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목차

죽일 권리와 살릴 권리 : 2차 대전 동안 미국인으로 살았던 일본인과 일본인으로 살았던 조선인들 / 다카시 후지타니 ; 박선경 역 1

[머리글] 1

I. 서론 2

II. 한국 3

1. 일본 인구의 외부자에서 내부자로 3

2. 군복무의 모순 8

3. 배제의 정치와 배제의 생명관리정치(Bio-Politics) 11

III. 미국 속의 일본인 15

1. 인종차별 부인하기 : 혹은 노골적인 차별에서 점잖은 차별로. 15

2. 민간인노동력과 군사력의 이용 17

3. 미국의 외부자에서 내부자로의 이동 22

IV. 결론 29

참고문헌 33

[요약] 36

초록보기

While it is common to describe Japan and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Second "World War as polar opposites, this essay argues that the material and ideological demands of fighting total war (especially the need to mobilize soldiers and workers; and to achieve dominance in the Asia Pacific) forced the two regimes to incorporate their colonial and minority subjects in strikingly similar ways. In both cases this led to a shift from "exclusionary" to "inclusionary" racism and a movement away from (albeit not the displacement of) what Michel Foucault has described as the deductive logic of the "right to kill" toward the productive logic of the "right to make live." In keeping with this transformation, racism modulated away from its "vulgar" to a more "polite" form so that even as extreme brutality and violence against segments of these despised populations continued, the governing elite also manifested unprecedented concern for the life, reproduction, welfare, and sometimes even happiness of these same peoples. In an important way the legacy of the total war years remains with us, for as in that earlier moment, racism and its disavowal continue to haunt us in their uneasy compatibility.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특집 서문 헨리 임 ; 최민 역 pp.7-12

보기
죽일 권리와 살릴 권리 : 2차 대전 동안 미국인으로 살았던 일본인과 일본인으로 살았던 조선인들 다카시 후지타니 ; 박선경 역 pp.13-47, 255

보기
이태준, 사적영역으로서의 동양 Janet Poole ;한상희 역 pp.48-79, 256

보기
제국의 딸로서 죽는다는 것 Helen J. S. Lee pp.80-105, 257

보기
한국 이민담론의 분절성 엄한진 pp.112-140, 258-259

보기
중화질서의 이면 :『한궁추』(漢宮秋)에 담긴 국제정치사상 김영민 pp.143-164, 260-261

보기
한국 민주주의의 진로에 대한 정치철학적 고찰 :자유주의, 시장, 법의 지배 및 헌정주의의 상호관계를 중심으로 김비환 pp.165-198, 262-263

보기
The diplomacy of economic reform in Vietnam :the genesis of doi moi, 1986-1989 Balazs Szalontai pp.199-252, 264

보기

참고문헌 (4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최유리, (1997) 일제말기 식민지 지배정책 연구, 서울: 국학자료원 미소장
2 라이샤워의 '괴뢰천황제' 구상 네이버 미소장
3 타카시 후지타니., (2006) 식민지 시대 말기 ‘조선’영화의 휴머니즘, 보편주의 그리고 인종차별주의: 이마이 타다시의 경우를 중심으로, 서울: 소도 미소장
4 タカシフジタニ., (2006) 殺す利, 生かす利: アジア太平洋下の日本人 としての朝鮮人とアメリカ人としての日本人, 岩波書店 미소장
5 タカシフジタニ., (1994) 近代日本における力のテクノロジ: 軍隊‘地方’, 岩波書店 미소장
6 岡本紀子, (1996) アジア太平洋末期における朝鮮人台人政問題, 植民地近代の視座: 朝鮮と日本. 岩波書店 미소장
7 宮田節子 解監修, (2000) 十五年下の朝鮮統治:未公開資料 朝鮮督 府係者 音記( 刷 2), 東京: 東洋文化究所 미소장
8 宮田節子, (1985) 朝鮮民衆と皇民化政策, 未社 미소장
9 藤岡信勝井元彦, (1998) NOといえる科書: の日韓係史, 祥社 미소장
10 陸軍省兵備課, (1976) 大東二伴フ我カ人的國力ノ討, 龍書社 미소장
11 思想策係, (1998) 半島人問題, 柏書房 미소장
12 松本武祝, (2004) “[ 究動向] ‘植民地的近代’をめぐる近年の朝鮮史究.”, 岩波書店 미소장
13 愼英弘, (1984) 近代朝鮮社事業史究: 京城における方面委員制度の史的展 開, 陰書 미소장
14 尹晸郁, (1996) 殖民地朝鮮における社事業政策, 大阪法科大出版部 미소장
15 朝鮮督府, (1991) 朝鮮人集二スル具的究, 後補償 問題究 미소장
16 朝鮮督府, (1999) 補朝鮮督府施政三十年史(第三). 株式社クレ ス出版, 미소장
17 朝鮮督府財務局, (1961) 第八五回帝議明資料復刻督統治終末期の 態(四).” 財法人友邦協朝鮮史料究 編. 朝鮮近代史料究集成 (第四), 미소장
18 口雄一, (2001) 時下朝鮮の民衆と兵, 和社 미소장
19 口雄一, (1991) 皇軍兵士にされた朝鮮人, 社評論社 미소장
20 內海愛顧., (1991) 朝鮮人 “皇軍” 兵士たちの戰爭, 東京 미소장
21 洪金子, (1999) 日帝時代の社福祉政策及び社福祉サビス.” 近現代資料刊行 編. 前中期アジア究資料1: 殖民地社事業係資料集 [朝鮮編] . 近現代資料刊行, 미소장
22 敎育總覽部, (1944) 朝鮮出身兵の敎育參考資料(第一券), 미소장
23 Agamben, Giorgio., (1998) Homo Sacer: Sovereign Power and Bare Life, Stanford: Stanford University Press 미소장
24 Agamben, Giorgio., (2003) State of Exception. trans. by Kevin Attell,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미소장
25 Balibar, Etienne., (1991) Racism and Nationalism, London: Verso 미소장
26 Cumings, Bruce., (1997) Korea’s Place in the Sun, New York: W.W. Norton & Company 미소장
27 Daniels, Roger., (1972) Concentration Camps USA: Japanese Americans and World War II,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미소장
28 Duus, Masayo., (1987) Unlikely Liberators, Honolulu: University of Hawaii Press 미소장
29 Fanon, Frantz., (1988) Racism and Culture, New York: Grove Press 미소장
30 Public health in World War II assembly centers for Japanese Americans. 네이버 미소장
31 Foucault, Michel., (1978) The History of Sexuality. trans. by Robert Hurley, New York: Vintage 미소장
32 Foucault, Michel., (1988) The Political Technology of Individuals, Amherst, Mass: University of Massachusetts Press 미소장
33 Foucault, Michel., (1991) Governmentality, Chicago: University of Chicago Press 미소장
34 Foucault, Michel., (2003) Society Must Be Defended. trans. by David Macey, New York: Picador 미소장
35 Right to Kill, Right to Make Live: Koreans as Japanese and Japanese as Americans During WWII 네이버 미소장
36 Goldberg, David Theo., (2002) The Racial State, Malden, Massachussets: Wiley-Blackwell 미소장
37 System failure: health-care deficiencies in the World War II Japanese American detention centers. 네이버 미소장
38 Mbembe, Achille., (2001) On the Postcolony,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미소장
39 Necropolitics 네이버 미소장
40 Molina, Natalia., (1939) Fit to Be Citizens? Public Health and Race in Los Angeles, 1879 -1939, Berkeley: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미소장
41 Oguma, Eiji., (2002) A Genealogy of Japanese Self-Images, Melbourne: Trans Pacific Press 미소장
42 Colonial Governmentality 네이버 미소장
43 Seltzer, William, (2000) After Pearl Harbor: The Proper Role of Population Data Systems in Time of War, Annual Meeting 미소장
44 Shin, Gi-wook, (1999) Colonial Modernity in Korea,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Asia Center 미소장
45 United States Commission on Wartime Relocation and Internment of Civilians, (1997) Personal Justice Denied, Seattle: University of Washington Press 미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