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0
연속간행물·학술기사 1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0)
학위논문 (0)
전체 (1)
국내기사 (1)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기사명/저자명
中國內戰期 滿洲 地方 朝鮮義勇軍 部隊의 活動, 1945.8~1946.8 : 牧丹江 地區의 초기 朝鮮人 部隊 活動을 中心으로 / 廉仁鎬 인기도
발행사항
歷史敎育硏究會 20030630
수록지명
歷史敎育. 제86집 (2003. 6) pp.135-167
자료실
[서울관] 정기간행물실(524호)  도서위치안내(서울관)
외부기관 원문
외부기관 원문
제어번호
KINX2003098037
원문
미리보기

목차보기더보기

목차

중국내전기 만주 지방 조선의용군 부대의 활동(1945.8~1946.8) : 목단강 지구의 초기 조선인 부대 활동을 중심으로 / 廉仁鎬 1

1. 머리말 1

2. 조선인 부대의 형성 3

3. 조선인 부대의 활동 12

1) 중국공산당을 지지 12

2) '초비투쟁'과 마교하전투 18

4. 대원들의 처지와 부대의 특징 24

1) 대원들의 처지 24

2) 조선 부대의 특징 26

5. 맺음말 29

[요약] 32

초록보기 더보기

아래와 같다. 첫째, 해방 직후 목단강 지구의 조선인들은 자신들의 생명과 재산을 지키기 위해 곳곳에서 민족 부대를 창설하였다. 1946년 하반기에 작성된 자료에 따르면 조선인 군인 수는 3,200여 명이었고 이는 목단강 지구 전체 군인의 40%에 해당하였다. 잠재되어 왔던 조선인에 대한 중국인들의 반감이 일제 패망과 더불어 적대적으로 드러났고 그런 속에서 많은 조선인들은 생명의 위협을 느끼자 이에 대처하여 군대를 건립했던 것이다. 특히 목단강 지구에서도 목단강시와 영안 동경성 일대를 중심으로 부대가 건립되었는데 이는 목단강시와 동경성 등지에서 일제시기부터 조선인들이 集居해왔을 뿐 아니라, 독자적인 문화 전통을 보존해왔고 나름대로 단결을 유지하고 민족의식을 공통적으로 소유해왔기 때문에 가능하였다.둘째, 조선 부대들은 국민당과 공산당간의 내전이 전개되었을 때 거의 전부가 중국공산당 편에 가담하였다. 그 이유는 중국공산당이 영도하는 항일련군 조선인 대원들이 현지 조선인들의 열렬한 환영을 받으며 목단강으로 들어와 이같은 지지를 바탕으로 목단강 조선인 사회에 대한 영향력을 강화할 수 있었기 때문이었다. 반면 관내에서 들어온 중국국민당 요원(중국인)들은 조·중 민족갈등과 언어 불소통 때문에 조선인 사회에 침투할 수 없었다. 그리고 중국국민당의 영향 아래 있었던 대한민국 임시정부·한국광복군 측이 목단강 지구에 들어오지 않았던 점도 조선인들이 대부분 중국공산당 편에 가담하는 요인이 되었다. 셋째, 조선 부대들은 1946년 들어와 시작된 국·공간의 여러 전투에 참전하였는데 특히 1946년 3월 18일 마교하에서 전개한 전투에서 70여 명의 대원들이 희생되었으며 희생에 격분한 생존 대원들이 중국인 민간인을 학살하여 큰 휴유증을 남겼다. 이후 북만주 일대에서 反朝鮮人 감정이 폭발해 도처에서 조선인들이 국민당 지방부대에 의해 학살당하였다. 한편 이 전투를 겪으면서 목단강의 조선인들은 중국공산당을 떠나서는 활로가 없다는 것을 절감하고 더욱 중국공산당에 의존하게 되었으며 또 중국공산당을 위해 헌신하게 되었다. 넷째, 조선 부대는 전투 과정에서 많은 희생자를 내었을 뿐 아니라 부대원들의 생활은 매우 곤궁하였으며 그들의 가족들의 처지도 매우 비참했다. 1946년 하반기 통계에 의하면 3,200여명의 군인 가운데 가족이 목단강 시내에 거주하는 경우가 3/5∼2/3나 되었으며 상당수가 긴급 구호의 대상이었다. 빈궁한 가족들의 처지는 부대원들의 사기를 저하시키는 요인이 되었다. 다섯째, 조선 부대원들은 강렬한 민족정서를 지니고 있었으며 부대원들의 군인으로서의 자질은 상대적으로 우수하였다. 민족정서가 강렬했던 만큼 조선인 부대원들은 중국인 대원들에 대해서는 대체로 배타적이었고, 특히 간부들은 국민당과의 내전에 의의를 느끼지 못했고 반면 조국으로 돌아가 헌신해야 한다는 생각을 많이 지녔다. 그리고 언어 습관의 같지 않음으로 인해 중국인 지휘관들은 지휘에 큰 어려움을 겪어야 하였고 교육을 실시하는데도 어려움이 뒤따랐다. 한편 인내심이 강하고 명령에 충실했기 때문에 중국공산당은 이 조선 부대들을 신뢰했다. 목단강 지구에서 국민당 지방부대가 대체로 토벌되면 목단강 조선인 부대들은 지방부대에서 야전군으로 격상되었다. 1946년 12월, 제14퇀 3영, 제15퇀 3영, 제2퇀 3영의 조선인 전사들은 퇀장 황동화(본명 김동규)의 지휘 하에 해방전쟁의 싸움터 곧 국민당 중앙군과 싸우기 위해 목단강 지구 밖으로 진출하였다.102)국공내전이 공산당의 승리로 끝난 후인 1950년 3월 황동화는 조선인으로 이루어진 중국인민해방군 독립 15사단의 제3퇀 퇀장으로 부대를 이끌고 입북하였으며 6·25전쟁에 참전하였다.103)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고등학교『국사』교과서「읽기자료」의 특징과 문제점 金秉仁 pp.1-28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세계사교육에서의 '타자 읽기' :서구중심주의와 자민족중심주의를 넘어 李英孝 pp.29-59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인터넷을 활용한 역사교육 :대학에서의 서양사 교육을 중심으로 朴淳準 pp.61-90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대한제국기 광무양안의 토지소유 구조와 농민층의 동향 :충북 진천군 양안을 중심으로 崔潤晤 pp.91-133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中國內戰期 滿洲 地方 朝鮮義勇軍 部隊의 活動, 1945.8~1946.8 :牧丹江 地區의 초기 朝鮮人 部隊 活動을 中心으로 廉仁鎬 pp.135-167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廣東貿易體制 下의 江西의 社會變化 吳金成 pp.169-217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티베리우스 그라쿠스의 농지 개혁에 끼친 스토아 경제 사상 許勝一 pp.219-246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전후 독일직업교육제의 재건에 미친 1950년대 청소년 실업난의 영향 朴慧井 pp.247-28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역사교육과 학습내용의 선정」, 최완기 著 <書評> 宋相憲 評 pp.283-288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뿌리 깊은 한국사 샘이 깊은 이야기 1~7권」, 서의식 外著 <書評> 韓在祜 評 pp.289-295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야만의 역사」, Sven Lindqvist 著 ;김남섭 譯 <書評> 白種律 評 pp.297-302 원문보기 (음성지원) 보기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