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성인 남·녀의 음주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음주정도에 따른 건강행위 비교분석 / 이용철 ; 임복희 1

I. 서론 1

II 연구 방법 3

A. 분석 자료 및 대상 3

B. 변수의 구성 및 측정 3

C. 분석방법 4

III. 연구결과 4

A. 인구사회학적 특성별 성인 남·녀의 음주정도 4

B. 성인 남·녀의 음주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5

C. 음주정도에 따른 성인 남·여 만성질병 양상 8

D. 음주정도에 따른 성인 남·녀의 건강상태 및 예방의료 행위 9

E. 음주정도에 따른 건강행위 9

IV. 논의 11

V. 결론 14

참고문헌 15

〈Abstract〉 17

초록보기

Objectives: This study firstly examined the socio-demographic and health factors associated with high

problem drinking among Korean men and women. Secondly, we compared disease prevalence, health

behaviors among groups of moderate drinking, problem drinking and alcohol abuse/dependency.

Methods: Secondary analysis of the 2008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was conducted for 5,735 respondents aged 19 over.

Results: First, the factor which affect high problem drinking in men was age, income, marital status,

occupation, education, depression, smoking and the factor which affect high problem drinking in woman

was age, marital status,

occupation, education, stress, suicide thought, smoking and solitary life. Second, the prevalence of

hypertension, hypercholesterolemia, hypertriglyceridemia, obesity was highest in the orders of alcohol

abuse/dependency, problem drinking, moderate drinking in men and the prevalence of low HDL

cholesterolemia was the reverse order in men and woman. Third, smoking, stress, depression was high

in alcohol abuse/dependency in both of men and woman. The influenza vaccination in men and woman

and cancer screening in woman was high in order of moderate drinking, problem drinking, alcohol

abuse톎ependency.

Conclusion: There might be many differences in the prevalence and health behavior among moderate

drinking, problem drinking and alcohol abuse/dependency. Our finding suggest that the need to develop

appropriate high problem drinking prevention and intervention strategies for sex and socioeconomic

specified groups at greater risk.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The)challenges ahead :Implementing the WHO global strategy on alcohol in the Republic of Korea Thomas F. Babor ;Donald Zeigler ;Sungsoo Chun pp.1-9

보기
포커스 그룹을 통한 일개 도·농복합도시의 음주문제 분석과 대안 :고양시를 중심으로 차진경 ;양순승 ;이혜정 ;김영선 ;신영한 ;이정화 ;김성재 pp.11-32

보기
알코올중독자 자녀의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심리사회적 보호요인과 위험요인 조혜정 ;윤명숙 pp.33-48

보기
5요인 성격 특성과 성인의 음주동기 및 문제음주 간의 관계 서경현 ;조은희 pp.49-60

보기
청소년 음주에 대한 사회적 환경의 영향 이정환 pp.61-72

보기
일부 전문계 고등학생의 흡연과 음주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가정환경과 친구의 흡연 및 음주를 중심으로 유연숙 ;김건엽 ;이무식 ;홍지영 ;배석환 ;황혜정 pp.73-84

보기
응급실알코올손상환자의 손상특성 분석 천성수 ;손애리 ;윤선미 pp.85-93

보기
노년기 부부의 갈등과 음주문제가 우울에 미치는 영향 김희국 pp.95-106

보기
성인 남·녀의 음주정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및 음주정도에 따른 건강행위 비교분석 이용철 ;임복희 pp.107-123

보기

참고문헌 (20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Factors Influencing Drinking of Employees:Focus on the White Collar Employees 소장
2 김순오(2005). 성인 남성의 음주행위 예측모형, 중앙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미소장
3 The Relationship between Alcohol Drinking Behavior And High Blood Pressure 소장
4 Characteristics and Factors Related to High Risk Drinking of Korean Women 소장
5 김인주(2009). 직장인 음주행위가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학교 행정대학원 석사 학위논문. 미소장
6 손애리, 서혜정(2009). 건강예방행동과 음주행동과의 연관성. 한국알코올과학지, 10(1),137-144. 미소장
7 손애리, 천성수, 조정애(2008). 한국인의 사인별 알코올 기여도 및 알코올로 인한 질환별 잠재수명 손실 연수 산출, 알코올과학회 학 술 대회. 미소장
8 손애리, 박지은(2006). 전국 대학생 비폭음자와 폭음자 간의 위험성행동 비교 전국 대학생의 비폭음자와 폭음자 간의 위험성행동 비교, 한국알코올과학지, 7(1), 27-38. 미소장
9 신명식(2002). 한국성인의 문제음주행위 관련 요인 분석. 한국알코올과학지, 3(1), 111-130. 미소장
10 안보미(2010). 음주문화와 알코올 사용장애 연구, 삼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미소장
11 The Study on the Relationship of Psychosocial Factors, Problem drinking on Quality of Life for the Elderly in Urban and Rural Areas 소장
12 전경숙, 이효영(2010). 우리나라 남․녀 성인의 폭음 및 문제음주 영향 요인. 보건교육․ 건강증진학회, 27(1), 91-103. 미소장
13 정문희(2004), 여성근로자의 음주량이 학력에 미치는 영향 요인, 미소장
14 Drinking and Life Span Lose 소장
15 천성수, 김미경, 윤선미, 정현미, 유재현, 이상숙(2009). 한국인의 문제음주 및 알코올 사용장애 연구. 한국알코올과학지, 10(2), 129-139. 미소장
16 최은진, 김창우(2007). 성인 음주자의 특성에 따른 고위험 음주행위 분석 연구. 한국알코올과학지, 8, 29-38. 미소장
17 Smoking pattern and factors associated with smoking in Korean adult women 소장
18 Gender differences in social influences and stressors linked to increased drinking. 네이버 미소장
19 Leonard, K.E., Keans, J. Mudar, P.(2000). Peer networks among heavy, regular and infrequent drinkers prior to marriage. Journal of Studies on Alcohol and Drugs, 61, 669-673. 미소장
20 Women and alcoholism: how a male-as-norm bias affects research, assessment, and treatment.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