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대보화강암 암반절취 사면의 안정성 및 보강대책에 관한 사례 연구 = A case study on the stability and reinforcing methods of rock cut slopes consist of Daebo granite / 박태완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2017.2
청구기호
TM 624.15 -17-1
형태사항
viii, 91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702318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공학대학원, 건축·토목·조경공학과 토질및기초공학전공, 2017.2. 지도교수: 박두희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요지

목차

제1장 서론 12

1.1. 연구 배경 및 목적 12

1.2. 연구 내용 및 방법 13

제2장 이론적 배경 14

2.1. 토사사면의 안정해석 14

2.1.1. 토사사면의 파괴유형 14

2.1.2. 사면안정해석이론 15

2.1.3. 토사사면 안정해석 방법 19

2.2. 암반사면의 안정해석 28

2.2.1. 암반사면의 파괴유형 28

2.2.2. 암반사면 안정해석 방법 29

2.3. 상태평가 31

2.3.1. 지반특성에 따른 절토사면 분류 31

2.3.2. 상태평가 항목 33

2.3.3. 절토사면의 상태평가 기준 35

2.3.4. 상태평가 항목별 세부기준 및 결함지수 산정 방안 36

2.3.5. 상태평가 결과 산정 방법 45

2.3.6. 안전등급 46

제3장 현장사례 연구 47

3.1. 연구대상지역의 지형 및 지질특성 47

3.1.1. 연구대상지역 지형특성 47

3.1.2. 연구대상지역 지질특성 48

3.2. 절토사면 현장조사 및 상태평가 49

3.2.1. 토질조사 50

3.2.2. 토사사면 상태평가 52

3.2.3. 토사사면 평사투영해석 60

3.3. 암반사면 현장조사 및 상태평가 61

3.3.1. 실내시험 62

3.3.2. 암반사면 상태평가 63

3.3.3. 암반사면 평사투영해석 68

제4장 안전성 평가 및 사면보강공법 70

4.1. 안전성 평가 70

4.1.1. 토사사면 안전성 평가 70

4.1.2. 토사사면 안전성 평가 결과 73

4.1.3. 암반사면 안전성 평가 78

4.1.4. 암반사면 안정성 평가 결과 79

4.2. 사면보강공법의 종류 및 특징 80

4.3. 보강대책공법의 선정 85

4.4. 사면보강공법 적용 후 안정성 검토 85

4.4.1. 경사완화(1:0.7~1.5)공법 적용 후 토사사면 안정성 검토 86

4.4.2. 경사완화(1:0.5~1.5)+네일보강공법 적용 후 토사사면 안정성 검토 88

4.4.3. 낙석방지시설 적용 후 암반사면 안정성 검토 92

제5장 결론 93

참고문헌 96

ABSTRACT 98

표 2.1. 토사사면 파괴유형 15

표 2.2. 사면 안정해석법의 종류 19

표 2.3. 암반사면 파괴형태 및 파괴특성 28

표 2.4. 암반사면 안정해석 종류 29

표 2.5. 절토사면의 분류 33

표 2.6. 절토사면의 손상상태 평가 항목 34

표 2.7. 절토사면의 파괴요인 평가 항목 35

표 2.8. 상태평가등급 기준 36

표 2.9. 토사사면 손상상태 평가 기준 37

표 2.10. 토사사면 파괴요인 평가 기준 38

표 2.11. 연약암반사면 손상상태 평가 기준 39

표 2.12. 연약암반사면 파괴요인 평가 기준 40

표 2.13. 파쇄암반사면 손상상태 평가 기준 41

표 2.14. 파쇄암반사면 파괴요인 평가 기준 42

표 2.15. 절리암반사면 손상상태 평가 기준 43

표 2.16. 절리암반사면 파괴요인 평가 기준 44

표 2.17. 안전등급 46

표 3.1. 시추조사 결과 50

표 3.2. 표준관입시험 결과 51

표 3.3. 전단시험 결과 52

표 3.4. 1구역(0~50m) 상태평가 결과 54

표 3.5. 2구역(50~90m) 상태평가 결과 56

표 3.6. 3구역-1(90~140m) 상태평가 결과 58

표 3.7. 3구역-2(140~165m) 상태평가 결과 59

표 3.8. 평사투영해석 결과 60

표 3.9. 절리면 전단시험 결과 62

표 3.10. 점재하시험 결과 63

표 3.11. 1구역(0~30m) 상태평가 결과 65

표 3.12. 2구역(30~100m) 상태평가 결과 67

표 3.13. 평사투영해석 결과(0~30m) 68

표 3.14. 평사투영해석 결과(30~100m) 69

표 4.1. 지진구역계수 71

표 4.2. 위험도계수 71

표 4.3. 적용 기준안전율 72

표 4.4. 안전성평가 기준 72

표 4.5. 적용 설계지반정수 73

표 4.6. 1구간(No.3 STA. 0+60, C 지역 방향) 평가 결과 74

표 4.7. 1구간(No.3 STA. 0+60, A 지역 방향) 평가 결과 75

표 4.8. 2구간(No.4 STA. 0+80, C 지역 방향) 평가 결과 75

표 4.9. 2구간(No.4 STA. 0+80, A 지역 방향) 평가 결과 76

표 4.10. 3구간(No.1+10 STA. 0+30) 평가 결과 76

표 4.11. 3-1구간(No.1 STA. 0+25) 평가 결과 77

표 4.12. 3-2구간(No.2 STA. 0+40) 평가 결과 77

표 4.13. 낙석의 초기속도 결정 79

표 4.14. 비탈면의 특성에 따른 반발계수 79

표 4.15. 1, 2구간 안정성 평가 결과 80

표 4.16. 사면보강공법의 종류 및 특징 82

표 4.17. 낙석방지시설 종류 및 특징 84

표 4.18. 1구간(No.3 STA. 0+60, C 지역 방향) 안정성 검토 결과 86

표 4.19. 2구간(No.4 STA. 0+80, C 지역 방향) 안정성 검토 결과 86

표 4.20. 3구간(No.1+10 STA. 0+30) 안정성 검토 결과 87

표 4.21. 3-1구간(No.2 STA. 0+25) 안정성 검토 결과 87

표 4.22. 3-2구간(No.2 STA. 0+40) 안정성 검토 결과 88

표 4.23. 1구간(No.3 STA. 0+60, C 지역 방향) 안정성 검토 결과 88

표 4.24. 2구간(No.4 STA. 0+80, C 지역 방향) 안정성 검토 결과 89

표 4.25. 3구간(No.1+10 STA. 0+30) 안정성 검토 결과 89

표 4.26. 3-1구간(No.2 STA. 0+25) 안정성 검토 결과 90

표 4.27. 3-2구간(No.2 STA. 0+40) 안정성 검토 결과 90

표 4.28. 공법적용 시 안전율 비교 91

표 4.29. 1, 2구간 안정성 검토 결과 92

그림 2.1. 절편에 작용하는 힘의 체계 17

그림 2.2. 무한사면 안정해석 20

그림 2.3. 분할요소에 작용하는 힘 22

그림 2.4. 일반 한계평형법 23

그림 2.5. Fellenius법 25

그림 2.6. Bishop 간편법 26

그림 2.7. 상태평가 결과 산정 과정 45

그림 3.1. 연구대상지역 지형 47

그림 3.2. 지질도 48

그림 3.3. 연구대상(Site 1) 위치도 49

그림 3.4. 상태평가구역 현황도 52

그림 3.5. 1구역(0~50m) 현황 53

그림 3.6. 2구역(50~90m) 현황 55

그림 3.7. 3구역(90~165m) 현황 57

그림 3.8. 연구대상(Site 2) 위치도 61

그림 3.9. 상태평가구역 현황도 63

그림 3.10. 1구역(0~30m) 현황 64

그림 3.11. 2구역(30~100m) 현황 66

그림 4.1. 토사사면 안정성평가구간 70

그림 4.2. 암반사면 안전성평가구간 78

초록보기 더보기

 우리나라는 산업의 발달로 산악지역에도 도로 및 건물이 건설되고 사람들의 공간 활용도가 높아짐에 따라 수많은 절토사면이 형성되는 실정이다. 그러나 이러한 무분별한 개발로 인하여 산지나 구릉지의 사면붕괴로 해마다 수많은 인명 및 재산 피해 등의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본 연구는 토사사면과 암반사면으로 구분하여 사면의 상태평가 및 지반구조를 조사 분석하였고 평사투영법 등을 이용하여 안정성 및 사면의 파괴유형을 파악하였다. 안정성 평가 결과를 토대로 대상사면에 적합한 보강공법을 적용하여 안정성을 검토하였다.

지표지질조사를 수행한 후 종합적인 상태평가 결과는 일부 구간에 C등급으로 보통의 손상, 결함이 발생하였으나 안전성에는 지장은 없으며, 내구성, 기능성 저하 방지를 위한 보수가 필요하거나 간단한 보강이 필요한 것으로 검토되었다.

연구대상사면에 건기시 Fs=1.5, 우기시 Fs=1.2, 지진시 Fs=1.1을 기준으로 비탈면 경사가 가장 높은 구간에 안정성 평가 결과 대부분 기준안전율을 만족하지 못하는 결과를 얻었으며 사면안정대책으로는 경사완화 공법 및 경사완화 공법과 네일보강공법을 동시에 적용했을 때를 비교하였다. 경사완화 공법의 경우 절토량의 과다로 비경제적이므로 경사완화 공법과 네일보강공법을 동시에 적용했을 때 효과적이라고 판단된다.

대보화강암이 주를 이루며 건물과 인접하여 시공성이 취약한 경우의 사면보강공법으로는 대형 중장비를 필요로 하지 않는 경사완화공법과 네일보강공법을 동시에 적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