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목차
미국의 20세기 전쟁에 대한 공식화된 기억 : 세계대전과 베트남 전쟁을 중심으로 / 강선주 1
I. 머리말 1
II. 미국의 역사 전쟁: 기억 투쟁 5
III. 미국사 교과서가 제시하는 20세기 전쟁에 대한 기억: 세계대전과 베트남 전쟁 14
1. 제1차 세계대전과 제2차 세계대전에 대한 기억 14
2. 베트남 전쟁에 대한 기억 22
3. 미국사 교과서들이 공식화하는 기억, 합의(약정)된 이야기 27
IV. 맺음말 29
참고문헌 32
Abstract 34
A common past is preserved through institutions, traditions, and symbols. Among those institutions including museums, monuments, school textbooks, archives, commemorations, the school history textbook is one of the most crucial instruments to shape and transmit a collective memory of one nation. The notion of identity depends on the idea of memory.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analyze three 11th-grade American history textbooks widely adapted in the U.S.- Pathways to the Present, American Nation, and American Odyssey- in order to seek answers to the following questions: how do the American history textbooks present the memories of war taken place in the 20th century, especially, World War I, World War II, and Vietnam War?; In the textbooks whose memories are accepted as the official memory of the nation. This article finds that “Pathways to the Present” is organized around two kinds of collective memories: one produced by the new-right and the other by the new-left. By integrating them together, the textbook attempts to represent both political views. “American Nation”, seemingly adopting an ‘objective’ attitude toward the two political views, in fact, tends to take the side of the new-right, while “American Odyssey” apparently takes the side of the new-left.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목차 |
---|---|---|---|---|
미국의 20세기 전쟁에 대한 공식화된 기억 : 세계대전과 베트남 전쟁을 중심으로 | 강선주 | pp.5-39 |
|
보기 |
공간 이동, 근대 체험과 여성 정체성 형성 : 김난연의 『토담』 | 구은숙 | pp.41-69 |
|
보기 |
『태양 아래 건포도』에 나타난 지리적 이동의 탈식민적 의미 | 기현주 | pp.71-92 |
|
보기 |
미국의 지방 선거 경쟁이 투표율에 미치는 영향 : 캘리포니아 사례 연구 | 김진하 | pp.93-114 |
|
보기 |
『월든』에 나타난 소로우의 문명관 : "더 현명한 미개인" | 나희경 | pp.115-145 |
|
보기 |
국제어로서의 영어 문화 교육 | 박옥희 | pp.147-172 |
|
보기 |
『9월 원숭이』에 나타난 자전적 서사 연구 : 신여성의 근대 체험을 중심으로 | 이소희 | pp.173-213 |
|
보기 |
여성의 육체에 대한 여성의 권리 : 마거릿 생어와 미국의 산아제한 운동 | 이창신 | pp.215-250 |
|
보기 |
『샬롯의 거미줄』에 나타난 여성리더십 | 조무석 | pp.251-275 |
|
보기 |
마리아 아이린 포네즈의 『사리타』 : 반사실주의적 특성과 사리타의 갈등 간의 연계성 연구 | 황규철 | pp.277-295 |
|
보기 |
번호 | 참고문헌 |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
---|---|---|
1 | Three World History Textbooks ![]() |
미소장 |
2 | 미국 중등학교 미국사 교과서에서의 베트남 전쟁 서술 | 소장 |
3 | 알란 불룸, (1989) 미국정신의 종말, | 미소장 |
4 | 역사의 기억: "기억의 터"에 대한 최근 독일에서의 논의 ![]() |
미소장 |
5 | 전진성, (2008) 트라우마의 귀환, unpublished paper | 미소장 |
6 | 전진성, (2007) 트라우마,내러티브,정체성, 歷史學報 | 미소장 |
7 | Micheal W. Apple, The Text and Cultural Politics, Educational Researcher | 미소장 |
8 | William Bennett, (1984) To Reclaim a Legacy, | 미소장 |
9 | Allan Bloom, (1986) Closing of the American Mind, Simon & Schuster | 미소장 |
10 | Perry Boyer, (2003) American Nation?, Holt,Rinehart and Winston | 미소장 |
11 | Andrew Cayton, (2003) Elisabeth Israels Perry, Linda Reed, Pathways to the Present | 미소장 |
12 | Frances Fitzgerald, (1980) America Revised:History Schoolbooks in the Twentieth Century, Vintage books | 미소장 |
13 | The struggle for American identity: treatment of ethnic groups in United States history textbooks ![]() |
미소장 |
14 | America in World War II: An Analysis of History Textbooks from England, Japan, Sweden, and the United States ![]() |
미소장 |
15 | W. Loewen, (1996) Lies My Teacher told Me: Everything Your American History Textbook Got Wrong, New Press | 미소장 |
16 | Anthony Molho, (1998) Imagined History: American Historians Interpret the Past, Princeton University Press | 미소장 |
17 | Gary B. Nash, (2001) American Odyssey, Glencoe | 미소장 |
18 | Gary Nash, (1998) History on Trial: Culture Wars and the Teaching of the Past, alfred A. Knope | 미소장 |
19 | Peter Novick, (1988) That Noble Dream: The Objectivity Question and the American Historical Profession, | 미소장 |
20 | Peter Seixas, (2004) “Introduction”, Peter Seixas ed., Theorizing Historical Consciousness, University of Toronto Press | 미소장 |
21 | Linda Symcox, (2002) Whose History?:The Struggle for National Standards in American Classrooms, Teachers College | 미소장 |
22 | Minorities in U.S. History Textbooks, 1945–1985 ![]() |
미소장 |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정기간행물실(524호) / 서가번호: 국내04
2021년 이전 정기간행물은 온라인 신청(원문 구축 자료는 원문 이용)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