소장
11 교육인적자원부 (2006d). 학교의 의사결정 구조, 진학지도 순으로 불만 작년에 비해 교육만족도 평균 4∼5점 상승. 2006년 12월 22일 보도자료.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미소장
12 교육인적자원부 (2007). 수월성 제고를 위한 고등학교 운영 개선 및 체제 개편 방안. 서울: 교육인적자원부. 미소장
13 김신영·김경희·김재철·박현정·홍원표(2010). 고교교육력 강화를 위한 졸업요건 설정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14 류방란·김성식 (2006). 교육격차: 가정 배경과 학교교육의 영향력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미소장
15 Postmodern Paradigm and Significant Issues of Curriculum Development 소장
16 이광우·전제철·허경철·홍원표 (2009). 미래 한국인의 핵심역량 증진을 위한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설계 방안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17 이윤미 (2004). 공교육의 역사성. 황원철·김성열·고창규 편저. 공교육: 이념·제도·개혁. 서울: 원미사. 124-141. 미소장
18 이화진·김민정·이대식·손승현 (2009). 학습부진학생 지도·지원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대안 탐색.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19 정재걸 (2004). 한국 공교육의 이념. 황원철·김성열·고창규 편저. 공교육: 이념·제도·개혁. 서울: 원미사. 29-46. 미소장
20 현장에서 보는 학생 평가 소장
21 조난심 외 (2010). 2009 개정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 시안 개발 연구. 서울: 한국교육과정평가원. 미소장
22 채창균·옥준필 (2006). 기업의 대학교육 만족도와 신입사원 교육휸련. 서울: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미소장
23 황정규·이돈희·김신일 (2008). 교육학개론. 서울: 교육과학사. 미소장
24 American Federation of Teachers, (2001). Making standards matter2001: A fifty-state report on efforts to implement a standards-based system. http://65.110.81.56/pubs-reports/downloads/teachers/msm2001.pdf 미소장
25 Assessment and Classroom Learning 네이버 미소장
26 Below the Bubble: "Educational Triage" and the Texas Accountability System 네이버 미소장
27 Cusick, A. P. (1983). The curriculum: The egalitarian ideal and the American high school. New York: Longman. 미소장
28 Standards, Accountability, and School Reform 네이버 미소장
29 Doll. W. E. (1993). A post-modern perspective on curriculum.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미소장
30 Grizzell, D. E. (1923). Origin and development of the high school in New England before 1985. New York: Macmillan 미소장
31 Does High-Stakes Testing Increase Cultural Capital among Low-Income and Racial Minority Students? 네이버 미소장
32 Jepsen, C. & Rivkin, S. G. (2002). What is the tradeoff between smaller classes and teacher quantity? Cambridge, MA: National Bureauo of Economic Research. 미소장
33 Labaree, D. (1989).The American (High) school has failed its missions. MSU Alumni Bulletin, 7(1), 15-17. 미소장
34 Mullis, I. V. S., Martin, M. O., & Foy, P. (2008). TIMSS 2007 International mathematics report. Findings from IEA's Trends in International Mathematics and Science Study at the fourth and eighth grades. TIMSS & PIRLS International Study Center, Lynch School of Education, Boston College, USA. 미소장
35 OECD (2007). PISA 2006: Science competencies for tomorrow's world. 미소장
36 Sedlak, M., Wheeler, C., Pullin, D. & Cusick, P. (1986). Selling students short: Classroom bargains and academic reform in the American high school. New York: Teachers College Press. 미소장
37 Success and Education in South Korea 네이버 미소장
38 Powell, G. A., Farrar, E. & Cohen, D. (1985). The shopping mall high school. Boston: Houghton Mifflin Company. 미소장
39 Taiwan Ministry of Education (2007). 2007 Education in the Republic of China. Taiwan: Ministry of Education. 미소장
40 William, D. & Thompson, M. (2007). Integrating assessment with instruction: What will it take to nake at work? In Dwyer, C. A.(ed.) The future of assessment: Shaping teaching and learning, Mahwah, N.J.: Lawrence Erlbaum Associates.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