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호기사보기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대표형(전거형, Authority) | 생물정보 | 이형(異形, Variant) | 소속 | 직위 | 직업 | 활동분야 | 주기 | 서지 | |
---|---|---|---|---|---|---|---|---|---|
연구/단체명을 입력해주세요. |
|
|
|
|
|
* 주제를 선택하시면 검색 상세로 이동합니다.
표제지
요약
목차
I. 서론 12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2. 연구의 가설 16
3. 용어의 정의 17
1) 과제 지향 순환 훈련 17
2) 균형 17
3) 보행 17
4) 균형자신감 18
II. 이론적 배경 19
1. 뇌졸중 환자의 균형 19
2. 뇌졸중 환자의 보행 20
3. 뇌졸중 환자의 균형 자신감 21
4. 과제지향 순환훈련 21
5. 불안정한 지지면에서의 훈련 22
III. 연구방법 24
1. 연구 대상 24
2. 연구 도구 25
1) 중재 25
2) 측정도구 28
3. 연구 절차 32
4. 자료 처리 34
IV. 연구 결과 35
1.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종속 변수에 대한 동질성 검정 35
2. 균형의 변화 38
(1) 동요면적의 변화 38
(2) 동요거리의 변화 38
(2) 버그 균형 척도 점수의 변화 43
(3) 일어선 후 걸어 다녀오기 검사 (Time up and go test : TUG) 값의 변화 44
(4) 안정성 한계의 변화 46
3. 보행의 변화 50
1) 보행속도의 변화 50
2) 족저압의 변화 51
3) 활보장의 변화 56
4) 분속수의 변화 56
4. 균형자신감의 변화 59
1) 한국어판 활동 특이적 균형자신감 척도 점수의 변화 59
V. 고찰 61
VI. 결론 67
참고문헌 69
Abstract 79
부록 81
〈부록1〉 버그 균형 척도 (Berg's balance scale) 81
〈부록2〉 한국어판 활동 특이적 균형 자신감 척도 (K-ABC : Korean Activities-Specific Balance Confidence Scale) 84
〈부록3〉 동의서 85
〈Fig 1〉 Study flowchart 33
〈Fig 2〉 The comparison of changes in sway area among the three groups following training 41
〈Fig 3〉 The comparison of changes in sway length among the three groups following training 42
〈Fig 4〉 The comparison of changes in Berg Balance Scale scores among the three groups... 44
〈Fig 5〉 The comparison of changes in Time Up and Go test values among the three groups... 45
〈Fig 6〉 The comparison of changes in Limit of Stability(A-P) among the three groups following... 48
〈Fig 7〉 The comparison of changes in Limit of stability(L-R) among the three groups following... 49
〈Fig 8〉 The comparison of changes in gait speed among the three groups following training 51
〈Fig 9〉 The comparison of changes in plantar pressure among the three groups following training 54
〈Fig 10〉 The comparison of changes in fore foot pressure among the three groups following... 54
〈Fig 11〉 The comparison of changes in hind foot pressure among the three groups following... 55
〈Fig 12〉 The comparison of changes in stride length among the three groups following training 57
〈Fig 13〉 The comparison of changes in cadence among the three groups following training 58
〈Fig 14〉 The comparison of changes in K-ABC scale values among the three groups following... 60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전화번호 |
---|
기사명 | 저자명 | 페이지 | 원문 | 기사목차 |
---|
번호 | 발행일자 | 권호명 | 제본정보 | 자료실 | 원문 | 신청 페이지 |
---|
도서위치안내: / 서가번호:
우편복사 목록담기를 완료하였습니다.
*표시는 필수 입력사항입니다.
저장 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