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三韓時代 慶州 隍城洞集團의 空間構成과 性格 / 崔景圭 인기도
발행사항
부산 : 嶺南考古學會, 2006.11.30
수록지명
嶺南考古學. 39 (2006년 11월), pp.109-145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07020036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삼한시대 경주 황성동집단의 공간구성과 성격 / 崔景圭 1

〈요약문〉 1

I. 머리말 2

II. 황성동유적의 단계설정 5

1. 분묘유적 6

2. 주거유적 11

3. 제철유적 14

4. 단계별 조합 16

III. 황성동유적의 단계별 변화와 공간구획 양상 18

1. 단계별 변화양상 18

2. 단계별 변화로 본 황성동유적의 공간구획 양상 19

IV. 황성동집단의 성격 20

V. 맺음말 29

Abstract 37

초록보기 더보기

기존의 진ㆍ변한 문화에 대한 연구는 통시적, 포괄적 입장에서의 편년 혹은 특성에 관한 연구가 주를 이루었다. 하지만 이 시기의 실체를 구체적으로 밝히기 위해서는 단위집단에 대한 연구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본고는 삼한시대의 개별집단에 대한 기초연구로서 당시의 고고학적 자료가 풍부한 경주 황성동일대의 유적을 대상으로 하였다.경주 황성동유적은 분묘구역과 생산구역 그리고 주거구역이 공간 구획되어 조성된 유적이다. 황성동유적에서 철생산이 이루어졌던 시기는 신라가 성립되기 전단계인 진변한시기(삼한시대)에 속한다. 대규모 철기생산의 존재를 통해 삼한사회의 有力集團이 어떠한 배경으로 철생산을 장악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소국을 통합하여 국가형태로 전개시켰는지를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유적이다.본고에서는 출토유물이 양호하게 잔존하는 황성동유적의 분묘자료를 통해 유물과 유구를 중심으로 획기를 파악해 단계를 설정하고, 주거와 제철은 분묘의 단계설정과 상호 대비해 단계 설정해 보았다. 단계설정 결과, 분묘는 4단계, 주거는 2단계, 제철은 4단계로 각 단계 설정할 수 있었다. 이를 종합하여 황성동유적을 크게 12기로 구분할 수 있었고 그 획기의 주요한 배경에는 제철생산이 관계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제철생산체계 변화의 주요인은 외부로부터의 선진기술의 이입을 상정할 수 있었으며 그 결과로 주거와 분묘에서 획기를 가지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황성동 1기에서 2기로의 변화는 철원료의 원활한 공급망을 형성한 집단의 황성동유적의 장악과 크게 관련된다는 것을 분묘ㆍ주거ㆍ제철의 구체적인 양상을 바탕으로 추론할 수 있었다. 이러한 제철생산단지를 배경으로 경제적 성장을 이룬 집단이 삼한소국을 복속할 수 있는 정치적 권력을 가질 수 있었다고 파악되었다. 그 세력을 구체적으로 탈해집단으로 추정해 보았다.

It is Hwangsung dong site that space-divided as burial area, dwelling area and producing area. The first time producing an iron in Hwangsung dong is Jin or byunhan period prior to Shilla. By existing a large-scale site producing a iron, It is a site that examines how a strong group of Three-Hans held a power producing an iron. Integrating small states, it made a form of these with this natural disposition. In the thesis, dividing a factor of burials, dwellings and productions, Again analyzing these. I study how burials, dwellings and production system co-relate and change, then suppose the causes of a change with basis of outside or inside circumstance of JinㆍByunhan societies at that time. It is a examining measure that first I hold an epoch in center of relics, ruins and set up a phase. Comparing dwelling and production of an iron with burial, I will create a stage. In consequence of this stages, burial has 4 steps, dwelling has 2 steps, producing an iron has 4 steps. Integrating these, Hwangsung dong site is divided with 1ㆍ2 stage, the main circumstance of a epoch is related to producing a steel. I think that a important factor of changes about production system is a inflow of futuristic technology from Nakrang. I presume the changes between 1 and 2 stage is to hold Hwangsung dong group which has a network for the supply with an iron and is connected with a specific aspect of burials, dwellings and productions. Therefore basing on area producing an iron, Hwangsung dong unifies the small states of Three-Hans. I definitely suggest that the group is Talhae.

참고문헌 (58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더보기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1985) 慶州隍城洞遺蹟發掘調査報告, 國立中央博物館 미소장
2 (2005) 韓國文物의 고고학적 이해, 동아대학교 출판부 미소장
3 (1999) 경주 황성동 524-9번지 용해로적, 미소장
4 국립경주박물관, (2000) 경주 황성동유적ⅠⅡ, 미소장
5 (2002) 경주 황성동고분군Ⅱ, 미소장
6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1995) 경주 황성동 601-2번지 황남동 192-4번지 발굴조사보고서, 국립경주문화재연구소 미소장
7 (1998) 경주 황성동 634-1번지 고분군 , 미소장
8 (2000) 경주 황성동유적, 미소장
9 경주대학교박물관, (2003) 경주 황성동 고분군, 미소장
10 (2000) 경주 황성동유적, 미소장
11 (2002) 경주 황성동 267유적, 미소장
12 동국대학교경주캠퍼스박물관, (2002) 황성동 고분군, 미소장
13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0) 경주시 황성동 567-3번지 발굴조사보고서 황성동일대의 유적, 미소장
14 (2001) 경주시 황성동 537-2 부지 아파트 신축부지 발굴조사 보고서, 미소장
15 (2002) 경주 황성동유적 537-1 10, 537-4, 535-8, 544-1 6번지발굴조사보고서, 미소장
16 한국문화재보호재단, (2003) 경주 황성동 유적Ⅰ 강변로 개설구간 발굴조사 보고서, 미소장
17 (2005) 경주 황성동Ⅱ~Ⅳ 강변로3A 개설구간내 발굴조사 보고서, 미소장
18 이건무, (1985) 앞의 보고서, 미소장
19 金一圭 , (2003) 경주 황성동유적Ⅰ 강변로개설구간발굴조사보고서, 한국문화재보호재단 경주시 미소장
20 李健茂 外, (1995) 義昌 茶戶里遺蹟 發掘調査報告 Ⅳ, 미소장
21 高久健二, (2000) 樂浪郡と弁 辰韓の墓制 副葬品の組成と配置の分析を中心に, 考古學으로 본 弁 辰韓과 倭, 嶺南考古學會 미소장
22 安在晧, (1995) 경주 황성동분묘군에 대하여, 미소장
23 李在興 , (2001) 木棺系木槨墓의 등장과 배경, 미소장
24 鄭永和, (2000) 慶州地域 鐵器生産의 變遷, 미소장
25 李盛周, (1997) 辰 弁韓 鐵製武器의 樣相에 대한 몇 가지 檢討, 嶺南考古學會 미소장
26 釜山大學校博物館, (1997) 蔚山下垈遺蹟 古墳Ⅰ, 미소장
27 車順喆, (1999) 同穴主副槨式木槨墓硏究 洛東江東岸地域을 中心으로, 慶星大學校大學院 미소장
28 高久健二 , (2003) 嶺南地域の武器組成 紀元前2世紀後葉~紀元後4世紀を中心に, 미소장
29 金世基, (1996) 慶州隍城洞原三國時代の工房址と鐵器製作, 미소장
30 金世基, 隍城洞 原三國 聚落址의 性格 마을의 고고학, 미소장
31 金權一, (2003) 南韓地域 古代 製鐵爐에 對한 一硏究 , 한신大學校大學院 미소장
32 孫明助, (1998) 韓半島 中 南部地方 鐵器生産遺蹟의 現狀, 嶺南考古學會 미소장
33 姜鐘薰, (1991) 3-4世紀 斯盧國의 辰韓統合過程에 대한 考察-上古紀年의 檢討와 관련하여-, 미소장
34 李賢惠, (1998) 三韓의 對外交易체계, 一潮閣 미소장
35 李盛周 , (1998) 新羅 伽倻社會의 起源과 成長, 學硏文化社 미소장
36 尹常烈, (2003) 三韓社會의 政治的 成長과 帶方郡, 延世大學校 大學院 미소장
37 金榮珉 , (1994) 三韓時代 鐵器文化 下垈遺蹟出土의 鐵製武具類를 中心으로, 미소장
38 李賢惠, (1995) 鐵器普及과 政治權力의 成長 , 신서원 미소장
39 朴廣春, (2003) 洛東江下流域의 初期國家成立, 韓國上古史學會 미소장
40 金榮珉, (1996) 嶺南地域 三韓後期文化의 特徵과 地域性 洛東江 東西岸地域 比較를 中心으로, 釜山大學大學院 미소장
41 大澤正己, (1999) 附錄, 隍城洞遺蹟에서 出土된 鑄造關聯遺物의 金屬學的 調査 524-9番地 住宅新築敷地內 遺蹟, 國立慶州博物館 미소장
42 尹東錫, (2000) 附錄 隍城洞遺蹟 製鐵關聯遺物의 金屬學的 調査, 國立慶州博物館 미소장
43 李在賢, (2003) 弁 辰韓社會의 考古學的 硏究, 釜山大學校 大學院 미소장
44 李賢惠, (1995) 鐵器普及과 政治權力의 成長 , 신서원 미소장
45 (1952) 新羅 上代社會의 Dual Organization, 미소장
46 Articles : A Study on the Folkstories as to the Foundation of Silla Dynasty 네이버 미소장
47 (1976) 三韓의 國家形成, 미소장
48 (1994) 탈해집단의 斯盧地域 移住에 대하여, 李炯佑 미소장
49 (1996) 三國史記 新羅本紀 初期記錄 問題와 新羅國家의 成立, 釜山大學校 미소장
50 (2001) 부록2 昔脫解의 出自와 勢力의 成長過程, 新羅國家成立過程硏究, 혜안 미소장
51 가야사 연구의 시간적·공간적 범위 소장
52 (1986) 新羅 昔脫解神話의 形成基盤-英雄傳說的 性格을 中心으로-, 미소장
53 (2004) 弁 辰韓 社會의 發展樣相에 대한 硏究 木棺墓에서 木槨墓로의 轉換을 中心으로, 釜山大學校大學院 미소장
54 (1996) 신라의 성립과 성장과정에 대한 고찰 고고 역사 지리적 접근, 신라고고학의 제문제, 미소장
55 (2000) 삼한소국형성과정에 대한 고고학적 접근의 틀, 미소장
56 (2002) 지배층묘를 통해 본 新羅 중심지역의 形成, 미소장
57 (1998) 弁 辰韓記事와 考古資料의 比較檢討 弁 辰韓의 世界, 미소장
58 (2004) 嶺南地方 三韓後期 木槨墓의 出現과 지역적 전개양상 考察, 東義大學校 大學院 미소장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