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국회도서관 홈으로 정보검색 소장정보 검색

목차보기

표제지

목차

논문요약 9

제1장 서론 10

1. 연구배경 10

2. 선행연구 13

3. 논문의 구성 14

제2장 신뢰도 이론 15

1. 신뢰도(Credibility)의 개념 15

2. 신뢰도(Credibility)의 필요성 17

3. 접근방법에 따른 신뢰도 이론 18

3.1. 고전적 신뢰도 (Classical credibility) 18

3.2. 근대적 신뢰도 21

제3장 실증분석 31

1. 연구의 개요 31

2. 데이터의 구성 33

3. 실증분석 35

3.1. 성별 및 담보별 실증분석 35

3.2. 연령구간별 실증분석 47

3.3. 세부담보별 실증분석 53

제4장 결론 및 시사점 58

참고문헌 61

ABSTRACT 62

[표 2-1] 뷜만(Bühlmann)모형의 보험포트폴리오의 구성 26

[표 2-2] 뷜만-스트라웁(Bühlmann - Straub)모형의 보험포트폴리오의 구성 29

[표 3-1] 사고건수와 계약자수 32

[표 3-2] 사고건수별 신뢰도보험료 32

[표 3-3] 데이터 개요 33

[표 3-4] 사고건별 보유계약자수 34

[표 3-5] 지급금액대별 사고건수 34

[표 3-6] 주요 결과 43

[표 3-7] 신뢰도보험료와 상대도 (여자) 45

[표 3-8] 신뢰도보험료와 상대도(남자) 46

[표 3-9] 연령구간별 가입비율(2015년 기준) 47

[표 3-10] 주요 결과 51

[표 3-11] 신뢰도보험료와 상대도 (50-60세 미만) 52

[표 3-12] 보장담보의 보험금수령현황 54

[표 3-13] 보장담보별 사고발생률 54

[표 3-14] 보장담보별 사고건당 지급금 및 변동계수 55

[표 3-15] 보장담보별 사고건수 표준편차 및 변동계수 55

[표 3-16] 보장담보별 신뢰도계수 56

[그림 1-1] 실손의료보험 년도별 가입자수 10

[그림 1-2] 실손의료보험 보장범위 11

[그림 1-3] 실손의료보험 연도별 손해율 12

[그림 3-1] 보험금 수령현황(여성) 36

[그림 3-2] 보험금 수령현황(남성) 36

[그림 3-3] 사고발생률(여성) 36

[그림 3-4] 사고발생률(남성) 36

[그림 3-5] 사고건당 지급금(여성) 37

[그림 3-6] 사고건당 지급금(남성) 37

[그림 3-7] 사고건수 표준편차(여성) 38

[그림 3-8] 사고건수 표준편차(남성) 38

[그림 3-9] 지급금액 표준편차(여성) 38

[그림 3-10] 지급금액 표준편차(남성) 38

[그림 3-11] 사고건수 변동계수(여성) 39

[그림 3-12] 사고건수 변동계수(남성) 39

[그림 3-13] 지급금액 변동계수(여성) 39

[그림 3-14] 지급금액 변동계수(남성) 39

[그림 3-15] VHM (여성) 40

[그림 3-16] VHM (남성) 40

[그림 3-17] EPV (여성) 41

[그림 3-18] EPV (남성) 41

[그림 3-19] k=v/α(여성)(이미지참조) 42

[그림 3-20] k=v/α(남성)(이미지참조) 42

[그림 3-21] 신뢰도계수 z(여성) 43

[그림 3-22] 신뢰도계수 z(남성) 43

[그림 3-23] 보험금 수령(20세미만) 48

[그림 3-24] 보험금수령(40-50세미만) 48

[그림 3-25] 보험금수령(60세이상) 48

[그림 3-26] 사고발생률(20세 미만) 49

[그림 3-27] 사고발생률(40-50세미만) 49

[그림 3-28] 사고발생률(60세 이상) 49

[그림 3-29] 사고건수 변동계수(20세미만) 50

[그림 3-30] 사고건수 변동계수(40-50세미만) 50

[그림 3-31] 사고건수 변동계수(60세이상) 50

초록보기

 짧은 기간 동안 급속히 성장한 실손의료보험은 손해율 급등, 그로 인한 보험료 인상의 악순환을 겪으며 주요 관심사로 대두되어 왔다. 본 연구에서는 손해율 상승의 주요 원인을 실손의료보험의 단일보험료 부과로 보았고 이에 따라 비급여 의료비에 대한 위험수준별 보험료 차등화의 필요성에 대하여 제시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가입자의 과거 9년치의 사고발생 데이터를 이용하여 뷜만의 신뢰도 이론을 통해 담보별, 성별, 연령구간별로 보험료 차등화의 필요성에 대해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질병통원 담보에 대한 신뢰도계수가 지속적으로 상승한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신뢰도계수가 크다는 것은 요율산정 시 등급요율에 대한 비율보다 계약자별 경험 자료의 비중이 커야 함을 의미한다. 질병통원이 질병입원 담보에 비해 신뢰도계수가 높은 것은 비급여 의료비 부분에 선택적 요인이 더 많이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질병담보에 대해 남자보다는 여자가입자에 대해 보험료 차등화의 필요성이 더 높고 연령구간별 분석 시 50-60세 미만의 연령구간에서 보험료 차등화의 필요성을 확인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