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역사수업에서 교사와 학생간 교육목표의 일치성 검토 / 남한호 1

I. 머리말 1

II. 역사교육목표에 대한 학생과 교사의 인식 비교 3

1. 역사교육목표에 대한 학생의 인식 3

2. 역사교사의 교육목표인식과 역사수업의 방식 11

III. 역사교육목표의 설정 방안 20

IV. 맺음말 27

〈참고문헌〉 29

〈Abstract〉 31

초록보기



History and Educational Objectives have a meaning of starting or ending point that hopes students to learn it through a learning process based on a history subject. The educational objectives in the history lesson should be very importantly treated as it presents an important basis that the students should learn through a history lesson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r essence of history such as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y, process of historical data, method of history study.

In the real example of lesson, we verified that we should need two propositions so the students could recognize well the educational objectives of history intended by history teacher, and take out a good result for the educational objectives. First, the teacher should establish a clear educational objectives in designing his lesson, and a good lesson necessary for its objective.

The history teachers have as the objectives of history education cultivating their historical thinking in a wide meaning. And they mention as a basis to establish the educational objectives the important contents of subject, content aspect regulated in the educational process, learning objectives by chapter presented in the teacher's guidance and textbook. However, the above-mentioned basis that help the teacher to establish the learning objectives are limited to be too general or in a certain division without sufficient examples. Therefore, we presented the following plan to solve this problem. Namely, we need to separate the content aspect from behavioral term, and to classify knowledge- understanding and the thought-skills, and the value-attitude to the characteristics of history lesson. And if the teacher connects the target limit of being highlighted according to the learning content, he will be able to establish various learning objectives.

However, though the history lesson have the educational objectives well established for students to raise their educational performance as expected by the teacher, it will not be connected naturally to the students' target recognition. Finally, it is important to have an interaction between the teacher and students in the process that the teacher teaches them history as well as what intention the teacher ha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초등 사회과 역사교육의 목적과 교실 역사수업의 실제 주웅영 pp.3-32

보기
역사수업에서 교사와 학생간 교육목표의 일치성 검토 남한호 pp.33-64

보기
역사탐구를 위한 실행의 전제 전혁진 pp.65-86

보기
초등학교 5학년들의 역사 프로젝트 수행과정과 시사점 :한국 전쟁의 원인 분석을 중심으로 장순화 ;송인주 pp.87-133

보기
시사만화를 활용한 세계사 수업의 방안과 실제 이성희 pp.135-171

보기
역사교과서 그림삽화의 유형과 평가기준 :현행 중학교 세계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최지현 ;김민정 pp.173-205

보기
新羅의 大加耶 故地 支配에 대하여 李文基 pp.207-251

보기
羅唐戰爭의 開戰과 薛烏儒 部隊 이상훈 pp.253-280

보기
『赴燕日記』에 나타난 19세기초 中人 醫官의 淸 文物 認識 이선정 pp.281-314

보기
1930년대 초 김규식의 국제정세 인식과 대내외 대응 신경환 pp.315-355

보기
1980년대 한국인의 대미인식의 성격 김진웅 pp.357-381

보기
일제강점기 조선인 의사교육에 종사한 일본인 교사에 관한 자료 李忠浩 pp.383-443

보기

참고문헌 (27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교육인적자원부, 제7차 교육과정에 따른 성취 기준과 평가 기준―고등학교 사회― ,2002. 미소장
2 한국교육과정평가원, 국가 교육과정에 근거한 평가 기준 및 도구 개발 연구―고등학교국사― , 연구보고 RRE 98-3-6, 1998. 미소장
3 김한종 외, 역사교육과 역사인식 , 책과함께, 2005. 미소장
4 김한종, 역사수업의 원리 , 책과 함께, 2007. 미소장
5 김한종,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 연구 , 선인, 2006. 미소장
6 G. B. Nash et. al., National Standard for History(Basic edn.), LA: NCHS, 1996. 미소장
7 L. W. Anderson et. al.(eds.), 강현석 외 공역, 교육과정 수업평가를 위한 새로운 분류학―블룸 교육목표분류학의 개정 , 아카데미프레스, 2005. 미소장
8 R. W. Tyler, 진영은 옮김, 타일러의 교육과정과 수업지도의 기본원리 , 양서원, 1996. 미소장
9 역사교육의 목적과 초등학교 교사의 역사교육관 소장
10 The History Teaching and the Perception on the Revolution in 1884 of History Teachers 소장
11 Characteristics of Historical Knowledge Revealed through the Content of Classroom History Assessments 소장
12 역사교사의 인지적 특성이 역사수업에 미치는 영향 소장
13 김한종, 「중․고등학교 국사교육목표의 설정」 역사교육과정과 교과서 연구 , 선인, 2006. 미소장
14 중·고등학교 국사교육목표의 설정 방안 소장
15 The Meaning of Educational Objectives and Forms Offering the Instructional Objectives for National History 소장
16 역사과 교수-학습론의 인식론적 전환 소장
17 歷史敎科 敎育理論의 可能性과 問題點;敎授內容知識의 성격과 의미 소장
18 Requestioning the Aims of History Teaching 소장
19 The Uses of History and the Objectives of History Teaching 소장
20 교실 역사지식의 내용과 형식 소장
21 역사교육의 최종 목표와 역사적 통찰력 소장
22 역사적 사고력의 하위범주와 역사학습목표의 설정방안 소장
23 Teaching History at Key Stage 2 — One School's Approach 네이버 미소장
24 P. Lee, "Historical Knowledge and the National Curriculum", R. Aldrich ed., History in The National Curriculum, London:University of London, 1990. 미소장
25 P. N. Sterns, “Why Study History?”, Online Publication of the American Historical Association, 2004. 미소장
26 P. Seixas, “The Purpose of Teaching Canadian History”, Canadian Social Studies 36(2), 2002. 미소장
27 S. S. Wineburg and S. M. Wilson, "Subject-matter Knowledge in the Teaching of History", J. Brophy ed., Advances in Research on Teaching, Greenwitch: JAI Press Inc., 1991.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