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成琬의 「日東錄」연구 / 손혜리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民昌社, 2009.06.30
수록지명
韓國實學硏究. 제17호 (2009년 6월), pp.43-82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09108795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성완의 「일동록」연구 / 손혜리 1

국문요약 1

1. 머리말 3

2. 성완의 생애와 사행 5

3. 「일동록」의 기록적 특징 14

1) 일본 문사와의 시문 창수 16

2) 선경에 대한 감탄 24

3) 고향과 가족에 대한 그리움 29

4. 맺음말 32

참고문헌 36

Abstract 38

초록보기 더보기

본고는 조선 후기 통신사행에서 3대를 이어 제술관과 서기로 활동한 昌寧 成氏家의 인물과 그들이 남긴 사행 기록을 주목하고, 먼저 成琬(1639~ 1710)의 「日東錄」을 살펴보았다. 창녕 성씨가 중 사행에 참여한 인물로는, 1682년 壬戌사행의 제술관 成琬?1719년 己亥사행의 서기 成夢良?1763년 癸未사행의 서기 成大中이 있다. 당시 사행에서 제술관이나 서기는 문한이 뛰어난 서얼출신의 문사들이 도맡았다는 사실을 염두에 둔다면, 창녕 성씨가는 문한에 있어서 대대로 인정을 받은 서얼명문이었던 것이다. 이 중 성완은 가장 먼저 사행에 참여하였으며 고국에서 제대로 인정받지 못한 詩才를 낯선 이국땅에서 마음껏 표출하였는데, 그 성과물이 바로 「日東錄」이다. 33수가 「일동록」에 수록되어 있으며, 기록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일본 문사와의 시문 창수로, 제술관으로서의 본연의 임무를 충실히 수행한 것인 만큼 「일동록」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한다. 성완이 시를 창수하고 교유한 인물로는 당대 일본에서 유명한 학자이자 문인이었던 林春常과 木貞簡, 源璵 등이 있다. 둘째, 仙境에 대한 감탄으로, 성완은 일본의 뛰어난 풍광에 매료되어 신선 및 선계와 관련된 다양한 고사를 차용하고 도교와 불교 용어까지 인용함으로써 일본의 신비로우면서도 환상적인 모습을 잘 묘파하였다. 특히 「倭王請製廣寒樓四詠」은 용사 사용을 극대화하여 수사적 기교가 뛰어날 뿐만 아니라, 선궁으로서의 광한루와 그 속에 투영된 일본의 모습을 빼어나게 묘사한 수작이다. 셋째, 고향과 가족에 대한 그리움으로, 성완이 제술관으로 참여한 제7차 임술사행은 8개월이 넘게 걸린 대장정이었다. 그런 만큼 고국에 홀로 계신 늙으신 어머니와 형님을 그리워하는 마음을 「容懷難禁遂賦十韻?月」에 잘 표출하였다.

This paper gave attention to the persons of Chang?nyeong(昌寧) Seong(成) family who had worked as writing official and secretary for the Joseon Delegates to Japan in the late Joseon over three generations and their records about delegate trip. To find out the characteristics and significance of the records in the history of literature, this study examined 「Ilㆍdong·rok(日東錄)」 of Seong Wan(成琬, 1639~1710) at first.

Among Changnㆍyeong Seong family, Seong Wan joined in 1682(壬戌) delegate trip as writing official, Seong Mongryang(成夢良) joined in 1719(己亥) delegate trip as secretary and Seong Daejung(成大中) joined in 1763(癸未) delegate trip as secretary. Considering the fact that the writing official or secretary for delegate trip had been undertook alone by excellent literary men of Suh-ul(born from concubine), Changnyeong Seong family should be a distinguished literary Suh-ul family, recognized for generations. Seong Wan joined first in delegate trip and won applause for poetic genius but could not entertain proper treatment because of his humble birth. So, he displayed his underestimated genius to the full in a foreign country. The outcome is 「Il·dongㆍrok(日東錄)」. 「Ilㆍdongㆍrok」 has 33 poems and their record characteristics can be divided as following three.

The first characteristic is the poem exchanges with Japanese literary men. It was proper duty of writing official, naturally taking the most part of 「Ildongrok」. The Japanese literary men with whom he exchanged poems include 林春常 and 木貞簡, leaders of Japanese literary world, as well as 源璵 who had outstanding literary talent.

The second is the admiration at beautiful scene. Seong Wan, fascinated by Japan's great scenic beauty, inserted many historical events related to mountain wizards and fairly land and cited the terms of Taoism and Buddhism to describe it. In particular, ?Wae· wang·cheong·je·gwang·han·ru·sa·yeong(倭王請製廣寒樓四詠)? is an outstanding work with sophisticated modifiers and excellent rhetoric, which drew Gwanghanru(fairly land) and the Japan's scene reflected on Gwanghanru. The fact that he wrote a poem of sophisticated modifiers and excellent rhetoric can be interpreted in two ways. One is, faithful to his job as a writing official, to prove that Joseon's poem was on higher level than Japan and the other, as an unlucky poet, is to display his poem genius underestimated in fatherland fully in other country.

The third is yearning for hometown and family. The seventh Joseon Delegates to Japan in 1682, Seong Wan joined, was a long event of over eight months. So, he expressed his longing for old solitude mother and elder brother in 「Yongㆍhoiㆍnanㆍgeumㆍsuㆍbuㆍsipㆍ unㆍyeongㆍwol (容懷難禁遂賦十韻?月)」

참고문헌 (2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金昌業, 老稼齋集 . 미소장
2 金昌翕, 三淵集 . 미소장
3 成琬, 翠虛集 . 미소장
4 成大中, 日本錄 . 미소장
5 成大中, 靑城雜記 . 미소장
6 成祐曾, 茗山集 . 미소장
7 成海應, 硏經齋全集 . 미소장
8 李德懋, 靑莊館全書 . 미소장
9 任 埅, 天倪錄 . 미소장
10 任守幹, 東槎日記 . 미소장
11 鄭景淳, 修井遺稿 . 미소장
12 趙 曮, 海槎日記 . 미소장
13 洪禹載, 東槎錄 . 미소장
14 국역 東槎錄 (1977), 민족문화추진회. 미소장
15 국역 東槎日記 坤(1974), 민족문화추진회. 미소장
16 국역 靑莊館全書 (1980), 민족문화추진회. 미소장
17 국역 靑城雜記 (2006), 한국고전번역원. 미소장
18 김문식(1996), 조선후기 경학사상 연구 , 일조각. 미소장
19 손혜리(2005), 「연경재 성해응 산문의 연구」, 성균관대 박사논문. 미소장
20 A Study of Selection to Organization in the Deligation to Japan(通信使) in Later Chosun 소장
21 서얼시인의 계보와 시의 사적 전개 네이버 미소장
22 이원식(1991), 조선통신사 , 민음사. 미소장
23 이혜순(1996), 조선통신사의 문학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24 임형택(2000), 「實學者들의 日本觀과 實學」, 실사구시의 한국학 , 창작과 비평사. 미소장
25 朝鮮後期 通信使行의 製述官에 대한 一考察 소장
26 Study of Heuk-Ui-In-Jeon 네이버 미소장
27 Sung, Wan's Chuiheo Collection ad Fidelity to Myeong Dynasty Poem 소장
28 홍학희(2006), 부사산 비파호를 날듯이 건너 , 소명출판.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