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한국, 핀란드, 홍콩-중국의 과학성취 모형 비교 / 손원숙 ; 김경희 ; 박 정 ; 박효희 인기도
발행사항
청원군 : 한국교육평가학회, 2009.03.30
수록지명
교육평가연구. 제22권 제1호 (2009년 3월), pp.129-149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10025424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한국, 핀란드, 홍콩-중국의 과학성취 모형 비교 / 손원숙 ; 김경희 ; 박정 ; 박효희 1

[요약] 1

I. 서론 2

II. 과학성취모형의 개념 구조 3

III. 연구 방법 5

1. 표집 절차 및 표본 5

2. 분석 절차 7

IV. 연구 결과 8

1. 과학성취도의 학교간 차이 분석 8

2. 배경변인의 범주별 모형 분석 8

3. 최종 과학성취모형 분석 12

V. 요약 및 논의 15

참고문헌 18

저자소개 20

〈ABSTRACT〉 21

초록보기 더보기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find out whether it is possible to explain the cross national differences in students' literacy in science, with the available PISA(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data. This goal was approached by analyzing the possible relationships of the context indicators on different levels(student and school level), with scientific literacy in an international comparative context. For this, the PISA 2006 data from three relevant reference countries(Korea, Finland, and Hong Kong-China) were explored. Multi-level statistical models were used for the estimation of the parameters by means of the software HLM, version 6.0(Raudenbush, et al., 2004). Both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were found with regard to predictors at student and school level of scientific literacy. It turned out that school background variables are closely related to scientific literacy both at school levels for Korea and Hong Kong, but not for Finland. A limited number of 'changeable' school variables seem to be related to achievement in all three countries. On the other hand, students' motivation or self-related belief factor is an important 'changeable' influencing factor in all three countries. In summary, these results partially explained cross-national differences in relations between potentially effective factors on scientific literacy. If the conceptual foundation of the multi-level models for scientific literacy could be improved, it would be provided better opportunities to explain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in achievement. However, the search for reasons why one country is outperformed by another country still remains very complicated because of the many factors involved and the social and cultural differences between countries.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대학수학능력시험의 개선 방안 탐색 김신영 pp.1-27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학업성취도 평가에서의 오답원인 자기평가의 효과 김성훈 pp.29-56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Jigsaw식 학업수행 자기효능감 증진 프로그램의 효과 이 웅 ;강승호 pp.57-78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학교교육의 책무성 제고를 위한 학교평가지수 산출모형 비교 :학업성취도를 중심으로 강상진 ;차인숙 ;김성연 pp.79-106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중학교 방과후학교 프로그램 평가척도 개발 김석우 ;한홍련 ;김수연 pp.107-128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한국, 핀란드, 홍콩-중국의 과학성취 모형 비교 손원숙 ;김경희 ;박 정 ;박효희 pp.129-149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사고양식의 영어 학업성취도 설명력 분석 김윤숙 ;김정환 pp.151-17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컴퓨터 활용 유형에 따른 학습자 특성 분석 :PISA 2006 한국 자료를 중심으로 박현정 ;김혜숙 pp.171-19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구성형문항 검사의 IRT 동등화를 위한 선다형문항 외부가교검사의 활용가능성 연구 김성훈 ;반재천 pp.195-217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구조방정식모형에서 다집단 분석의 문제 및 대안으로서의 다특질 다상황 다방법 모형 이순묵 ;김인혜 pp.219-24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Analysis of longitudinal binary outcomes using marginal and random effect models Tacksoo Shin pp.243-263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Cheating proof testing system (CPTS) and its validity Lee, Guemin ;Park, Do-Soon ;Nam, Myungho ;Kim, Myunghwa ;Jeon, Min-Jeong ;Kim, Keon-Seob pp.265-29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참고문헌 (2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노국향, 박 정, 강상진 (2001). 학업성취도 국제 비교 평가에 근거한 학교 교육효과 분석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CRE 2001-9. 미소장
2 이미경, 조지민, 박선화, 김경희, 시기자, 최성연 (2005). PISA 2003 결과 심층 분석 연구-문제해결 소양과 수학 성취도에 미치는 학교 효과를 중심으로-. 한국교육과정평가 연구보고. RRE 2005-2-2. 미소장
3 이미경, 손원숙, 노언경 (2007). PISA 2006 결과 분석 연구: 과학적 소양, 읽기 소양, 수학적 소양 수준 및 배경 변수 분석.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연구보고. RRE 2007-1. 미소장
4 Socioeconomic Status, School Quality, and National Economic Development: A Cross‐National Analysis of the “Heyneman‐Loxley Effect” on Mathematics and Science Achievement 네이버 미소장
5 Bryk, A., & Raudenbush, S. W. (1992). Hierarchical Linear Models: Applications and data analysis methods. Newbury Park, CA: Sage. 미소장
6 Coleman, J. S., Campbell, E., Bobson, C., McPartland, J., Mood, A., Weinfed, E., & Yourk, R. (1966). Equality of educational Opportunity, Washington, DC: U. S. Government Printing Office. 미소장
7 Creemers, B. P. M. (1994). The effective classroom. London: Cassell. 미소장
8 Kreft, I., & de Leeuw, J. (1998). Introducing multilevel modeling. London: Sage. 미소장
9 A structure for the affective domain in relation to science education 네이버 미소장
10 OECD (2001). Knowledge and skills for life: First results from PISA 2000. Paris: OECD Publications. 미소장
11 OECD (2003). Student engagement at school, a sense of belonging and participation: Results from PISA 2000. Paris: OECD Publications. 미소장
12 OECD (2004). Learning for tomorrow’s world: First results from PISA 2003. Paris: OECD Publications. 미소장
13 OECD (2005). School factors related to quality and equity. Paris: OECD. 미소장
14 OECD (2006a). Assessing scientific, reading and mathematical literacy: A framework for PISA 2006. Paris: OECD Publications. 미소장
15 OECD (2006b). School Sampling Preparation manual. 미소장
16 OECD (2007). PISA 2006: Science Competencies for Tommorow's World. Volume 1: Analysis. Paris: OECD.(자료출처: www.pisa.oecd.org) 미소장
17 Creating a System of School Process Indicators 네이버 미소장
18 Raudenbush, S. W., Bryk, A. S., Cheong, Y. F., & Congdon, R. (2004). HLM6: Hierarchical Linear and Nonlinear Modeling. Scientific Software International. 미소장
19 Scheererns, J. & Bosker, R. J. (eds.) (1997). Foundations of educational effectiveness. London: Routledge. 미소장
20 Travers, K. J. & Westbury, I. (1989). The IEA study of mathematics I: international analysis of mathematics curricula. Oxford: Pergamon Press. 미소장
21 The Programme for International Student Assessment: an overview. 네이버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