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드라마 영상 품질의 제작자 인식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방송미술 제공자와 방송미술 활용자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 문병화, 정일권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MBC문화방송, 2010.12.01
수록지명
방송과커뮤니케이션. 제11권 제2호 (2010년 12월) pp.167-204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1029810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드라마 영상 품질의 제작자 인식과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 방송미술 제공자와 방송미술 활용자의 인터뷰를 중심으로 / 문병화 ; 정일권 1

[요약] 1

1. 들어가며 2

2. 이론적 배경과 선행 연구 검토 6

1) 방송미술의 의미와 기능 6

2) 방송미술의 중요성 7

3) 방송미술 품질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10

4) 연구 문제 14

3. 연구 방법 15

1) 인터뷰 참여자 15

2) 인터뷰 진행 방법 15

3) 인터뷰 내용 17

4. 연구 결과 18

1) 방송미술 품질에 관한 인식 18

2) 방송 드라마 제작 환경 변화에 대한 인식 21

3) 현행 방송미술 제작 과정과 방법에 대한 평가와 개선책 24

5. 나오며 29

참고 문헌 36

Abstract 38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에서는 TV드라마 제작 실무자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디지털 시대 방송미술의 위상과 문제점에 관한 인식을 살피고, 이를 바탕으로 시청자들의 요구에 부합하도록 방송미술 품질을 개선하기 위한 구체적 방향을 제시하고자 했다. 연구 방법은 집단 인터뷰와 개별 인터뷰의 두 단계로 나눴다. 우선 방송미술 전문가들을 대상으로 한 집단 인터뷰를 통해 방송미술과 관련하여 제작 실무진들의 관심사를 파악했다. 이를 토대로 개별 인터뷰를 위한 인터뷰 지침을 마련했다. 개별 인터뷰에서는 방송미술 제공자와 방송미술 활용자, 즉 연출, 기술감독, 조명감독, 제작기술, 카메라 직무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영상 품질과 관련된 두 집단 간 인식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연구한 결과, 영상을 보는 관점에서 집단 간 인식의 차이를 보였는데, 방송미술 제공자는 ‘눈으로 보는 영상’에 대해 주안점을 두었고, 활용자는 ‘빛의 반사를 이용해 카메라가 픽업하여 화면에 비춰지는 영상’에 주안점을 두었다. 또한 영상 품질에 대한 평가에서 방송미술 제공자 집단은 평가 자체가 불가능하다고 한 반면, 활용자 집단 중 연출을 제외한 조명·카메라·기술 스태프는 평가가 가능하다고 인식하면서 나름의 기준을 제시하기도 했다. TV드라마의 영상 품질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을 통해 제작 관련자 간 인식 간극을 해소하는 것이 최우선 과제라고 지적되었고, 이에 대한 구체적 방안이 제시되었다.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xtent of discrepancy in the production staff’s

perception of visual arts and video quality manifested in the art component of

television dramas by means of interview methodology. Interviews consisted of

focus group interviews and in-depth interviews of individual staff.

The research results found that the production staff appreciated the importance

of the preparation process prior to actual production that pays due respect to the professionalism of the staff. This indicates the urgency of a way to close the gap in perception between the provider and user groups. The frequent

delay in final scripts to be used in production and the lack of prior coordination among production staff were frequently mentioned. The study

also confirmed the urgency of introduction of full ‘prior production’ system as

adopted in the film industry in order to enhance the video quality in television

dramas. It is suggested that the high video quality and enlarged screen that

characterize the HDTV setting demand more elaborate preparation in the production of visual arts and video in television dramas such as pre-production coordination among the staff involved.

참고문헌 (3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미국 드라마 시청 선호 현상에 대한 현상학적 연구 소장
2 한국방송영상산업 진흥원 (2006). 동아시아 드라마제작 환경과 비즈니스 연구: 일본. 서울: 방송위원회. 미소장
3 (2007). ‘미드’(미국 드라마)의 대중적 확산과 방송사 편성 담당자의 ‘문화 생산자’ 그리고 ‘매개자’로서의 역할에 관한... 미소장
4 『드라마 분석 방법론』, 집문당, 2004. 미소장
5 (2008a). TV드라마 위기와 출연료 정상화. 『한국 TV드라마협회 세미나 논문집』.서울: 한국 TV드라마협회. 미소장
6 (2008). 외주제작의 상업화 현상에 관한 연구, 방송과 커뮤니케이션, 9-1호. 미소장
7 수직적으로 해체된 드라마 시장에서의 전략적 생산요소 결합방식에 관한 연구 소장
8 문화체육관광부 . 한국문화콘텐츠진흥원,『문화산업 통계』,문화체 육관광부,2008. 미소장
9 (2003).『외주정책 13년의 평가와 발전적 방향에 대한 연구』. 방송문화진흥회. 미소장
10 (1990). 한국 TV드라마와 미술. 『방송개발』, 1권 1호 83~90. 미소장
11 (2005). 대중문화의 생산구조: 한국텔레비전 드라마의 제작시스템과 생산주체 간 권력관계의 변화. 『방송문화연구』, 제17권 2호, 9-44. 미소장
12 국내 드라마 제작 시스템 개선 방안 연구,방송위원회,2007년 미소장
13 (2008). PD들의 반성과 치열함, 위기타개의 출발점. 『PD저널』, 2008. 11. 5 미소장
14 외주제작정책 도입 이후 지상파 드라마 제작 시스템의 변화, "방송문화연구", KBS 한국방송, 2008, 20, 2, 31~58 미소장
15 (2002). 『프로덕션 디자인의 이해』. 서울: 소도. 미소장
16 TV드라마 시청률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소장
17 (2003). 『방송사 자회사 운영체제 현황 및 개선안 연구』. 서울: 방송문화진흥회. 미소장
18 “드라마산업의 수직적 해체와 생산요소시장의 부상 과정”, 방송문화연구, 제20권,제1호, pp.153-185, 2008. 미소장
19 (2006). 디지털시대의 방송미술. 사극 드라마를 통해본 방송의상. 『영상비평 보고서』. 서울: MBC 미소장
20 미디어시장의 ‘경쟁’과 지상파TV ‘프로그램의 질’에 관한 연구 네이버 미소장
21 (1999). 『TV영상미술』. 서울: 유풍출판사. 미소장
22 (2008). 『방송산업 실태 조사 보고서』. 서울: 방송위원회. 미소장
23 텔레비전 드라마 수용자의 해석적 위치 소장
24 (2007). 텔레비전 드라마 수용자의 품질 평가에 관한 연구(FBC 연구보고서). 방송문화진흥회. 미소장
25 한국방송개발원 (1998). 《TV드라마의 품질 향상을 위한 사례 분석》. 미소장
26 KOTRA(2007). 『‘New Media’, "美 방송 콘텐츠를 바꾸다"』. KOTRA 보고서. 미소장
27 BBC(2008). BBC Annual Report 2008. 미소장
28 Creative Industries: Contracts between Art and Commerce, H따vard University Press, 2000. 미소장
29 Crossroads: The Drama of a Soap Opera, London: Methuen, 1982. 미소장
30 (1972). The technique of television production. Boston, MA: Focal Press.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