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1. 문제 제기=143,149,3

2. 북한군 총정치국의 전신:북한군 정치문화부=145,151,1

(1) 정치문화부의 설치와 발전=145,151,3

(2) 북한군 정치문화부의 위상과 특징=147,153,6

3. 북한군 총정치국의 설치와 그 배경=152,158,1

(1) 총정치국의 설치=152,158,4

(2) 총정치국의 설치 배경=156,162,7

4. 북한군 총정치국의 위상과 역할=162,168,1

(1) 조선로동당과의 관계=162,168,6

(2) 군사지휘관과의 관계=168,174,8

5.결론=176,182,2

참고문헌=177,183,2

ABSTRACT=179,185,2

권호기사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목차
中國의 東北工程과 高句麗史 歪曲 李成制 pp.1-28

보기
白野戰戰鬪司令部 作戰과 敎訓 鄭錫均 pp.29-74

보기
多富洞戰鬪를 통해 본 聯合作戰의 敎訓 다나카츠네오 pp.75-100

보기
6·25전쟁기 심리전 운용실태 분석 金種淑 pp.101-142

보기
6·25戰爭期 北韓軍 總政治局의 位相과 役割 高在弘 pp.143-180

보기
麗末鮮初 軍事訓鍊體系의 改編 尹薰杓 pp.181-217

보기
동학농민전쟁 당시 일본군의 개입과 그 영향 裵亢燮 pp.219-253

보기
창의성 부재의 비극 :러일전쟁 기간 러시아군 참모부의 군사전략 朴明用 pp.255-292

보기
삼국~고려시기 군제 연구의 동향 金鍾洙 pp.293-328

보기
朝鮮時期 軍事史 硏究의 動向, 2001~2004년 吳宗祿 pp.329-359

보기

참고문헌 (21건) : 자료제공( 네이버학술정보 )

참고문헌 목록에 대한 테이블로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번호 참고문헌 국회도서관 소장유무
1 "The Soviet military and the Communist Party",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67 미소장
2 Commissars, Commanders and Civil Authority, Cambridge :Harvard University Press, 1979. 미소장
3 The political Officer in the Soviet Military, Columbia univ.Ph.D., 1995. 미소장
4 『북조선の 극비문서』상.중.하권,(동경: 夏の 書房, 1996). 미소장
5 HQ USAFIK, 1945-1949, G-2 Weekly Summary,『미군정정보보고서』제11~15권, 일월서각, 1989. 미소장
6 HQ USAFIK, 1945-1948, Intelligence Summary Northern Korea,『주한미군북한정보요약』제1, 2, 3, 4권, 국내영인본, 한림대 아시아문화연구소, 1989. 미소장
7 HQ USAFIK. G-2 Periodic Report. 『주한미군정보일지-부록』. 춘천: 아시아문화연구소, 1990. 미소장
8 국사편찬위원회 편.『북한관계사료집 전31권』. 과천: 국사편찬위원회, 1982-1998. 미소장
9 『김일성저작집 제1~6권』. 평양: 조선로동당출판사,1969~1973. 미소장
10 사회과학원 력사연구소, "조선전사.23-33", 과학,백과사전출판사, 1982 미소장
11 (秘錄)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 소장
12 1989,『젊은 혁명가의 초상』,공동체. 미소장
13 붉게 물든 대동강 : 前인민군 사단정치위원의 수기 소장
14 韓國戰爭史.1,解放과 建軍 소장
15 『내가 겪은 조선전쟁』,제1권(서울: 고려원,1990). 미소장
16 조선인민군의 정치적 역할과 한계 : 김정일 시대의 당·군 관계를 중심으로 소장
17 北韓 黨·軍關係의 歷史的 形成 : 創軍期에서 韓國戰爭 直前까지를 中心으로 소장
18 " 북조선に おける 사회주의の 체제성립", 동경대 박사학위논문, 1995. 미소장
19 오기완 면담, 2001년 4월 27일. 미소장
20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편,『북한군 병사수첩』, 군사편찬연구소, 2001. 미소장
21 '라주바예프의 6·25전쟁 보고서' 분석 : 북한군의 남침계획 제1단계작전을 중심으로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