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초등 사회과 역사교육의 목적과 교실 역사수업의 실제 / 주웅영 1

I. 머리말 1

II. 목적과 민주시민의 자질 함양 3

III. 목표와 역사적 사고력의 육성 9

IV. 이론과 교실 역사수업의 실제 16

V. 맺음말 24

〈참고문헌〉 26

〈Abstract〉 29

초록보기



History education in the subject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helps children prepare themselves for the future society. Then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should be fostering qualities of a democratic citizen. A democratic citizen know how to make a reasonable decision, and a reasonable decision is possible only when one has skills to draw and organize scientific knowledge. This implies much about the establishment of the goal of history education in the subject of elementary social studies.

The goal of teaching history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fostering historical thinking, accords well with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in elementary schools. Historical thinking is ability for children, when they face a historical problem or issue, to collect relevant materials and draw a conclusion and generalization. National standards for history making this point clear help us understand historical thinking.

If the goal of teaching history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is fostering historical thinking, history classes should encourage students to approach history using the exploration and project method. If not, the purpose of history education in elementary social studies cannot be accomplished, the goal of fostering democratic citizens cannot be achieved, and the subject of social studies will be degraded to a subject of memorization. Finally, it is very important that teachers should know how to reorganize the textbook contents and seriously consider collection of rich materials before class.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초등 사회과 역사교육의 목적과 교실 역사수업의 실제 주웅영 pp.3-32

보기
역사수업에서 교사와 학생간 교육목표의 일치성 검토 남한호 pp.33-64

보기
역사탐구를 위한 실행의 전제 전혁진 pp.65-86

보기
초등학교 5학년들의 역사 프로젝트 수행과정과 시사점 :한국 전쟁의 원인 분석을 중심으로 장순화 ;송인주 pp.87-133

보기
시사만화를 활용한 세계사 수업의 방안과 실제 이성희 pp.135-171

보기
역사교과서 그림삽화의 유형과 평가기준 :현행 중학교 세계사 교과서를 중심으로 최지현 ;김민정 pp.173-205

보기
新羅의 大加耶 故地 支配에 대하여 李文基 pp.207-251

보기
羅唐戰爭의 開戰과 薛烏儒 部隊 이상훈 pp.253-280

보기
『赴燕日記』에 나타난 19세기초 中人 醫官의 淸 文物 認識 이선정 pp.281-314

보기
1930년대 초 김규식의 국제정세 인식과 대내외 대응 신경환 pp.315-355

보기
1980년대 한국인의 대미인식의 성격 김진웅 pp.357-381

보기
일제강점기 조선인 의사교육에 종사한 일본인 교사에 관한 자료 李忠浩 pp.383-443

보기

참고문헌 (53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교육부, 사회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8a. 미소장
2 교육부, 초등학교 교육과정 해설(Ⅲ)-국어, 도덕, 사회- 대한교과서주식회사, 1998b. 미소장
3 교육인적자원부, 사회과 교육과정 대한교과서주식회사, 2007. 미소장
4 교육과학기술부, 초․중등학교 교육과정 총론-교육과학기술부 고시 제 2009-41호- 사회복지법인 홍애원, 2009. 미소장
5 역사교육의 목적과 초등학교 교사의 역사교육관 소장
6 김한종 외. 역사교육과 역사인식 책과함께, 2005. 미소장
7 배한극․송인주․주웅영 공역, 초․중학교에서 학생들과 조사 연구하는 역사하기(Linda S. Levstik & Keith C. Barton 저) 아카데미 프레스, 2007. 미소장
8 Reflection upon the Discourse of History Teaching on the Contents in History Teaching 소장
9 양호환 외, 역사교육의 이론과 방법 삼지원, 1997. 미소장
10 역사서술의 주체와 관점 : 역사교과서 읽기와 관련하여 소장
11 Problematizing Historical Thinking for Possibilities of Historicization 소장
12 Requestioning the Aims of History Teaching 소장
13 양호환, 「역사교육의 개념과 연구영역」 역사교육의 이론 책과함께, 2009. 미소장
14 The Uses of History and the Objectives of History Teaching 소장
15 역사교육의 최종 목표와 역사적 통찰력 소장
16 6次 敎育課程 初·中·高 社會科 國史領域의 特徵과 그 實現을 위한 前提 소장
17 주웅영, 「역사교육에 있어서 탐구학습의 현장적용 문제」 역사교육논집 22, 1997. 미소장
18 第7次 敎育課程의 改定과 統合敎科『社會』의 設定 소장
19 주웅영, 「초등 「사회」교과서 역사영역 내용분석의 함의」 역사교육논집 29, 2002. 미소장
20 주웅영, 「현장교사들의 초등사회 역사영역 교수․학습안의 구안방법과 그 성격」 초등사회과교육 16-1, 2004. 미소장
21 미국 초등학교 사회과 교수·학습자료의 종류와 성격 소장
22 A Search for Vocabulary Instruction strategies in Social Studies for the Primary School 소장
23 On the Recognition of the Elementary History Teaching in Social Studies 소장
24 Understanding teachers' perceptions and their teaching practices for identifying possible curriculum applications 소장
25 초등 사회과 역사학습에서 다관점 인식활동 : 1·2차 사료의 경합하는 견해의 해결을 중심으로 소장
26 최병모 외 공역, 사회과 교수법과 교재연구(James A. Banks 저) 교육과학사, 1987. 미소장
27 최상훈, 역사교육의 내용과 방법 책과함께, 2007. 미소장
28 역사적 사고력의 하위범주와 역사학습목표의 설정방안 소장
29 최용규 외 공저, 살아있는 역사 수업 교육과학사, 2009. 미소장
30 Ankeney, K., Del Rio, R., Nash, R. D. & Vigilante, D., Bring History Alive! A Sourcebook for Teaching United States History(Los Angeles: UCLA, 1996). 미소장
31 Barton K. C. & Levstik, L. S., Teaching History for the Common Good(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2004) 미소장
32 Barton K. C. & Levstik, L. S., Doing History-Investigation With Children in Elementary and Middle Schools(Lawrence Erlbaum Associates, publishers, 2005) 미소장
33 Brophy, J. & VanSledright, B., Teaching and Learning History in Elementary Schools(Amsterdam Avenue, NY: Columbia University, 1997) 미소장
34 Downey, M. T. & Levstik, L. S., “Teaching and Learning History”, In Shaver, J.P.(Eds.). Handbook of Research on Social Studies Teaching and Learning(New York, NY: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91) 미소장
35 Drake, F. D. & Nelson, L. R., Engagement in Teaching History-Theory and Practices for Middle and Secondary Teachers-(Upper Saddle River, NJ: Pearson Education Inc., 2009) 미소장
36 Edinger, M., Seeking history: Teaching with Primary sources in grades 4-6(Westport, CT: Heinemann., 2000) 미소장
37 Ellis, A. K., Teaching & Learning Elementary Social Studies(Boston, MA: PearsonEducation, Inc., 2007) 미소장
38 Hass, M. E. & Laughlin, M. A., Meeting the Standards: Social Studies Readingsfor K-6 Educators(NCSS, 1997) 미소장
39 Jorgensen, K. L., History Workshop: Reconstructing the past with elementary student(Portsmouth, NH: Heinemann, 1993) 미소장
40 Lindquist, T., Seeing the whole through social studies(Portsmouth, NH: Heinemann,1995) 미소장
41 Martorella, P. H., “Knowledge and Concept Development in Social Studies”, In Shaver, J. P.(Eds.). Handbook of Research on Social Studies Teaching and Learning(New York, NY: Macmillan Publishing Company, 1991) 미소장
42 National Center for History in the Schools(NCHS), National standards for United States History: Exploring the American Experience(Los Angeles, CA: NCHS, 1996a). 미소장
43 National Center for History in the Schools(NCHS), National standards for History for grades K-4: Expanding Children's World in Time and Space(LosAngeles, CA: NCHS, 1996b). 미소장
44 NCSS, Curriculum standards for Social Studies: Expectations of Excellence(NCSS Bulletin 89, 1994). 미소장
45 NCSS, A Link to the Past: Engaging Students in the Study of History(NCSS Bulletin 102, 2004) 미소장
46 Parker, W. C., Social Studies in Elementary Education(Thirteenth Edition)(Allyn & Bacon: Pearson Education Inc., 2009) 미소장
47 Solomon, W., “Teaching Social Studies Creatively”, In Hass, M. E., & Laughlin, M. A., Meeting the Standards: Social Studies Readings for K-6 Educators (Newark Street, NW: NCSS, 1997). 미소장
48 Stockdale, K., & Kauffman, G., Primary Sources: Strategies for finding and using original sources(Logan, IA: Perfection Learning Co., 1994) 미소장
49 Vansledright, B., In search of America's past: learning to read history in elementary school(Teachers College, Columbia University, 2002). 미소장
50 Wineburg, S., “Historical Thinking and Other Unnatural Acts", Phi Delta Kappen 80, 1999. 미소장
51 Wisconsin Department of Public Instruction, Planning Curriculum in Social Studies, 2001. 미소장
52 Yeager, E. A. & Foster, S. J., “The Role of Empathy in the Development of Historical Understanding". In Davis Jr., O. L. Yeager, E. A., and Foster, S. J.(Eds.). Historical Empathy and Perspective Taking in the Social Studies (Lanham, Maryland: Rowman & Littlefield Publishers, Inc., 2001) 미소장
53 Zarrillo, J. J., Teaching Elementary Social Studies-Principles and Applications-(Upper Saddle River, NJ : Prentice-Hall, Inc., 2000)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