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에 나타난 수변의 미지형 경관 특성에 관한 연구 / 김용희 인기도
발행사항
부산 :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8.2
청구기호
TM 711 -18-84
형태사항
ix, 204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821806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동아대학교 대학원, 도시계획·조경학과, 2018.2. 지도교수: 강영조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3

1. 연구배경 및 목적 13

1) 연구의 배경 13

2) 연구의 목적 14

2. 연구의 내용 15

1) 연구재료의 선정 15

2) 연구재료의 수집 16

3) 분석과정 및 결론 16

3. 선행연구사 19

II.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와 경관 21

1. 산수화와 경관해석 21

2.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 21

3. 겸재 정선의 진경산수화와 원풍경 23

4. 겸재 정선의 화폭에 나타난 수변경관 24

1) 겸재 화폭에서 볼 수 있는 주요 경관 25

2) 경관 분석 재료로써의 수변 25

5. 소결 26

III. 겸재 정선 화폭의 수변 경관 표현에 관한 분석 27

1. 작품의 분류 및 선정 27

2. 작품의 하천지형학적 분류 28

3. 겸재 화폭에 나타난 주요 수변 미지형 요소 35

1) 수형상 35

2) 점경요소 48

4. 소결 58

1) 수형상 종합 59

2) 점경요소 종합 61

IV. 겸재 정선 화폭에 나타난 수변의 미지형 경관 특성 63

1. 작품별 수형상과 점경요소 분석 63

2. 구역별 경관특성 71

1) 산간계류의 경관특성 71

2) 중, 상류의 경관특성 77

3) 하류의 경관특성 82

4) 해(海)의 경관특성 87

3. 수형상과 점경요소의 변화양상으로 본 수변경관 94

1) 수형상의 변화 94

2) 점경요소의 변화 95

4. 소결 96

V. 결론 101

참고문헌 105

부록(데이터시트) 107

Abstract 215

〈표 1-1〉 대지개발의 3가지 유형 13

〈표 1-2〉 연구내용 및 흐름 18

〈표 2-1〉 산수화의 시대적 흐름 및 주요작가 22

〈표 2-2〉 인간 개입에 따른 풍경 인식 23

〈표 3-1〉 주요 제외 작품 27

〈표 3-2〉 일본의 하천 분류(Yamamoto式 분류) 29

〈표 3-3〉 장소별 대표작품 30

〈표 3-4〉 분석대상작품 105엽 분류표 33

〈표 3-5〉 선형 - 장폭 수형상 36

〈표 3-6〉 선형 - 단폭 수형상 37

〈표 3-7〉 선형 - 다단폭 수형상 37

〈표 3-8〉 선형 - 낙수형 수형상 38

〈표 3-9〉 곡수형 - 선류 수형상 38

〈표 3-10〉 곡수형 - 곡류 수형상 39

〈표 3-11〉 선형 - 다곡류 수형상 40

〈표 3-12〉 선형 - 곡수형 수형상 40

〈표 3-13〉 담형 - 담 수형상 41

〈표 3-14〉 면형 - 수면 수형상 42

〈표 3-15〉 면형 - 유수면 수형상 42

〈표 3-16〉 면형 - 탄파면 수형상 43

〈표 3-17〉 면형 - 수면에 의한 수형상 44

〈표 3-18〉 변-기암변 수형상 45

〈표 3-19〉 변-토파변 수형상 46

〈표 3-20〉 변-토사변 수형상 46

〈표 3-21〉 변형 - 강안에 의한 수형상 47

〈표 3-22〉 송림 49

〈표 3-23〉 소나무 49

〈표 3-24〉 전나무 50

〈표 3-25〉 자연요소 - 송림, 소나무, 전나무 51

〈표 3-26〉 대나무 51

〈표 3-27〉 버들 52

〈표 3-28〉 잡수 53

〈표 3-29〉 자연요소 - 대나무, 버들, 잡수 53

〈표 3-30〉 기암 54

〈표 3-31〉 마을 54

〈표 3-32〉 집 55

〈표 3-33〉 누정 55

〈표 3-34〉 인문요소 - 마을, 집, 누정 56

〈표 3-35〉 인문요소 - 배, 다리, 사람 56

〈표 3-36〉 수형상 종합 -1 59

〈표 3-37〉 수형상 종합 -2 60

〈표 3-38〉 점경요소 종합 61

〈표 4-1〉 데이터시트 기본 틀 63

〈표 4-2〉 작품 백천교에 나타난 수형상과 점경 요소 65

〈표 4-3〉 작품에서 나타난 수형상 분석 67

〈표 4-4〉 작품에서 나타난 점경요소의 분석 69

〈표 4-5〉 수계 구역별 도엽수 71

〈표 4-6〉 산간계류에 나타난 수형상과 점경요소 72

〈표 4-7〉 산간계류 수형상 분석표 73

〈표 4-8〉 산간계류 점경요소 분석표 74

〈표 4-9〉 중, 상류에 나타난 수형상과 점경요소 77

〈표 4-10〉 중상류 수형상 분석표 78

〈표 4-11〉 중상류 점경요소 분석표 79

〈표 4-12〉 하류에 나타난 수형상과 점경요소 82

〈표 4-13〉 하류 수형상 분석표 83

〈표 4-14〉 하류 점경요소 분석표 84

〈표 4-15〉 해에 나타난 수형상과 점경요소 88

〈표 4-16〉 해 수형상 분석표 89

〈표 4-17〉 해 점경요소 분석표 90

〈표 4-18〉 수형상의 표현빈도 94

〈표 4-19〉 점경요소의 표현 빈도 95

〈표 4-20〉 구역별 수형상, 점경요소 97

〈표 4-21〉 구역별 수형상, 점경요소 종합 99

〈표 5-1〉 진경산수화에 나타난 수변풍경의 하경양식 102

〈표 5-2〉 진경산수화에 나타난 하경양식별 특징 103

〈그림 2-1〉 다양한 분야의 겸재 정선 작품 25

〈그림 2-2〉 수변풍경이 묘사된 작품 25

〈그림 3-1〉 Yaimmoto式 분류를 기초로한 수계의 구분 29

〈그림 3-2〉 수변표현이 나타난 작품 대상지 분포도 31

〈그림 3-3〉 박생연朴生淵(1743) 36

〈그림 3-4〉 백천교 《신묘년 풍악도첩》(1711) 37

〈그림 3-5〉 장안사 《신묘년 풍악도첩》(1711) 37

〈그림 3-6〉 불정대 《신묘년 풍악도첩》(1711) 38

〈그림 3-7〉 창의문彰義門 《장동팔경첩》2 (1754) 39

〈그림 3-8〉 사인암 《해악전신첩》(1747) 40

〈그림 3-9〉 벽하담 (보덕굴), 《신묘년 풍악도첩》(1711) 41

〈그림 3-10〉 공암층탑孔岩層塔 《경교명승첩 상》(1741) 42

〈그림 3-11〉 정자연 《해악전신첩》(1747) 42

〈그림 3-12〉 당포관어 《해악전신첩》(1747) 43

〈그림 3-13〉 문암 《해악전신첩》(1747) 43

〈그림 3-14〉 녹운탄綠雲灘 《경교명승첩 상》(1741) 45

〈그림 3-15〉 이수정二水亭 《양천8경첩》(1743) 46

〈그림 3-16〉 압구정狎曝亭 《경교명승첩 상》(1741) 46

〈그림 3-17〉 월송정 《관동명승첩》(1738) 49

〈그림 3-18〉 사선정 《해악전신첩 상》(1747) 49

〈그림 3-19〉 이수정二水亭 《양천8경첩》(1743) 50

〈그림 3-20〉 청휘각晴陣閣 《장동팔경첩 2》(1754) 51

〈그림 3-21〉 종해청조宗海聽潮 《경교명승첩 상》(1741) 52

〈그림 3-22〉 소악루小岳樓 《양천8경첩》(1743) 53

〈그림 3-23〉 총석정 《해악전신첩》(1747) 54

〈그림 3-24〉 선유봉仙遊峰 《양천8경첩》(1743) 54

〈그림 3-25〉 안현석봉鞍魄夕蜂 《경교명승첩 상》(1743) 55

〈그림 3-26〉 죽서루 《관동명승첩》(1738) 55

〈그림 3-27〉 우화등선羽化登船 (1742) 56

〈그림 4-1〉 작품에서 나타난 수형상, 점경요소의 구분 64

〈그림 4-2〉 산간계류 주요 수형상 75

〈그림 4-3〉 산간계류 주요 점경요소 75

〈그림 4-4〉 백천교 부분 《신묘년 풍악도첩》(1741) 76

〈그림 4-5〉 장안사 부분 《신묘년 풍악도첩》(1711) 76

〈그림 4-6〉 중, 상류 주요 수형상 80

〈그림 4-7〉 중, 상류 주요 점경요소 80

〈그림 4-8〉 피금정 부분 《신묘년 풍악도첩》(1711) 81

〈그림 4-9〉 우화등선 부분 (1742) 81

〈그림 4-10〉 하류 주요 수형상 85

〈그림 4-11〉 하류 주요 점경요소 85

〈그림 4-12〉 압구정狎曝亭 부분 《경교명승첩 상》(1741) 86

〈그림 4-13〉 종해청조宗海聽潮 부분 《경교명승첩 상》 (1741) 86

〈그림 4-14〉 행호관어杏湖觀魚 부분 《경교명승첩 상》 (1741) 87

〈그림 4-15〉 해 주요 수형상 91

〈그림 4-16〉 해 주요 점경요소 91

〈그림 4-17〉 문암 부분 《해악전신첩》(1747) 92

〈그림 4-18〉 총석정 부분 《신묘년 풍악도첩》(1711) 92

〈그림 4-19〉 문암관일출 부분 《해악전신첩》 (1747) 삼일호와 동해 일출을 함께 묘사 93

〈그림 4-20〉 시중대 부분 《관동명승첩》(1738) 동해안의 석호 93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