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제1장 서론 10

제2장 이론적 배경 13

2.1. 묘소의 지형과 산형 14

2.1.1. 묘소의 지형 14

2.1.2. 묘소의 산형 14

2.2. 장군 15

2.2.1. 장군형 특이산 17

2.3. 전통풍수에서 제시한 산형 17

제3장 연구방법 24

3.1. 연구대상 선정 25

3.1.1. 장군 선정 25

3.1.2. 대조군 26

3.2. 묘소 조사 28

3.2.1. 묘소 지형조사 28

3.2.2. 묘소의 산형 30

제4장 결과 및 고찰 33

4.1. 명당 묘소 확인 33

4.2. 명당묘소의 산형 35

4.2.1. 대칭산형 35

4.2.2. 비대칭 산형: 기하학적 반복성 35

4.2.3. 산의 구성 재질 37

4.3. 장군의 증조부모 묘소 산형 38

4.3.1. 장군형 특이산 38

4.3.2. 장군의 증조부모 묘소 특이산의 특징과 장군의 계급 39

제4장 결론 64

참고문헌 65

Abstract 67

영문초록 국역 70

부록 71

1. 장군의 가계도 72

2. 당판 종단 기울기와 장군 출현 손과 후손이 많은 손 분석 표 94

3. 장군과 기점 선조와의 관계 표 95

4. 장군의 가문 후손 수 증감 표 96

5. 좌우선용 당판의 순경사 및 역경사 도면 97

6. 장군의 증조부모 묘소의 당판 기울기 표 98

7. 장군의 증조부모 묘소 주변 장군형 특이산 119

8. 장군의 증조부모 묘소 주변 대표 산형 124

표목차

표 3.1. 장군과 그의 증조부모 묘소 25

표 3.2. 광역지방자치단체장과 그의 증조부모 26

표 3.3. 거부 및 재벌과 그의 증조부모 묘소 27

표 3.4. 장군의 증조부모 묘소에 대한 지형 29

표 3.5. 광역지방자치단체장의 증조부모 묘소에 대한 지형 30

표 3.6. 거부 및 재벌의 증조부모 묘소에 대한 지형 30

표 3.7. 거부 및 재벌의 증조부모 묘소에서 관찰된 산형과 역임관직 31

표 3.8. 광역지방자치 단체장의 증조부모 묘소에서 관찰된 산형과 역임관직 31

표 3.9. 장군의 증조부모 묘소에서 관찰되는 산형과 역임한 장군계급 32

표 4.1. 장군형 특이산의 형태와 크기 40

표 4.2. 장군의 계급별 특이산의 평균 규격 및 크기 41

표 4.3. 장군형 특이산의 위치와 존재 방위 41

표 4.4. 대장 특이산의 종횡비 42

표 4.5. 중장 특이산의 종횡비 44

표 4.6. 장군의 계급과 특이산의 특징 45

그림목차

그림 2-1. 일자형 산의 종류. 19

그림 2-2. 거부 및 재벌의 산형 20

그림 2-3. 전통풍수에서 제시된 특이산형. 23

그림 3-1. 연구 흐름도. 24

그림 4-1. 연성 산형. 46

그림 4-2. K7 전 지사의 증조부모 묘소의 3연성. 46

그림 4-3. K9 전 지사의 증조부 묘소의 3연성. 47

그림 4-4. P3 시장의 증조부모 묘소의 3연성. 47

그림 4-5. H 전 시장의 증조부 묘소의 3연성. 48

그림 4-6. K8 지사의 증조부 묘소의 3연성. 48

그림 4-7. 거부형 산형. 49

그림 4-8. 바위가 노출된 산형. 49

그림 4-9. 장군형 특이산-1형. 50

그림 4-10. 장군형 특이산-2형. 51

그림 4-11. 장군형 특이산-3형. 52

그림 4-12. 가야시대 투구와 세도나의 종바위. 53

그림 4-13. 조선시대의 투구 54

그림 4-14. 특이산의 크기 54

그림 4-15. 대장들의 증조부모 묘소에서 관찰한 특이산의 형태. 57

그림 4-16. 중장들의 증조부모 묘소에서 관찰한 특이산의 형태. 59

그림 4-17. 소장들의 증조부모 묘소에서 관찰한 특이산 형태. 61

그림 4-18. 준장들의 증조부모 묘소에서 관찰한 특이산의 형태. 6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