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방출셀을 이용한 액상건축자재 오염물질 방출시험방법 정립에 관한 연구 / 임정연 ; 장성기 ; 서수연 1

요약 1

Abstract 1

I. 서론 2

2. 연구방법 2

2.1. 시험장치 구성 2

2.2. 시험조건 3

2.3. 시험대상 자재 선정 및 시험편 제작 방법 4

2.4. 시료채취방법 4

2.5. 시료분석방법 4

3. 결과 및 고찰 6

3.1. 방출시험 장치 성능평가 6

3.2. 분석방법 평가 6

3.3. 방출시험 결과 8

4. 결론 8

참고문헌 10

초록보기

이 연구는 소형방출챔버와 방출셀을 이용한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방출시험결과의 상관성을 규명하여 방출셀을 이용한 액상 건축자재 오염물질 방출시험 방법을 정립하고 활용방안을 제시하기 위한 기초 자료를 확보하고자 수행되었다. 소형방출챔버와 방출셀을 이용한 액상 건축자재 방출시험을 실시하기 위해 방출시험 적합성 여부를 판단하고 최적조건을 확립하기 위하여 방출시험장치, 분석기기에 대한 성능평가를 실시하였다. 방출시험 장치인 소형방출챔버와 방출셀의 배경농도 청정도, 기밀도, 회수율, 분석장치인 열탈착장치 회수율 및 GC/MS 기기재현성, 방법검출한계(MDL) 등을 평가한 결과 방출시험장치와 분석기기의 조건은 안정적이고 재현성과 감도가 양호하여 액상 건축자재에서 방출되는 오염물질에 대한 측정·분석조건이 최적화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페인트, 접착제, 실란트로 구성된 40개의 액상 건축자재를 대상으로 소형방출챔버와 방출셀을 이용하여 오염물질 방출시험을 실시한 결과 방출되는 총휘발성유기화합물의 농도는 소형 방출챔버와 방출셀에서 모두 대수정규분포(log normal distribution)하였으며 시험방법차이에 따른 방출량 분포의 차이는 크지 않았다. 또한 방출셀을 이용하여 오염물질 방출시험을 실시하였을 때, 소형방출챔버를 이용하였을 때보다 약 1.35~1.41배 높은 방출량을 나타내었으며 상관계수(r)가 약 0.91~0.97의 범위를 보여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evaluate and establish of emission test method for liquid phase building materials such as paint, adhesive, sealant by emission cell. A small-scale emission chamber and emission cell were used to evaluate emission of TVOC from paint, adhesive, sealant. The quantity of TVOC emission were measured by a gas chromatography/mass spectrometry (GC/MS). Background concentration of TVOC was below 10 ㎍/㎥ in the emission chamber and cell. Air tightness and recovery in chamber and cell showed good results. The recovery of thermal desorber for toluene and n-dodecane were about 120%. The repeatability of response factor and retention time in GC/MS below 30%. The method detection limit of VOCs ranged 0.04~8.82 ng. The concentration of TVOC emission using emission cell was 1.35~1.41 times higher than emission chamber. The correlation of TVOC emission using chamber and cell method was significantly high (r=0.91~0.97).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방출셀을 이용한 액상건축자재 오염물질 방출시험방법 정립에 관한 연구 임정연 ;장성기 ;서수연 pp.191-200

보기
동물성 생약에 함유되어 있는 몇 가지 중금속에 대한 실태 조사 백선영 ;정재연 ;이지혜 ;박경수 ;강인호 ;강신정 ;김연제 pp.201-209

보기
GC-MS/MS를 이용한 모발 중 암페타민 유도체 및 노르케타민 동시분석 김진영 ;신순호 ;고범준 ;정재철 ;서용준 ;인문교 pp.210-218

보기
Primary study of sterols composition of Rhodiola sachalinensis by using GC/MS Yinzhe Jin ;Xifeng Li ;Donghao Li ;Kyung Ho Row pp.219-227

보기
Analysis on the substrate specificity and inhibition effect of Brassica oleracea glutathione S-transferase Hee-Joong Park ;Hee-Jin Lee ;Kwang-Hoon Kong pp.228-234

보기
Trace element analysis of Korean car windshield using LA-ICP-MS Ji-Sook Min ;Man-Sik Choi ;Sang-Cheol Heo ;Jae-kyun Kim pp.235-246

보기
코드화 다공성 실리콘 나노입자의 개발 및 법과학적 응용 신여울 ;강상혁 ;이준배 ;팽기정 pp.247-253

보기
Fabrication of Fe-ACF/TiO₂ composites and their photonic activity for organic dye Kan Zhang ;Ze-Da Meng ;Weon-Bae Ko ;Won-Chun Oh pp.254-262

보기
청동유물 보존처리에 사용되는 강화처리제의 특성 비교 조현경 ;조남철 pp.263-271

보기
하수처리장 방류수의 염소소독부산물 발생 특성 서희정 ;김종민 ;민경우 ;강영주 ;백계진 ;박종태 ;김성준 pp.272-276

보기

참고문헌 (1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장성기, 임정연, 이우석, 서수연, 임준호, 박민규, 류정민, 천재영, 고형건축자재 오염물질 방출시험방법최적화 연구, 한국실내환경학회 학술지, 3(3), 298-312(2006). 미소장
2 Determination of Formaldehyde Emission with Field and Laboratory Emission Cell (FLEC) – Recovery and Correlation to the Chamber Method 네이버 미소장
3 M. D. Bortoli and A. Colombo, ‘European Collaborative Action Report’ No. 13. Determination of VOCs emitted from indoor materials and products - Interlaboratory comparison of small chamber measurements.Commission of the European Communities, Joint Research Centre - Institute for the Environment, 1993. 미소장
4 M. D. Bortoli, S. Kephalopoulos and H. Knöppel, ‘European Collaborative Action Report’ No. 16. Determination of VOCs emitted from indoor materials and products - Second interlaboratory comparison of small chamber measurements. European Commission, Joint Research Centre - Environment Institute, 1995. 미소장
5 M. D. Bortoli, S. Kephalopoulos, S. Kirchner, H. Schauenburg, H. Vissers, ‘European Collaborative Action Report’ No. 21. European Inter- laboratory Comparison on VOC emitted from building materials and products. European Commission, Joint Research Centre - Environment Institute, 1999. 미소장
6 ISO 16000-9. Indoor air - Part 9 : Determination of the emiss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 Emission test chamber method.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05. 미소장
7 ISO 16000-10. Indoor air - Part 10 : Determination of the emiss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 Emission test cell method. International Organization for Standardization. 2005. 미소장
8 ENV 13419-1. Building Products - Determination of the emiss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 Part 1 : Emission test chamber method. European Committee for Standardization, 1999. 미소장
9 O. Jann and O. Wilke, Comparison of FLEC with other climate chambers, German experiences. International FLEC symposium 2001, 18-27(2001). 미소장
10 R. Funaki and S. Tanabe, Measurements of emission rates from wall covering adhesives - comparing with FLEC and a small scale chamber ADPAC-. International FLEC symposium 2001, 65-70(2001). 미소장
11 Comparison of three small chamber test methods for the measurement of VOC emission rates from paint 네이버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