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경주남산 불교유적의 시대별 형성과정과 특징 / 김구석 인기도
발행사항
경주 : 경주대학교 대학원, 2017.8
청구기호
TM 702.88 -17-49
형태사항
155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748805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경주대학교 대학원, 문화재학과, 2017.8. 지도교수: 오세덕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머리말 8

II. 경주남산과 불교유적 11

1. 산, 바위신앙과 남산신성 11

2. 문헌기록을 통해 본 남산 16

III. 경주남산 불교유적의 시대별 형성과정 19

1. 7세기 불교유적의 개관 19

2. 8세기 불교유적의 개관 21

3. 9세기 불교유적의 개관 23

4. 10세기 이후 불교유적의 개관 25

IV. 경주 남산 불교유적의 분포 양상 27

1. 7세기 불교유적의 분포 27

1) 寺址 27

2) 불상 30

2. 8세기 불교유적의 분포 37

1) 寺址 37

2) 불상 46

3) 탑 59

3. 9세기 불교유적의 분포 66

1) 寺址 66

2) 불상 75

3) 탑 83

4. 10세기 이후 불교유적의 분포 94

1) 寺址, 불상 94

V. 경주 남산 불교유적의 미술사적 의의 98

1. 불교유적의 입지 선정 98

2. 경주 남산 불교유적의 특징 100

VI. 맺음말 104

참고문헌 107

Abstract 161

[표 1] 7세기 경주남산 寺址 분포 27

[표 2] 7세기 경주남산 불상 분포 30

[표 3] 사방불 및 오방불의 방위와 명칭 36

[표 4] 8세기 경주남산 寺址 분포 37

[표 5] 8세기 경주남산 불상 분포 46

[표 6] 8세기 경주남산 탑 분포 59

[표 7] 9세기 경주남산 寺址 분포 66

[표 8] 9세기 경주남산 불상 분포 75

[표 9] 9세기 경주남산 탑 분포 83

[표 10] 10세기 이후 경주남산 寺址, 불상, 탑 분포 94

[표 11] 경주남산의 불교유적 현황 115

[표 12] 남산의 불적 조성과 관련된 주요 문헌기록 120

圖1. 선방사지 전경, 7세기~조선 137

圖2. 신인사지 전경 137

圖3. 칠불암사지 전경 137

圖4. 불곡 감실여래좌상, 7세기 137

圖5. 선방사지 석조삼존불입성, 7세기 138

圖6. 삼화령 미륵삼존여래상, 644년 138

圖7. 신인사지 마애불상군 I, 7세기 139

圖8. 칠불암 마애삼존불상, 7세기... 139

圖9. 칠불암 사방불상, 7세기 후... 139

圖10. 인왕동 출토 석조여래좌상,... 139

圖11. 염불사지 전경 140

圖12. 용장사지 도면 140

圖13. 연화대곡 제3사지 위치도 140

圖14. 창림사지 전경 140

圖15. 창림사지 출토 경석편, 9세... 141

圖16. 천관사지 전경 141

圖17. 별천룡사지 전경 141

圖18. 인용 사지 전경 141

圖19. 양피사지 전경 142

圖20. 남간사지 전경 142

圖21. 왕정곡사지 석조여래입상,... 142

圖22. 입곡 석조여래입상, 8세기... 142

圖23. 보리사 석조여래좌상, 8세기... 143

圖24. 천관사지 출토 금동여래입... 143

圖25. 미륵곡 마애여래좌상, 8세... 143

圖26. 용장사지 석조여래좌상, 8... 143

圖27. 용장사지 마애여래좌상, 8... 144

圖28. 신선암 마애관음보살좌상,... 144

圖29. 열암곡사지 석조여래좌상,... 144

圖30. 열암곡사지 마애여래입상,... 144

圖31. 사곡 제1사지 석조약사여래... 145

圖32. 약수곡 제4사지 석조여래좌... 145

圖33. 삼릉계 제2사지 석조여래좌... 145

圖34. 삼릉계 제2사지 마애관음보... 145

圖35. 심릉계 제3사지 마애선각육... 146

圖36. 삼릉계 제6사지 석조여래좌... 146

圖37. 용장계 법당곡 제1사지 석... 146

圖38. 삼릉계 제6사지 석조약사여... 146

圖39. 배동출토 석조여래입상, 8... 147

圖40. 배동출토 석조여래좌상, 8... 147

圖41. 배동출토 석조보살입상, 8... 147

圖42. 염불사지 동서삼층석탑, 8... 147

圖43. 별천룡사지 탑재, 8세기 후... 148

圖44. 천관사지 탑재, 8세기 후반 148

圖45. 인용사지 동서삼층석탑, 8... 148

圖46. 양피사지 동서삼층석탑, 8... 148

圖47. 왕정곡사지 탑재, 8세기 후... 149

圖48. 포석곡 제1사지 탑재, 8세... 149

圖49. 창림사지 귀부, 8세기 중~... 149

圖50. 승소곡 제1사지 전경 149

圖51. 비파곡 제2사지 전경 150

圖52. 석가사지 전경 150

圖53. 윤을곡 제2사지 전경 150

圖54. 천은사지 전경 150

圖55. 천룡사지 전경 151

圖56. 윤을곡 마애삼체불좌상, 835년 151

圖57. 국사곡 제4사지 불상대좌,... 151

圖58. 석수암지 석조여래좌상, 9... 151

圖59. 금광사지 석조여래좌상, 9... 152

圖60. 창림사지 석조비로자나불... 152

圖61. 창림사지 석조비로자나불... 152

圖62. 개선사지 마애여래좌상, 9... 152

圖63. 포석곡 제5사지 마애여래좌... 153

圖64. 曇巖寺址 석탑면석 팔부중... 153

圖65. 불곡 제2사지 출토 니불, 9... 153

圖66. 칠와곡 제2사지 석조불두,... 153

圖67. 개선사지 석조약사여래입... 154

圖68. 천룡사지 출토 팔면감실석... 154

圖69. 약수곡 제5사지 마애여래입... 154

圖70. 上禪庵 마애여래좌상, 9세기 154

圖71. 양조암곡 제1사지 석조여래... 155

圖72. 長鼓寺址 석조여래좌상, 9... 155

圖73. 승소곡 제1사지 삼층석탑,... 155

圖74. 천룡사지 삼층석탑, 9세기... 155

圖75. 용장사지 삼층석탑, 9세기... 156

圖76. 神印寺址 삼층석탑, 9세기... 156

圖77. 오산계 지암곡 제2사지 삼... 156

圖78. 포석계 기암곡 제2사지 석... 156

圖79. 국사곡 제4사지 삼층석탑,... 157

圖80. 지곡 제3사지 삼층석탑, 9... 157

圖81. 비파곡 제2사지 탑재, 9세... 157

圖82. 석가사지 탑재, 9세기 157

圖83. 삼릉계 제6사지 삼층석탑,... 158

圖84. 늠비봉 오층석탑, 9세기 말 158

圖85. 포석계 윤을곡 제2사지 탑재,... 158

圖86. 四祭寺址 탑재, 9세기 후반 158

圖87. 오산계 지암곡 제3사지 삼... 159

圖88. 삼릉계 제5사지 마애여래좌... 159

圖89. 삼흥계 제6사지 마애선각여... 159

圖90. 천은사지 청동범종, 13세기 초 159

圖91. 천룡사지 금봉관음보살좌상,... 160

圖92. 慶禪堂雄大師 승탑, 17세기... 160

圖93. 月華堂知圓大師 승탑, l7세기... 160

圖94. 포석곡 제6사지 승탑, 조선... 160

초록보기 더보기

 신라 불교유적의 보고인 남산은 7세기 초를 시작으로 신라를 지나 고려가 도래하기 전까지 많은 수의 사찰과 불교미술이 조성되었다. 그동안 남산의 불교유적은 개별 유적에 대한 연구와 접근이 오랫동안 이루어져 왔지만 남산이라는 큰 틀에서 전체 유적을 이해하고자 하는 시도는 미흡하였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오랜 시간 동안 경주 남산이라는 특정한 산을 중심으로 많은 수의 불교유적이 집중되고 누적될 수밖에 없는 이유에 대해 거시적인 안목으로 접근해 보고자 하였다. 더 나아가 이러한 접근 방법을 통해 남산을 보다 폭넓게 이해하고 경주, 더 나아가 신라의 불교문화에서 남산이 차지하는 위치에 대해 고찰해 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을 통해 밝혀진 남산 불교유적의 의의와 특징은 두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남산의 유적들은 북쪽 기슭에서부터 7세기 전반~중반 경에 주로 조성되기 시작하였으며, 서남산에는 좀 더 연대가 올라가는 경우도 있으나 그 외에는 모두 8~9세기에 조성되었다. 따라서 남산은 왕경과 가까운 북쪽에서 시작하여 점차 남쪽으로 유적이 조성되는 경향을 보인다. 특히, 서남산에는 신라 건국에 관련된 유적들이 남아있어서 신라사 전개와 깊이 연관된다고 생각된다. 결국 7세기 전반 경에 처음 불적이 조성되기 시작하여 통일 이후 세련되고 사실적인 불적들이 크게 융성하다가 9세기에는 새로운 시대양식을 창안하여 10세기 이후에는 유지, 보수되면서 고려를 지나 조선후기까지 면면히 이어오고 있다.

남산 불교유적의 특징은 삼국시대부터 고려, 조선시대까지 다른 지역에 비해 오랜 기간 동안 조상활동이 꾸준히 이루어지고 있다. 다양한 시대동안 축적된 불교유적의 형식과 도상이 다채롭게 나타나고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특히 칠불암, 탑곡 사방불의 경우 통일신라시대 사방불 신앙이 반영된 조영물이며, 용장사지 삼륜대좌불상과 같은 경우 신라 다른 지역에서 나타나지 않은 독특한 불상대좌를 이루고 있다. 마애불 역시 탑곡 사방불에서는 신라의 가장 명확한 마애탑이 2기 조성되었고, 삼릉계 선각 육존불의 경우 회화적인 표현 방법과 함께 한국 불교미술에서 독창적인 도상 형식을 보여주고 있다. 또한 9세기 석탑에서 등장하고 있는 다양한 기단형식의 출현 역시 경주남산 불교미술의 대표적인 특징으로 생각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