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신체활동 활성화를 통한 건강 도시 및 건축 계획방향 : 미국 뉴욕시와 캐나다 토론토시 사례를 중심으로 / 김남윤 인기도
발행사항
인천 :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7.2
청구기호
TM 690 -17-325
형태사항
ix, 111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733906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인천대학교 대학원, 건축학과, 2017.2. 지도교수: 이금진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3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3

1.1.1. 연구의 배경 13

1.1.2. 연구의 목적 14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5

1.2.1. 연구의 범위 15

1.2.2. 연구의 방법 16

1.3. 선행연구 고찰 및 분석의 틀 17

1.3.1. 선행연구 고찰 17

1.3.2. 선행연구 고찰에 따른 분석의 틀 21

제2장 건강도시와 관련된 개념과 특성 22

2.1. 건강도시 22

2.1.1. 건강도시의 개념 22

2.1.2. 건강도시의 필요성 26

2.2. 신체활동 28

2.2.1. 신체활동의 범위 28

2.2.2. 신체활동의 건강효과 30

2.3. 액티브 디자인(Active Design) 32

2.3.1. 액티브 디자인의 이해 32

2.3.2. 액티브 디자인의 활용 35

2.4. 소결 38

제3장 건강도시 해외사례 연구 40

3.1. 미국 뉴욕시의 건강도시 프로젝트 40

3.1.1. 뉴욕시의 건강도시 계획배경 40

3.1.2. 뉴욕시 액티브 디자인 가이드라인(Active Design Guidelines) 42

3.2. 캐나다 토론토의 건강도시 프로젝트 57

3.2.1. 토론토의 건강도시 계획배경 57

3.2.2. 토론토 액티브 시티(Active City) 59

3.3. 뉴욕시와 토론토의 건강도시 계획요소 종합 72

3.3.1. 공통점 72

3.3.2. 차이점 72

3.3.3. 종합분석 73

3.4. 소결 75

제4장 건강도시조성을 위한 신체활동 활성화 계획방향 76

4.1. 사례종합에 따른 특성별 신체활동 활성화 계획방향 76

4.2. 신체활동 활성화를 위한 계획방향 78

4.2.1. 일상적 이용을 촉진하는 접근성 계획방향 78

4.2.2. 목적지까지 건강친화적 접근방식을 유도하는 이동성 계획방향 85

4.2.3. 활동적인 엔터테인먼트를 위한 활동성 계획방향 93

4.2.4. 간접적 신체활동을 유발하는 연계성 계획방향 99

4.2.5. 이용불안을 줄여주는 안전성 계획방향 104

4.2.6. 계획방향의 종합 110

4.3. 소결 112

제5장 결론 113

5.1. 연구의 종합 및 결론 113

참고문헌 116

ABSTRACT 121

표 1.1. 건강도시 및 신체활동 관련 도시계획방향 선행연구 19

표 2.1. 건강도시 주요 지표 24

표 2.2. 신체활동의 건강효과 31

표 2.3. 액티브 디자인의 적용을 통한 주요 목표 34

표 3.1. 액티브 디자인을 시행하기 위한 기본개념 43

표 3.2. 액티브 시티를 형성하기 위한 4가지 계획요소 60

표 3.3. 뉴욕과 토론토의 계획사례 요소의 분석기준별 장, 단점 73

표 3.4. 뉴욕과 토론토의 건강도시 전략 비교 74

표 4.1. 계획방향의 적용 가능한 계획요소 분류 77

표 4.2. 분야별 보행교통 개선지표 86

표 4.3. 범죄예방설계디자인(CPTED)의 6가지 적용원리 104

표 4.4. 유니버셜 디자인의 7원칙 107

표 4.5. 신체활동 유도를 위한 계획방향의 종합 111

표 5.1. 신체활동 유도를 위한 건축 및 공간 활성화 체크리스트 115

그림 1.1. 연구의 방법 16

그림 1.2. 건강한 생활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분석의 틀 21

그림 2.1. 신체활동의 범위 29

그림 2.2. 신체활동 참여에 따른 건강 유익성 30

그림 2.3. 액티브 디자인의 4가지 Key Concept 34

그림 2.4. 보행자도로의 4개의 영역 36

그림 2.5. 건강도시 구현을 위한 신체활동과 액티브 디자인의 이론적 범위 38

그림 3.1. 뉴욕의 성인 비만 발병률(1990-2013) 40

그림 3.2. 미국 청소년 비만지수 40

그림 3.3. 신뢰구간 분석을 통한 미국의 주요 사망요인, 2009 41

그림 3.4. Active Design Guidelines 42

그림 3.5. Center for Active Design 42

그림 3.6. 뉴욕시의 토지이용계획 44

그림 3.7. Eib's Pond Park의 공간 배치도 45

그림 3.8. Bronx의 Bronkner 스케이트장 45

그림 3.9. 어린아이들을 위한 다채로운 놀이공간 디자인(뉴욕시) 46

그림 3.10. 뉴욕시의 광장 디자인 46

그림 3.11. Manhattan Herald Square 46

그림 3.12. Bronx의 버스정류장 계획 개선안 47

그림 3.13. 정류장 이용을 위한 편의시설 47

그림 3.14. 보행자를 위한 주요도로의 가로환경계획 48

그림 3.15. 뉴욕시의 스트리트 디자인 49

그림 3.16. 뉴욕시 자전거 전용도로 50

그림 3.17. 자전거 쉐어링 프로그램 50

그림 3.18. 브루클린 박물관의 로비 앞 계단 51

그림 3.19. 폭과 너비가 큰 계단의 이용 51

그림 3.20. Nykredit 빌딩의 계단디자인 52

그림 3.21. NY Times 빌딩 계단디자인 52

그림 3.22. 빌딩 내부 위치별 동선 프로그래밍, Bronx 53

그림 3.23. 건물 내 자전거 보관소 54

그림 3.24. 운동용품을 보관하는 라커룸 54

그림 3.25. 허드슨 강과 하이라인의 경관을 고려한 Whitney Museum of American... 55

그림 3.26. 건물 내 중앙 홀 공간을 활용한 계단 및 전시공간 56

그림 3.27. 캐나다의 사망원인(좌)와 연도별 비만 유병률(우, 1978-2009) 57

그림 3.28. 토론토의 Active City 계획안과 공공건강부서 59

그림 3.29. 국가별 활동친화적 교통수단 이용률과 비만지수의 관계 61

그림 3.30. 건축물 주변에 산책로, 상점가 등 야외활동시설을 갖춘 Regent Park 62

그림 3.31. 컨테이너를 이용해 가로공간에 상업시설을 배치한 Market 707 63

그림 3.32. 단위면적 당 인구밀도가 높게 계획된 Parkway Forest 64

그림 3.33. 자전거 교통연계 지원을 위해 버스에 부착된 자전거 거치대 65

그림 3.34. 보행자의 원활한 이동을 지원하는 스크램블 교차로 66

그림 3.35. 광역적 네트워크 노선을 제공하는 Parkbus 67

그림 3.36. 공공의 영역에 다양한 활동공간을 제공하는 공공공간 68

그림 3.37. 보행로의 여유 공간에 활용할 수 있도록 배치된 운동기구 69

그림 3.38. 건물 내 보행동선을 매력적으로 계획한 The Well 70

그림 3.39. 사람들 간의 교류를 통한 건강한 활동공간 제공 71

그림 4.1. 보행 및 자전거의... 79

그림 4.2. 중심교통지역에서부터 보행거리 79

그림 4.3. 블록단위 세분화를 통한 보행활동성 강화 80

그림 4.4. 토지이용 복합 및 다양화를 통해 보행을 통한 접근성 증대 80

그림 4.5. 한정된 범위 안에서 다양한 종류의 시설이용이 가능한 Storey Park 81

그림 4.6. 계단의 위치 및 가시성에 따른 이용지수의 차이 82

그림 4.7. 건물 내부를 계단을 중심으로 동선을 계획한 41 Cooper Square 83

그림 4.8. 독특한 형태의 계단 디자인 84

그림 4.9. 계단이용촉진을 위한 홍보이미지 84

그림 4.10. 건강친화적 교통 쾌적성을 높여주는 가로환경 디자인 86

그림 4.11. 보행중심의 도로네트워크 계획 87

그림 4.12. 자전거 연속성 증대를 위한 덴마크의 'Cycle Snake' 브리지 89

그림 4.13. 건물 간 수평 보행성을 높인 브리지, Rennweg 44 and 46, Austria. 90

그림 4.14. 인근의 다른 건물들과의 축을 고려한 건축 프로그래밍 91

그림 4.15. 건물 이동환경 및 출입구 위치에 따른 다양한 동선형태 92

그림 4.16. 미국 텍사스 휴스턴의 도심지에 위치한 DOWNTOWN PARK 93

그림 4.17. 수변공간을 따라 형성된 선형 산책로 94

그림 4.18. 건물이 밀집된 지역 내부에 공원을 배치시킨 Kendall Square 계획안 95

그림 4.19. 초등학교 건축물의 옥상 녹지공간 96

그림 4.20. 다양한 활동요소가 있는 광장 96

그림 4.21. 형태를 조정하여 다양한 스포츠 활동을 지원하는 운동시설 디자인 98

그림 4.22. 수영장의 높이를 수용할 수 있는 건물의 옥상 공간 98

그림 4.23. 자전거와 버스의 연계성을 높이기 위해 버스 전면에 부착된 거치대 100

그림 4.24. 편의성과 쾌적성을 높인 정류장 기반시설 101

그림 4.25. 버스 정류장 구조물을 활용한 전망데크 101

그림 4.26. 건물의 역동적 외관을 통한 주변환경 활성화 103

그림 4.27. 범죄예방을 위해 CPTED기법이 적용된 디자인 계획 106

그림 4.28. 레벨차가 다른 두 대지를 유니버셜 디자인을 적용하여 계획한 사례 108

그림 4.29. 경사로를 지그재그 형태로 배치한 램프관입형 계단 109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