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우리나라 성인의 사회학적 요인 및 생활습관에 따른 대사적 건강상태 = Metabolic health status of Korean adults according to sociological factors and lifestyle / 유지수 인기도
발행사항
춘천 :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8.8
청구기호
TD 796 -18-447
형태사항
76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848558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강원대학교 대학원, 스포츠과학과, 2018.8. 지도교수: 김세환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요약 9

I. 서론 11

1. 연구의 필요성 11

2. 연구의 목적 14

3. 연구의 가설 15

4. 용어의 정의 16

1) MHNW(Metabolically Healthy Normal Weight) 16

2) MUNW(Metabolically Unhealthy Normal Weight) 16

3) MHO(Metabolically Healthy Obesity) 16

4) MUO(Metabolically Unhealthy Obesity) 16

5) 대사증후군 16

6) 허리둘레 17

7) 고중성지방과 낮은 고밀도 콜레스테롤 17

8) 고혈압 18

9) 공복 혈당 18

10) 당화혈색소(HbA1C) 19

II. 이론적 배경 20

1. 국민건강영양조사 20

2. 국민건강영양조사 검진 조사항목 21

3. 대사증후군 22

4.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 23

5. 대사적 건강상태에 따른 비만 유병률 24

6. 대사적으로 건강한 비만의 임상학적 의의 25

III. 연구방법 27

1. 연구 설계 27

2. 연구 대상자의 분류 28

3. 대사적 건강상태 분류 기준 29

4. 자료수집 30

5. 측정도구 및 방법 30

1) 체격측정 30

2) 혈압측정 31

3) 혈액검사 31

4) 인구사회학적 특성 31

5) 생활습관 32

6) 에너지섭취량 33

7) 신체활동 33

6. 자료처리 34

IV. 연구결과 35

1. 사회학적 특성 35

1) 성별에 따른 사회학적 특성 35

2) 성별과 대사적 상태에 따른 사회학적 특성 37

3) 성별과 연령에 따른 대상자의 사회학적 특성 39

2. 임상학적 특성 41

1) 성별에 따른 임상학적 특성 41

2) 성별과 대사적 상태에 따른 임상학적 특성 42

3) 성별과 연령에 따른 대상자의 임상학적 특성 44

3. 생활습관의 특성 48

1) 성별과 대사적 상태에 따른 에너지 섭취의 차이 48

2) 연령별 대사적 상태에 따른 에너지 섭취의 차이 49

3) 성별과 대사적 상태에 따른 신체활동의 차이 51

4) 연령별 대사적 상태에 따른 신체활동의 차이 53

5) 성별과 대사적 상태에 따른 흡연 및 음주의 특성 57

6) 연령별 대사적 상태에 따른 흡연 및 음주의 특성 58

4. 대사적 건강상태와 위험 요인과의 관계 60

V. 논의 62

1. 사회학적 특성 63

2. 임상학적 특성 66

3. 생활습관의 특성 69

4. 대사적 건강상태에 미치는 영향요인 71

VI. 결론 73

참고문헌 75

Abstract 84

표 1. Diagnostic criteria for definition of hypertension 18

표 2. Physical examination items of Korean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1

표 3. Diagnostic criteria for definition of metabolic syndrome 23

표 4. Diagnosis criteria of metabolically healthy status 29

표 5. Analysis organization and method of clinical test 31

표 6. Sociological Characteristics by sex in participants 36

표 7. Sociological level by metabolically healthy status(male) 37

표 8. Sociological level by metabolically healthy status(female) 38

표 9. Sociological level by age(male) 39

표 10. Sociological level by age(male) 40

표 11. Clinical characteristic by participants 41

표 12. Clinical characteristics by metabolically healthy status and sex 43

표 13. Clinical characteristics participants by age(male) 45

표 14. Clinical characteristics participants by age(female) 47

표 15. Nutrient intake by metabolically healthy status by sex 48

표 16. Differences in nutrient intake between metabolically healthy status and age 50

표 17.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time between metabolically healthy status by sex 52

표 18.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between metabolically healthy status by age(male) 54

표 19. Differences in physical activity between metabolically healthy status by age(female) 56

표 20. Characteristic smoking and drinking between metabolically healthy status by sex 57

표 21. Characteristic smoking and drinking between metabolically healthy status by age 59

표 22. Adjusted odd ratio between logistic regression for the metabolically healthy without... 61

Figure 1. Studydesign 28

초록보기 더보기

 본 연구는 우리나라 성인의 사회학적 요인 및 생활습관에 따른 대사적 건강상태의 관계를 규명하여 건강한 생활습관 형성을 위한 기초자료 제공을 목적으로 수행 되었다.

보건복지부 질병관리본부에서 실시된 2013~2015년의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를 이용하여 만 19세 이상 성인 남녀 15,174명 (남:6,619, 여:8,555)을 대상으로 NCEP-ATPⅢ의 기준에 따라 대사적으로 건강한 집단(MHNW, MHO)과 불건강한 집단(MUNW, MUO)으로 분류하여 성별과 연령에 따라 인구 사회학적 요인, 생활습관(에너지 섭취, 신체활동, 흡연 및 음주)의 차이를 알아보았다.

대사적으로 건강한 MHNW그룹은 남성이 56.0%, 여성 65.8%로 나타났고, MHO그룹은 남성 17.1%, 여성 12.7%로 나타났다. 대사적으로 건강하지 않은 MUNW그룹은 남성 8.6%, 여성 7.7%이며, MUO그룹은 남성 18.3%, 여성 13.8%로 조사되었다.

대사적 건강상태에 따른 그룹 간에는 성별과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 (p<.001)가 있었으며, 사회학적 요인 중에는 교육수준과 직업에서 성별과 연령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임상학적 특성 중 체중, 신장, BMI, 허리둘레, 혈압, 혈당, 중성지방, 당화혈색소는 남성이 유의하게 높았으며, HDL-C는 여성이 유의하게 높았다. 성별과 그룹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남녀 모두 19~39세 그룹이 신장, HDL-C에서 유의하게 높았고, 40~59세는 남자의 경우 허리둘레, 수축기 이완기 혈압, 중성지방, 여자는 체중 과 이완기 혈압이 유의하게 높았다. 60세 이상 그룹은 남녀 모두 허리둘레, 수축기 혈압, 혈당, 당화혈색소가 유의하게 높았으며, 여성은 BMI, 중성지방에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그룹과 연령 간에 상호작용 효과가 있었다. 남성은 에너지 섭취량, 탄수화물, 단백질, 지방의 섭취가 여성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그룹 간에는 여성의 MUNW 그룹이 에너지 섭취량, 단백질, 지방의 섭취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단백질 섭취는 MHO 그룹이, 지방은 MHNW 그룹과 MHO 그룹이 유의하게 높았다. 연령별로는 19~39세 그룹이 에너지섭취량, 탄수화물, 지방의 섭취가 유의하게 높았다. 신체활동의 차이에서는 MHNW의 주당 걷기와 유연성, 근력운동의 참여 빈도가 가장 높았고, MHO, MUO그룹의 운동참여 빈도가 비슷하였다. 한편 MUNW의 운동 참여 빈도가 가장 낮았다.

남성은 흡연여부에 따라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있었고, 음주여부와 그룹 간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여성은 흡연 여부에 따라 그룹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음주 여부에 따라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사적 건강상태와 위험요인과의 관계는 사회학적 요인 중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대사성 질환의 위험성이 유의하게 낮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OR: 0.587, CI: 0.552~0.625). 임상학적 요인 중 연령(OR: 1.009, CI: 1.005~1.013)은 증가 할수록 대사성 질환의 위험성이 증가하며, 신장(OR: 0.823, CI: 0.793~0.855)과 HDL-C (OR: 0.961, CI: 0.957~0.966)는 증가 할수록 대사성 질환의 위험성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체중(OR: 1.249, CI: 1.190~1.311), BMI(OR: 1.413, CI: 1.396~1.431), 허리둘레(OR: 1.068, CI: 1.056~1.081), 수축기 혈압(OR: 1.077, CI: 1.071~1.082), 이완기 혈압(OR: 1.026, CI: 1.019~1.033), 중성지방(OR: 1.024, CI: 1.023~1.025), 혈당(OR: 1.143, CI: 1.035~1.051), 당화혈색소(OR: 1.224, CI: 1.076~1.394)로 대사성 질환의 위험성이 유의하게 증가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습관 중 흡연(OR: 1.882, CI: 1.748~2.025), 음주(OR: 1.452, CI: 1.331~1.526)를 하는 경우 대사성 질환의 위험성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에너지 섭취량(OR: 1.001, CI: 1.000~1.000)이 증가할수록 대사성 질환의 위험성이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습관 중 운동과의 관계를 보면, 걷기운동(OR: 1.148, CI: 1.081~1.219)이 영향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생활습관 요인들은 대사적 질병의 위험요인에 영향을 미치며 생활습관의 중재가 대사적 위험 질병의 발병을 늦추거나 예방 할 수 있을 것이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