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친환경경영리더십 및 친환경동기가 공급사슬 및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A study on the relationship among CEO's driver·leadership·practice and performance in SCEM / 김원교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한양대학교 대학원, 2017.2
청구기호
TD 658 -17-1
형태사항
viii, 86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702236
주기사항
학위논문(박사) -- 한양대학교 대학원, 경영학과, 2017.2. 지도교수: 김대철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목차

국문초록 9

제1장 서론 11

제1절 연구배경 11

제2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2

제3절 논문의 구성 17

제2장 이론적 배경 18

제1절 친환경 공급사슬의 동기 요인 및 환경경영리더십 20

1. 정부 규제에 대한 대응 22

2. 기업이미지 24

3. 비용절감 26

4. 비즈니스 니즈 (제품개발) 27

5. 친환경 경영리더십(친환경경영에 대한 지원) 28

제2절 친환경 공급사슬관리 실행 28

1. 친환경구매 28

2. 친환경 생산 30

3. 친환경물류 31

제3절 공급사슬관리 성과 32

1. 유연성(Agility) 32

2. 적응성(Adaptability) 33

3. 파트너십(Alignment) 34

제4절 기업 성과 35

1. 환경성과 35

2. 비환경 성과 36

제3장 연구모형 및 가설 38

제1절 연구모형 설정 38

1. 개념적 연구모형 38

제2절 연구가설 설정 38

1. 친환경 공급사슬 동기와 친환경 공급사슬관리 실행의 관계 38

2. 친환경경영 리더십과 친환경 공급사슬관리 실행의 관계 39

3. 친환경 공급사슬관리 실행과 공급사슬관리 성과의 관계 40

4. 친환경 공급사슬 실행과 기업성과와의 관계 41

5. 공급사슬 관리성과와 기업성과 와의 관계 43

제3절 설문항목의 구성 44

제4장 연구결과 45

제1절 자료수집 및 기술통계 분석 45

1. 자료의 수집 45

2. 기술통계분석 47

제2절 연구변수에 대한 신뢰성 및 타당성검증 49

1. 신뢰성 및 타당성 49

제3절 가설검증 53

1. 변인 간 상관관계 분석 53

2. 측정모형 검정을 위한 확인적 요인분석 54

3. 구조모형 검증 56

제4절 추가분석 59

제5장 결론 및 시사점 69

참고문헌 72

설문지 87

ABSTRACT 94

〈표 1〉 설문지 구성내역 45

〈표 2〉 설문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47

〈표 3〉 친환경 공급사슬관리 동기 및 환경경영 리더십의 요인분석 결과 49

〈표 4〉 친환경 공급사슬관리 활동의 요인분석 결과 50

〈표 5〉 공급사슬 성과의 요인분석 결과 51

〈표 6〉 기업성과의 요인분석 결과 52

〈표 7〉 각 변인 간 상관관계 및 평균, 표준편차 53

〈표 8〉 측정모형의 적합도 지수 55

〈표 9〉 각 변인의 수렴타당도 결과 56

〈표 10〉 구조모형의 적합도 지수 57

〈표 11〉 최종 모형 총 효과 분해 58

〈표 12〉 매개모형의 Bootstrapping 검증결과 58

〈표 13〉 친환경 구매에 대한 친환경 공급사슬관리 동기의 영향 59

〈표 14〉 친환경 생산에 대한 친환경 공급사슬관리 동기의 영향 60

〈표 15〉 친환경 물류에 대한 친환경 공급사슬관리 동기의 영향 61

〈표 16〉 친환경 물류에 대한 비용절감의 영향 61

〈표 17〉 유연성에 대한 친환경 공급사슬관리 활동 62

〈표 18〉 적응성에 대한 친환경 공급사슬관리 활동 63

〈표 19〉 파트너십에 대한 친환경 공급사슬관리 활동 64

〈표 20〉 환경성과에 대한 공급사슬 성과 65

〈표 21〉 비환경성과에 대한 공급사슬 성과 66

〈표 22〉 환경성과에 대한 친환경 공급사슬관리 활동 67

〈표 23〉 환경성과에 대한 친환경 구매 67

〈표 24〉 비환경성과에 대한 친환경 공급사슬관리 활동 68

[그림 1] 연구모형 38

[그림 2] 확인적 요인분석 결과 54

[그림 3] 구조모형의 검증결과 57

초록보기 더보기

 미래의 기업은 지속가능성에 대해서 잘 이해하고 준비하는 기업만이 불확실한 미래에 잘 적응하고 성장할 수 있다. 지속가능성의 다양한 영역들 중 환경적 요소는 도쿄의정서 이후 지속적으로 중요하게 강조되고 있으며 향후 점점 더 중요한 요소가 될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지속적인 성장을 해야만 하는 기업에게 있어서 환경경영은 매우 중요한 화두이다.

최근 들어 기업 간의 경쟁은 개별기업간의 경쟁이 아니라 공급사슬 간의 경쟁의 양상을 보인다. 즉 기업의 경쟁력은 개별기업만의 역량의 경쟁에서 공급사슬관리상의 상하위 기업간의 파트너십의 경쟁력이 궁극적인 경쟁력이 되며 친환경 공급사슬관리에서도 같은 기준이 적용된다. 기업내부의 프로세스도 중요하지만 개별기업에서의 친환경적 프로세스의 중요성보다도 공급업자, 생산업자, 판매업자에서 고객으로 이어지는 모든 경제활동을 친환경적으로 하는 것이 전 프로세스에서 매우 중요하다.

기존의 친환경 공급사슬의 연구에서는 몇 가지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기업 간의 경쟁이 개별기업이 아닌 공급사슬 간의 경쟁으로 변화되고 있으나 친환경 경영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를 공급사슬 측면에서 분석하지 못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친환경공급사슬관리에서 공급사슬관점에서의 실행의 영향력을 연구해보고자 한다. 또한 친환경경영의 동인 중 환경규제와 같은 외부 동인에 대한 연구에 치중된 기존의 연구와 비교하여 기업이미지 향상 및 비즈니스 니즈(제품개발)이라는 내부 동인에 대한 분석과 기존의 연구에서 주로 다루어져 온 환경성과 뿐만 아니라 재무성과를 포함한 비환경성과에 대한 연구를 검증해보고자 하였다.

자료의 수집은 이메일과 설문지를 통하여 250부가 배포되었으며 회수된 210부 중 191부가 분석의 대상이며 응답 대상자는 회사를 대표하여 구매와 영업 및 생산을 총괄하는 직책 혹은 직급자를 대상으로 1인 1기업으로 설문지를 배포하였다.

SPSS 22.0 과 AMOS 21.0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 분석을 실시하고 구조방정식의 측정모형을 검증하기 위해 확인적 요인분석을 실시하여 모형의 적합도를 검증한 후 구조모형의 계수를 검증하였다. 또한 매개효과의 유의미성을 검증하기 위해 bootstrapping 검증을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 연구모형에서 제시되었던 친환경 공급사슬 동기, 친환경 공급사슬관리 실행, 공급사슬관리 성과 및 기업성과 간의 관계가 밝혀졌다. 특히 친환경 공급사슬관리 실행과 기업성과 간의 관계에서 공급사슬관리의 성과가 매개역할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친환경 공급사슬관리의 동인 중 내부동인인 비즈니스 니즈의 중요성을 검증하였다. 기존의 연구에서는 정부의 규제 등과 같은 외부의 법률적, 국내외의 환경조약 등과 같은 외부적 동인이 친환경 공급사슬관리의 강력한 동인으로 연구되었으나 비즈니스 니즈를 통한 경쟁력의 강화가 기업에게 있어서 주요 동인이 된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환경성과와 비환경성과에 대한 상대적 설명력을 검증한 결과 비환경성과에 대한 설명력이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기업이 지속가능한 성장을 하기 위하여 비즈니스 니즈에 근거한 친환경 공급사슬관리를 실행한다면 기업의 재무적 성과에도 기여한다는 점을 의미한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전체 설문지 응답자 중 식품업의 비중이 많다는 점으로 인하여 전체 산업으로의 일반화를 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는 점을 들 수 있다. 향후 연구에서는 전체 산업의 특성, 즉, 산업별, 규모별 특성이 반영된 설문조사를 통하여 연구가 진행될 필요성이 있다고 보여진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