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별서도(別墅圖)에서 명승명소도(名勝名所圖)로 : 정선(鄭敾)의 작품을 중심으로 / 조규희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사회평론, 2006.10.15
수록지명
미술사와 시각문화. 제5호 (2006. 10), pp.192-223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07031179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별서도(別墅圖)에서 명승명소도(名勝名所圖)로 : 정선(鄭敾)의 작품을 중심으로 / 조규희 1

[머리글] 1

I. 정선의 『양천팔경첩』, 『장동팔경첩』, 그리고 〈청풍계도〉 3

II. 정선의 『해악전신첩』과 『구학첩』 16

III. 별서도에서 명승명소도로-농본사회에서 상업적 도시문화로 19

[요약] 31

초록보기 더보기

18세기 전반을 대표하는 화가인 정선(鄭敾)과 그를 추종한 몇몇 화가들은 한양과 한강 주변의 개인 별서를 일련의 명승명소도 작품들의 대상으로 포함하기 시작하였다. 특정인의 소유지를 그린 별서도가 18세기에 들어와 불특정 다수에게 유통될 수 있는 한 폭의 감상화가 된 것이었다. 본고는 사적인 영역의 그림이었던 별서도가 18세기에 들어 와 명승명소도의 형식으로 전형화 되고 대량 제작되어 유통되던 현상에 주목한다. 이와 관련하여 이러한 실경산수화의 기능적인 변화가 정선이 활동한 시기에 어떻게 이루어졌으며 별서도에서 명승명소도로 이행한 사회경제적, 문화적 배경과 그 의미는 무엇인지를 살펴볼 것이다. 이 점에 있어 본고는 상품화폐 경제가 발달하던 조선 후기 한양의 상업적 도시문화에 주목한다.

Transition: Two Modes of Landscape Painting in Early Eighteenth-Century Korea

Kyuhee Cho

This essay deals with the ways in which two competing modes of landscape painting took shape in eighteenth-century Korea, exploring the work of Jeong Seon [Ch?ng S?n 1676-1759] and his followers. In the early eighteenth century, paintings depicting the land holdings and country estates of the landlord class gained enormous popularity. Jeong Seon was the most eminent master of this landscape genre. He created a large number of landscapes representing the patron’s pavilions, villas, and estates, landscapes that were not only designed to celebrate the wealth and power of the land owner but also used as a means of enhancing his social prestige.

Along with this mode of landscape painting, topographical landscapes of scenic sites also gained wide currency. The rapid urbanization and commercialization of late Joseon [Chos?n] society played a significant role in the production and consumption of such landscape paintings at a time when many members of the ruling class and nouveaux riches pursued leisure activities including pleasure trips to famous mountains and rivers. Jeong Seon was the most distinguished painter laying the foundation for this mode of landscape painting. While the landscape of property was created exclusively for the owner, the topographical painting of a notable site was produced for mass consumption. Early eighteenth-century paintings embodied this significant change from pictures of land property to topographical landscapes of famous scenic sites.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