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장소의 물성화 단계에 따른 전환적 컬처노믹스 전략에 관한 연구 = Study on transformative culturenomics strategy according to property stage of location / 윤선주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2016.2
청구기호
TM 711 -16-122
형태사항
viii, 138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600222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서울시립대학교 디자인전문대학원, 공공환경디자인전공, 2016.2. 지도교수: 정진우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1. 서론 12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4

1.3. 연구 흐름도 16

2. 문화백화현상과 장소의 물성화 17

2.1. 문화백화현상의 개요 17

2.1.1. 문화백화현상의 정의 17

2.1.2. 문화백화현상의 특성 19

2.1.3. 문화백화현상의 문제점 20

2.2. 장소의 물성화 과정 21

2.2.1. 장소 물성화의 속성 21

2.2.2. 장소 물성화의 단계 23

2.2.3. 장소 물성화의 문제점 26

2.3. 소결 26

3. 서울시 컬처노믹스 전략 및 방향 28

3.1. 컬처노믹스의 개요 28

3.2. 서울시의 컬처노믹스 전략 및 과정 31

3.2.1. 서울시 컬처노믹스 전략 32

3.2.2. 서울시 컬처노믹스 과정 36

3.3. 서울시 컬처노믹스 전략의 방향 46

3.4. 소결 51

4. 서울시 컬처노믹스 사례를 통한 장소 물성화 53

4.1. 연구대상지 선정 기준 및 사례 개요 53

4.2. 사례지 분석 55

4.2.1. 종로구 창신동 일대 55

4.2.2. 성동구 성수동 일대 76

4.2.3. 종로구 삼청동 일대 95

4.3. 지역별 문화백화현상과 문화전략 109

5. 창신동 문화백화현상 방지 위한 컬처노믹스 전략의 필요성 116

5.1. 창신동 문화경제활동 116

5.1.1. 문화백화현상과 문화경제활동 물성화와의 관계 116

5.1.2. 창신동 문화경제활동의 물성화 121

5.2. 문화백화현상 방지 위한 컬처노믹스 전략의 필요성 128

6. 결론 130

6.1. 요약 및 결론 130

6.2. 연구 의의 및 한계와 향후 과제 132

참고문헌 134

부록 138

Abstract 146

[표 1] 역사적 배경에 따른 문화백화현상 18

[표 2] 1차 물성화와 2차 물성화의 특이점 22

[표 3] 문화백화현상 사례 25

[표 4] 학자들에 의한 문화경제학 이론 30

[표 5] 서울시 컬처노믹스 전략 33

[표 6] 2011년 컬처노믹스 전략에 따른 과제 37

[표 7] 2012년 컬처노믹스 전략에 따른 과제 38

[표 8] 2013년 컬처노믹스 전략에 따른 과제 39

[표 9] 2014년 컬처노믹스 전략에 따른 과제 40

[표 10] 2015년 컬처노믹스 전략에 따른 과제 41

[표 11] 문화관광디자인본부 주요업무계획보고서(2011~2015) 공간 인프라 지원 정책 49

[표 12] 학자들에 의한 창조도시론 50

[표 13] 창신동 및 숭인동 패션제조공장 현황 59

[표 14] 창신동 봉제산업의 분업활동 62

[표 15] 해송지역아동센터의 교육 프로그램 66

[표 16] 봉제박물관의 사업내용 68

[표 17] 년도별 창신동 매스컴 내용 74

[표 18] 성수동 수제화 산업의 작업별 역할 82

[표 19] 서울시 수제화 관련 사업 87

[표 20] 서울시 수제화 관련 사업 88

[표 21] 성수동 문화공간과 발생하는 문화 활동 89

[표 22] 성수동 사회적기업 90

[표 23] 년도별 성수동 매스컴 내용 93

[표 24] 삼청동 경공장 체험장소 100

[표 25] 한옥마을 및 한양도성 인근마을 가꾸기 주민공동체사업 현황 101

[표 26] 년도별 삼청동 매스컴 내용 107

[표 27] 문화백화현상과 장소 물성화 성질을 파악하는 기준표 109

[표 28] 창신동 문화백화현상과 문화전략의 장소 물성화 성질 110

[표 29] 성수동 문화백화현상과 문화전략의 장소 물성화 성질 111

[표 30] 삼청동 문화백화현상과 문화전략의 장소 물성화 성질 112

[표 31] 박물관 문화전략의 장소 물성화 분석 117

[표 32] 복합문화공간 문화전략의 장소 물성화 분석 118

[표 33] 음악회 문화전략의 장소 물성화 분석 119

[표 34] 장터 문화전략의 장소 물성화 분석 120

[표 35] 년도별 서울시 문화전략의 장소 물성화 분석 123

[표 36] 년도별 종로구 문화전략의 장소 물성화 분석 124

[표 37] 년도별 000간 문화전략의 장소 물성화 분석 125

[표 38] 년도별 해송지역아동센터 문화전략의 장소 물성화 분석 126

[표 39] 년도별 서울봉제산업협회 문화전략의 장소 물성화 분석 127

〈그림 1〉 연구의 흐름도 16

〈그림 2〉 장소 물성화 22

〈그림 3〉 문화백화현상의 6단계 24

〈그림 4〉 문화백화현상과 장소 물성화의 관계 25

〈그림 5〉 A.마슬로의 '인간 욕구의 5단계' 31

〈그림 6〉 2011~2015년 일상문화분야 변화과정 42

〈그림 7〉 2011~2015년 역사문화분야 변화과정 43

〈그림 8〉 2011~2015년 관광문화분야 변화과정 43

〈그림 9〉 2011~2015년 문화산업분야 변화과정 44

〈그림 10〉 2011~2015년 스포츠문화분야 변화과정 45

〈그림 11〉 2011~2015년 디자인산업분야 변화과정 45

〈그림 12〉 2011~2015년 문화정책분야 세출예산 47

〈그림 13〉 정권교체에 따른 문화정책의 차이 48

〈그림 14〉 분석방법 54

〈그림 15〉 창신동 입지적 조건 55

〈그림 16〉 창신동 건축물 용도 56

〈그림 17〉 창신동 봉제공간의 작업순환 58

〈그림 18〉 좌 : 산업체 비율 / 우: 산업체별 종사자 비율 59

〈그림 19〉 시간별 봉제산업의 활동 63

〈그림 20〉 상인과 생산업체의 거래 64

〈그림 21〉 2011년~2015년 서울시 창신동관련 사업내용 68

〈그림 22〉 창신동 외부인 활동 조사 72

〈그림 23〉 외부인 관점에서의 창신동 강조 및 개선사항 73

〈그림 24〉 창신동에 실행되는 문화전략 75

〈그림 25〉 성수동 입지적 조건 76

〈그림 26〉 성수동 건축물 용도 77

〈그림 27〉 성수동 수제화 산업생태계 79

〈그림 28〉 좌 : 산업체 비율 / 우: 산업체별 종사자 비율 80

〈그림 29〉 시간별 수제화산업의 활동 83

〈그림 30〉 2011년~2015년 서울시 성수동관련 사업내용 88

〈그림 31〉 성수동 외부인 활동 조사 91

〈그림 32〉 외부인 관점에서의 성수동 강조 및 개선사항 92

〈그림 33〉 성수동에 실행되는 문화전략 94

〈그림 34〉 삼청동 입지적 조건 95

〈그림 35〉 삼청동 건축물 용도 96

〈그림 36〉 2011년~2015년 서울시 삼청동관련 사업내용 102

〈그림 37〉 삼청동 외부인 활동 조사 105

〈그림 38〉 외부인 관점에서의 삼청동 강조 및 개선사항 106

〈그림 39〉 삼청동에 실행되는 문화전략 108

〈그림 40〉 지역별 문화백화현상 단계 및 적용된 문화전략 115

〈그림 41〉 장소 물성화의 속성 116

〈그림 42〉 창신동 년도별 문화경제활동 흐름도 122

초록보기 더보기

 서울시는 2008년부터 '창의문화도시'를 컬처노믹스의 방향으로 삼고, 시민을 위한 일상 속 문화향유 및 문화교육을 활성화하는데 주력하고 있다. 서울시의 컬처노믹스 전략에는 지역 정체성을 문화자원으로 활용한 문화의 거리, 유휴지를 문화공간으로 활용한 창작 공간 조성 등의 내용이 포함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전략은 지역민의 활동이나 지역의 활성화 방안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을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소극적인 컬처노믹스 전략이라고 볼 수 있다.

컬처노믹스는 지역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하여 지역문화와 지역경제를 활성화하는 것이 주된 목표이다. 따라서 지역의 장소적, 문화적 특성을 고려해야 하며, 지역민의 생활을 근간으로 한 내용이어야 한다. 다시 말해서 컬처노믹스 전략이 실효성을 거두기 위해서는 지역을 기반으로 한 지역민의 문화·경제활동이 핵심 내용이어야 한다는 것이다.

본 연구자가 밝힌 컬처노믹스 전략은 지역문화 전략이 지역민 중심으로 환원해야 한다는 필요성을 담고 있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은 서울의 특정 지역에서 발생하는 장소의 문화백화현상과 깊은 관련이 있다. 문화백화현상은 지역의 임대료를 상승시켜 이를 견디지 못한 지역민이 퇴출해야 하는 불가피한 상황을 초래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한 컬처노믹스 전략을 제시한다면, 컬처노믹스의 본래 목적인 지역 활성화에 기여할 것이며, 현 컬처노믹스 전략에서 놓치고 있는 핵심적 내용을 보완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장소의 문화백화현상을 방지하기 위한 컬처노믹스 전략의 필요성을 파악하기 위하여, 지역민의 문화 활동을 중심으로 한 조사와 분석을 토대로 하였다. 이번 분석은 현실적이고 실질적인 컬처노믹스의 새로운 전환점을 마련해 줄 것이다.

연구의 과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연구를 통하여 문화백화현상을 고찰하였다.

둘째, 문화백화현상을 단계별로 세분화하고, 장소의 물성화와 연관지어 설명하였다.

셋째, 서울시 문화정책 주요업무 보고서를 분석하여 서울시 컬처노믹스 전략의 방향성을 밝히고, 컬처노믹스 장소를 형성하는데 활용된 문화전략을 살펴보았다.

넷째, 문화백화현상의 단계를 면밀히 살펴보고자 서울시 컬처노믹스 사례지인 종로구 창신동 일대와 성동구 성수동 일대, 종로구 삼청동 일대를 조사하였다. 조사의 방법은 문헌자료, 답사, 인터뷰, 설문으로 진행하였다.

다섯째, 고찰한 내용을 종합하여 장소의 환경적 특성, 내부적 활동, 외부적 활동으로 분류한 후, 장소의 물성화 단계에 따른 문화백화현상을 분석하였다.

여섯째, 전환적 컬처노믹스 전략 요소를 파악하기 위하여 종로구 창신동의 문화경제활동을 집중 조사하였다. 조사의 주요 내용은 장소의 변화와 장소의 물성화 요소, 이에 따른 문화백화현상 방지 전략의 필요성 등으로 한정하였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