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중국 선종사에 보이는 원효에 대한 認識의 변화 : 『金剛三昧經』 및 『金剛三昧經論』과 관련하여 / 석길암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국선학회, 2006.12.30
수록지명
韓國禪學. 제15호 (2006. 12), pp.365-396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07058276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중국 선종사에 보이는 원효에 대한 인식의 변화 : 『금강삼매경』 및 『금강삼매경론』과 관련하여 / 석길암 1

1. 문제의 제기 1

2. 『송고승전』 「원효전」의 검토 5

3. 『금강삼매경론』 및 원효에 대한 『종경록』의 인식 11

4. 『종경록』 이전의 상황-동산법문, 남종선 그리고 『금강삼매경』 16

5. 맺는말 23

◎ 국문요약문 25

◎ 영문요약문 28

【참고문헌】 31

초록보기 더보기

원효의 대승기신론소와 화엄경소는 저술된 직후부터 중국불교계에 유통되었으며, 중국불교에 미친 영향 또한 적지 않다. 우리는 원효의 또 다른 대표작품인 금강삼매경론 역시 저술된 직후부터 중국에 유통되고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이것은 사실이 아니다. 영명연수가 961년에 편찬한 종경록 이전의 중국불교인들의 저술에는 금강삼매경론이 유통된 흔적이 보이지 않기 때문이다. 그런데도 금강삼매경론이 저술된 직후부터 중국에 유통되었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것은 송고승전원효전(988년 찬술)의 영향 때문이다. 본 논문은 송고승전 원효전을 기점으로 중국 선종사에 나타난 원효의 대한 인식의 변화를 살펴본 것이다.그 결과 금강삼매경은 원효에 의해 신라에 출현한 직후부터 중국에 유통된 것으로 보이지만, 금강삼매경론은 그렇지 않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종경록 이전의 시대에, 금강삼매경론은 중국불교인들에게 전혀 인용되지 않았다. 또 금강삼매경이 7세기 중엽에서 8세기 중엽까지의 동산법문(東山法門: 능가종)과 깊은 관계를 맺고 있는 것으로 간주하는 일반적인 견해와는 달리, 금강삼매경은 초기 선종의 승려들에게 주목받지 못했던 것으로 보인다. 오히려 종경록 이전의 시대에 금강삼매경을 인용한 유일한 사례는 징관(澄觀)과 종밀(宗密)에게서 발견된다. 이것은 일반적인 인식과 달리 금강삼매경이 중국 초기선종사의 동산법문과 사상적 맥락을 같이하는 선경(禪經)이 아니라, 오히려 화엄의 관행문과 같은 맥락에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러나 신라불교는 석마하연론 등에서 보듯이 금강삼매경론에 대해 비상한 관심을 보여주고 있다는 점에서, 그리고 일본불교는 이미 8세기 초의 목록에서 활발한 유통인 확인된다는 점에서 중국불교와 다르다.결국 중국 선종에서는 영명연수의 시대에 이르러서야 금강삼매경 및 금강삼매경론이 수용되는 것이다. 이것은 연수가 선교일치의 사상을 주장하는 법안종의 승려였기 때문에 나타난 결과로 이해된다. 아마도 연수는 959년 고려의 광종에 의해 파견된 지종(智宗) 등의 고려인 제자들을 통해서 원효의 오도(悟道) 관련 일화와 금강삼매경론을 알았을 것이다. 혹은 제관이 천태덕소에게 전한 고려의 전적에 금강삼매경론이 포함되었는지도 모른다. 어쨌든 연수의 원효의 오도에 얽힌 에피소드의 서술과 금강삼매경론 인용을 바탕으로, 송고승전 원효전의 금강삼매경 연기설화가 편집된 것으로 이해된다. 그리고 이 2회의 기록이 계기가 되어, 중국 선종의 승려들은 금강삼매경을 선경(禪經)으로 인식하게 되었으며, 원효를 산성(散聖)으로 이해하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이 같은 10세기 말에 이루어진 두 편(종경록과 송고승전)의, 원효와 금강삼매경을 둘러싼 기술 덕분에 원효의 금강삼매경론은 그 중요성이 재인식되면서 처음으로 대각국사 의천이 편찬한 목록집 신편제종교장총록에 입장되게 되었던 것으로 보인다. ◎ 국문핵심어원효(元曉), 금강삼매경(金剛三昧經), 금강삼매경론(金剛三昧經論), 중국선종사(中國禪宗史), 이입사행설(二入四行說), 종경록(宗鏡錄), 송고승전(宋高僧傳)

Change of Awareness of Wonhyo found in Chinese History of Zen in relation to distributions of Geumgamg-sammae-gyeong and Geumgang-sammae-gyeongnon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휴정의 禪心學 :禪心과 一物의 응축과 확산 高榮燮 pp.43-97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禪門五宗綱要』의 구성과 사상적 특징 김호귀 pp.99-14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西山大師 休靜의 法華經 수용과 신행 李起雲 pp.143-181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重雕補註禪苑淸規』의 底本에 관한 논증 정재일 pp.183-209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十玄談要解』에 드러난 金時習의 經典 및 禪語錄에 관한 理解 鄭然守 pp.211-24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祖師禪에서의 本來面目의 의미와 수행 윤영해 pp.245-27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禪宗에 있어서 '頓悟'의 受容과 그 展開 金鎭戊 pp.277-317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원묘요세 비문의 조승론(祖承論) 고찰 최동순 pp.319-363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중국 선종사에 보이는 원효에 대한 認識의 변화 :『金剛三昧經』 및 『金剛三昧經論』과 관련하여 석길암 pp.365-396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趙州禪師의 禪思想的 淵源과 그 意義 鄭鎭洪 pp.397-427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大慧 看話禪의 破邪顯正 변희욱 pp.431-47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看話禪 대중화의 문제와 과제 서재영 pp.475-526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半行半坐三昧의 修行法에 관한 고찰 김종두 pp.527-55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4무량심(四無量心)에 대한 고찰 운월 pp.555-61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사찰령의 불교계 수용과 대응 김광식 pp.619-663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상월 조사의 생애와 교화 방편 김세운 pp.665-704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출가자의 카리스마 형성에 관한 연구 조기룡 pp.705-736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禪의 입장에서 본 治癒健康의 문제 박지숙 pp.737-768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荊溪湛然의 淨土思想 硏究 김은희 pp.769-79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참고문헌 (25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金剛三昧經』(大正藏 9) 미소장
2 續高僧傳, 대정장50 미소장
3 『金剛三昧經論』, 대정장34 미소장
4 『宗鏡錄』,대정장 48권 미소장
5 『萬善同歸集』, 대정장 48권 미소장
6 『佛祖統紀』권42(大正藏, 49) 미소장
7 『大方廣佛華嚴經疏』,『大正藏』35. 미소장
8 『隨疏演義鈔』,대정장 36권 미소장
9 『圓覺經略疏』, 대정장 39권 미소장
10 『禪源諸詮集都序』,대정장48 미소장
11 『宋高僧傳』(大正新修大藏經, 第50卷) 미소장
12 『開元釋敎錄』, 『大正藏』55. 미소장
13 「圓空國師勝妙塔碑」,『朝鮮金石總覽』2책 미소장
14 고익진, "韓國 古代 佛敎思想史", 東國大學校 出版部, 1989 미소장
15 새롭게 다시 쓰는 중국 선의 역사 , 최연식 역, 서울: 대숲바람, 2005. 미소장
16 「『金剛三昧經論』의 緣起說話考」,『가산이지관스님화갑기념불교학논총 한국불교문화사상사』,가산불교문화 진흥원,1992. 11... 미소장
17 문화적.종교적 원형으로서의 원효:한국 불교 고승전에 대한 연구 네이버 미소장
18 원효저술이 한·중·일 삼국불교에 미친 영향 소장
19 『釋摩訶衍論之研究』. 山城屋: 文政堂, 1935. 미소장
20 『 華嚴思想の硏究』(東京, 春秋社, 1996) 미소장
21 「菩提達磨の二入四行說 と金剛三昧經」,『印佛研』제3권 2호 및『駒澤大學佛敎研究紀要』13,1955. 미소장
22 『금강삼매경』의 학파소속성에 관한 시론 소장
23 『金剛三昧經の研究』,『백련불교논집』제3집, 1993. 미소장
24 선종 전래 이전의 신라의 선 : 『금강삼매경론』에 보이는 원효의 선학 소장
25 「元曉の著作の成立時期について」,『東洋學論叢』31, 2006. 3.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