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의 고문헌 인용 행태 연구 = The quotation modality of ancient literature in high school history textbooks / 이승희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중앙대학교 대학원, 2018.2
청구기호
TM 010 -18-1
형태사항
iv, 126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807037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중앙대학교 대학원, 문헌정보학과 서지학전공, 2018.2. 지도교수: 송일기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1. 서언 8

1.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8

1.2. 연구 방법 9

1.3. 선행연구 10

2. 이론적 배경 14

2.1. 교과서 편찬 과정 14

2.1.1. 교과서 발행 변천사 14

2.1.2. 교과서 편찬제도 17

2.1.3. 교과서의 편찬 과정 19

2.2. 『한국사』 교과서 출판 배경 20

2.2.1. 『한국사』 교과서 편찬제도 변천과정 20

2.2.2. 『한국사』 교과서의 발행 과정 24

3. 연구 대상 교과서의 현황 분석 30

3.1. 연구 대상 교과서의 형태서지 30

3.2. 연구 대상 교과서의 수록 내용 31

3.2.1. 『한국사』의 구성 내용 체계 31

3.2.2. 대단원-중단원 항목별 분석 33

3.2.3. 교과서 대단원별 구성 비율 44

3.3. 참고문헌 분석 46

3.3.1. 시대별 수록 현황 46

3.3.2. 주제별 수록현황 48

4. 고문헌의 인용 문헌 분석 52

4.1. 인용문헌 분석 52

4.1.1. 시대별 분류 53

4.1.2. 주제별 분류 54

4.2. 인용현황 분석 57

4.2.1. 국내 고문헌의 인용 분석 57

4.2.2. 국외 고문헌의 인용 분석 62

4.2.3. 고조선에 관련된 인용문 분석 70

4.3. 인용 오류 분석 71

4.3.1. 정사류 71

4.3.2. 기타문헌 82

5. 결론 88

참고문헌 92

부록 95

〈부록1〉 본문이 인용된 고문헌의 시대별 분류표 96

〈부록2〉 한국사 교과서에 수록된 고문헌의 주제별 분류표 115

〈부록3〉 한국사 교과서에 수록된 고문헌의 시대별 분류표 122

국문초록 129

Abstract 131

〈표 1〉 교과서 편찬 제도의 주요 특징 18

〈표 2〉 역사 교과서 편찬제도 변천과정 20

〈표 3〉 교육과정별 고등학교 『국사』 교과서 25

〈표 4〉 교육과정별 고등학교 『한국사』 교과서 26

〈표 5〉 5종 교과서의 형태서지 30

〈표 6〉 『한국사』의 구성 내용 체계 32

〈표 7〉 고대의 대단원-중단원 목차 34

〈표 8〉 고려의 대단원-중단원 목차 37

〈표 9〉 조선의 대단원-중단원 목차 39

〈표 10〉 근대의 대단원-중단원 목차 42

〈표 11〉 5종 교과서의 대단원별 구성비율 45

〈표 12〉 참고문헌의 시대별 현황 46

〈표 13〉 참고문헌의 사부분류 현황 49

〈표 14〉 고문헌의 시대별 인용종수 53

〈표 15〉 고문헌의 시대별 인용횟수 54

〈표 16〉 고문헌의 주제별 인용종수 55

〈표 17〉 고문헌의 주제별 인용횟수 55

〈표 18〉 고문헌의 상위 인용횟수 58

〈표 19〉 『조선왕조실록』 및 『고종·순종실록』 인용횟수 59

〈표 20〉 고문헌의 년·월·일 인용방식 61

〈표 21〉 국외 고문헌의 시대별 인용 문헌 62

〈표 22〉 국외 고문헌의 시대별 인용종수 63

〈표 23〉 국외 고문헌의 시대별 인용횟수 63

〈표 24〉 국외 고문헌의 국가별 인용종수 66

〈표 25〉 국외 고문헌의 국가별 인용횟수 66

〈표 26〉 고조선에 관련된 인용문 70

〈표 27〉 '훈요십조'의 내용상의 오류 72

〈표 28〉 '노비의 처지와 신분 상승' 內의 내용상의 오류 73

〈표 29〉 '진전의 개간' 內의 내용상의 오류 74

〈표 30〉 '고려의 상속제도' 內의 내용상의 오류 75

〈표 31〉 '조선의 국정운영 체제' 내의 내용상의 오류 76

〈표 32〉 '중앙통치 조직의 기능' 內의 내용 보완 77

〈표 33〉 '중인의 신분' 내의 내용상의 오류 78

〈표 34〉 '간도협약' 內의 보안할 부분 79

〈표 35〉 '발해의 수령제도' 에 대한 논란 80

〈표 36〉 노비의 경제적 가치 82

〈표 37〉 '조선 중앙 정치 기구' 내의 내용상의 오류 83

〈표 38〉 '농업 중심의 개혁론' 내의 내용상의 오류 85

〈표 39〉 홍대용의 역외춘추론 86

초록보기 더보기

 이 연구는 현재 고등학교에서 사용하고 있는 '한국사' 교과서 8종 중 5종을 선정하여 고대부터 일제 강점기 전까지 교과서에 수록되어 있는 '고문헌'을 연구하였다. 이 연구를 위해 먼저, 교과서의 변천 과정과 교과서 편찬 제도인 '국정제'와 '검인정제'를 살펴보았다. 그리고 교육 과정에 따른 한국사 변천 과정과 그 교과서 종류를 살펴보았다. 다음으로 연구 대상 교과서의 형태서지와 수록내용을 비교 분석하였고 '교과서에 수록된 고문헌'의 시대별·주제별 분류를 하였다. 다음으로 '본문이 인용된 고문헌'을 시대별·주제별 분류를 하였고, 국내 고문헌과 국외 고문헌의 인용문들을 분석하였다. 마지막으로 교과서에 나와 있는 인용문의 오류를 찾아 원문과 비교하였다.

결과를 간략하게 소개하면 현재 『한국사』 교과서는 민간출판사가 출판하는 검정교과서로 교육부의 세부지침에 따라, 대단원의 목차는 모두 같고 중단원도 거의 같은 내용으로 이루어져 있다.

'교과서에 수록된 고문헌'의 시대별 ·주제별 분류를 보면, 조사된 5종 교과서의 전체 문헌 886종 중에 시대별로는 조선이 497종으로 가장 많고, 주제별로는 사부가 468종으로 가장 많았다. '본문이 인용된 고문헌'을 보면 5종 교과서에서 인용된 총 인용횟수 720회 중에 시대별로는 조선이 228회로 가장 많고, 주제별로는 사부가 602회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인용현황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본문이 인용된 고문헌'의 총 인용 횟수 720회 중 『조선왕조실록』이 137회, 『고려사』가 131회로 많았다. 국외 고문헌의 시대별 분류를 보면, 국외 고문헌 인용횟수 85회 중에서 고대가 57회로 가장 많았다. 국가별 분류를 보면, 중국이 50회로 가장 많았다. 또한 아랍권의 문헌에서 신라에 대한 기록이 있어 소개하였다.

고문헌에 오류라고 판단되는 부분과 보완되어야 할 부분을 '정사류(正史類)' 와 '기타 문헌' 부분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교과서에 제시된 출처에서 해당 인용 문구를 찾을 수 없는 경우 1건, 어휘의 선정에 오류가 있는 경우 7건, 문장의 모호성으로 내용을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려운 경우 2건, 원문 자체에 오류가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1건, 내용의 보완을 요하는 경우 2건 등 모두 13건의 오류라고 판단되는 부분을 파악하여 바로 잡고자 했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