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음악산업 발전을 위한 뮤직 비즈니스 관련 학제 시스템 현황 연구 : 관련 전공 대학·대학원 과정을 중심으로 = (A)study on educational system related to music business for growth of music industry : focused on the colleges and graduate schools offering related studies / 노하영 인기도
발행사항
용인 :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2016.2
청구기호
TM 792.068 -16-4
형태사항
vi, 114 p. ; 30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627622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단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 공연예술학과 대중음악제작·경영전공, 2016.2. 지도교수: 박기영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I. 서론 10

1. 연구의 필요성과 목적 10

2. 연구의 내용 및 방법 13

II. 본론 15

1. 국내 뮤직비즈니스 현황 15

1) 정책적 측면 15

2) 연구적 측면 21

3) 산업적 측면 36

4) 문제점 48

2. 국외 유사학과 사례 연구 52

1) 미국의 사례 52

2) 유럽의 사례 62

3) 기타 사례 68

3. 국내 뮤직비즈니스 관련 대학·대학원 교육 시스템 72

1) 실용음악 학과 현황 73

2) 예술경영 학과 현황 87

3) 연예매니지먼트 산업 학과 현황 93

4) 음악산업 계열 대학원 현황 98

4. 국내 교육시스템의 문제점과 제언 107

III. 결론 113

참고문헌 117

Abstract 121

〈표 1〉 한국 대중가요 연구의 전반적인 양상 분석 11

〈표 2〉 박근혜정부 국정과제 16

〈표 3〉 저작권법 제24조의2(공공저작물의 자유이용) 17

〈표 4〉 2013~2014 문화체육관광부 주요업무계획 중 저작권법개정 관련 내용 18

〈표 5〉 대중문화예술산업의 정의 및 범위 19

〈표 6〉 예술인 복지법 개정 내용 20

〈표 7〉 문화콘텐츠 관련 석·박학사학위논문 서명에 나타난 단어 빈도수 22

〈표 8〉 음악산업, 뮤직비즈니스, 대중음악 관련 연구단체 24

〈표 9〉 대중음악 무크지 '대중음악SOUND' 연구 내용 25

〈표 10〉 대중음악포럼 봄 활동 정리 (2011~2014) 28

〈표 11〉 한국대중음악학회 정기학술대회 주제 및 발표내용 29

〈표 12〉 한국엔터테인먼트법학회 2014년도 월례발표회 중 음악산업 관련 내용 34

〈표 13〉 음악산업 분기별 실태조사 결과(2014 3분기) 37

〈표 14〉 국내 음반기획사의 레이블 체계 관계도 39

〈표 15〉 국내 주요 음원 서비스 46

〈표 16〉 버클리 음악대학 준학사/학사과정 전공 구분 53

〈표 17〉 버클리 음악대학 준학사/학사 과정 커리큘럼 54

〈표 18〉 MI 과정 별 전공 57

〈표 19〉 MI 학사과정 커리큘럼 필수과목 58

〈표 20〉 NYU 과정 별 전공 59

〈표 21〉 NYU 뮤직비니지스 학사과정 커리큘럼 비교 61

〈표 22〉 Music, Theatre Entertainment Management 커리큘럼 63

〈표 23〉 골드스미스 학사과정 상세 전공 별 커리큘럼 65

〈표 24〉 골드스미스 석사 과정 상세전공 66

〈표 25〉 프린스 클라우스 과정 별 전공 67

〈표 26〉 프린스 클라우스 Composition 커리큘럼 68

〈표 27〉 JMC Academy Entertainment Business Management 커리큘럼 69

〈표 28〉 험버컬리지 심화전공 과정 커리큘럼 70

〈표 29〉 국내 실용음악계열 학과 현황 73

〈표 30〉 실용음악 계열 국내 4년제 대학 2015학년도 정시 모집 요강 77

〈표 31〉 실용음악 계열 국내 2/3년제 대학 2015학년도 정시 모집 요강 79

〈표 32〉 실용음악 계열 국내 4년제 대학 전공과정 커리큘럼 비교 82

〈표 33〉 실용음악 계열 국내 2/3년제 대학 전공과정 커리큘럼 비교 84

〈표 34〉 국내 학부과정 예술경영 관련 학과 89

〈표 35〉 예술경영 계열 국내 대학 2015학년도 정시 모집 요강 90

〈표 36〉 예술경영 계열 국내 대학 전공과정 커리큘럼 비교 91

〈표 37〉 국내 연예매니지먼트 산업 계열 학과 현황 94

〈표 38〉 연예매니지먼트 산업 계열 국내 대학 2015학년도 정시 모집 요강 95

〈표 39〉 연예매니지먼트 산업 계열 국내 대학 전공과정 커리큘럼 비교 96

〈표 40〉 음악산업 계열 국내 대학 석사과정 개설 현황 99

〈표 41〉 음악산업 계열 국내 대학 석사과정 모집요강 101

〈표 42〉 음악산업 계열 국내 대학 석사과정 전공 별 커리큘럼 비교 - 실용·대중 음악학 103

〈표 43〉 음악산업 계열 국내 대학 석사과정 전공 별 커리큘럼 비교 - 음악·엔터경영 105

〈표 44〉 대중음악산업 과정 제시 모델 110

〈표 45〉 대중음악산업 과정 기초 교과과정(안) 제시 111

〈그림 1〉 예술인 복지재단 진행 사업 20

〈그림 2〉 콘텐츠산업 연도별 연구동향 23

〈그림 3〉 〈한국음악산업학회 학회소개〉 설립취지 36

〈그림 4〉 UNT 학사학위 과정 상세 전공 56

〈그림 5〉 NYU Music Theatre 학사과정 커리큘럼 60

초록보기 더보기

 본 논문에서는 고부가가치 산업으로 성장하고 있는 음악산업이 그 양질의 발전에 비하여 여전히 악순환 되며 해결 되지 못하는 근본적인 문제의 원인을 음악산업을 이끌어 가는 전문 인적 인프라 구축에 실패하였다는 것을 문제점으로 삼고 뮤직 비즈니스관련 학제 시스템 개선이라는 대책을 내세우며, 관련 대학 및 대학원 과정의 시스템 현황을 연구하였다. 본론에서는 국내 뮤직비즈니스 관련 정책, 연구, 산업적 측면의 현황을 분석하고 실질적인 문제점에 대해 알아보았으며, 국외 유사학과의 사례를 조사하고 국내 뮤직비즈니스 관련 대학 및 대학원 교육 시스템을 실용음악 과정의 대학, 예술경영 과정의 대학, 연예매니지먼트 산업 과정의 대학, 음악산업 계열의 대학원 과정의 학생 선발과정부터 교수진의 구성, 커리큘럼까지의 현황을 분석하고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또한, 국외 유사학과의 사례를 모델로 국내 대학 및 대학원 과정의 현실에 맞게 변형하여 음악산업 발전을 위한 전문인력 양성의 새로운 모델을 제시하였으며, 결론에서는 위 연구를 통해 음악산업 발전을 위한 뮤직 비즈니스 관련 학제의 현황 분석과 앞으로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방안에 대하여 서술하였다.

연구 결과, 국내 음악산업의 발전을 위해서는 현재까지의 대부분의 뮤직 비즈니스 관련 대학 및 대학원의 주요 인력을 양성하는 실용음악 과정 외 기획, 마케팅, 경영, 연구, 정책 분야에서의 전문 인력이 필요하며, 이러한 전문인력은 현재의 뮤직 비즈니스 관련 대학 및 대학원의 학제 시스템으로는 무리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특히, 국내 음악산업의 경우 정부에서도 주목하는 고부가가치 성장산업으로 산업의 양질의 성장을 위해서는 정책, 교육, 산업적인 성장이 고루 갖춰져야지만 현실적인 문제점을 해결하고 더욱 그 성장가치가 높아질 것이라는 예상이다.

음악산업 발전을 위해서는 음악산업과 대중음악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현장경험을 바탕으로 세부 분야에서 전문인력이 양성되어야하며, 그러한 전문인력은 대학과 대학원의 시스템으로도 충분히 현장에서 요구하는 인적 인프라로 구축을 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앞으로 국내 뮤직 비즈니스 관련 대학 및 대학원의 학제 시스템은 산업의 특수성을 이해하고 실무적인 소양을 갖추며, 음악산업의 발전이라는 소신을 갖는 인력을 배출해내는 것을 목적으로 삼아 현재와 같은 훌륭한 실연 및 저작 관련 인재와 더불어 음악산업 전문 기획·마케팅 인력, 대중음악 연구 인력, 음악사업 발전을 위한 정책 및 행정, 법규 인력 등을 양성하여, 음악산업의 대내적 발전을 꾀하는데 있어 도움이 될 수 있어야 한다는 결론을 도출하였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