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바로가기

자료 카테고리

전체 1
도서자료 0
학위논문 1
연속간행물·학술기사 0
멀티미디어 0
동영상 0
국회자료 0
특화자료 0

도서 앰블럼

전체 (0)
일반도서 (0)
E-BOOK (0)
고서 (0)
세미나자료 (0)
웹자료 (0)
전체 (1)
학위논문 (1)
전체 (0)
국내기사 (0)
국외기사 (0)
학술지·잡지 (0)
신문 (0)
전자저널 (0)
전체 (0)
오디오자료 (0)
전자매체 (0)
마이크로폼자료 (0)
지도/기타자료 (0)
전체 (0)
동영상자료 (0)
전체 (0)
외국법률번역DB (0)
국회회의록 (0)
국회의안정보 (0)
전체 (0)
표·그림DB (0)
지식공유 (0)

도서 앰블럼

전체 1
국내공공정책정보
국외공공정책정보
국회자료
전체 ()
정부기관 ()
지방자치단체 ()
공공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정부기관 ()
의회기관 ()
싱크탱크 ()
국제기구 ()
전체 ()
국회의원정책자료 ()
입법기관자료 ()

검색결과

검색결과 (전체 1건)

검색결과제한

열기
논문명/저자명
농어촌자원의 영상매체 노출이 도농교류 촉진에 미치는 영향 = (The)effect of exposing rural resources through the visual media on stimulating of urban-rural exchange / 손수항 인기도
발행사항
서울 :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2016.2
청구기호
TM 712 -16-71
형태사항
vi, 136 p. ; 26 cm
자료실
전자자료
제어번호
KDMT1201600186
주기사항
학위논문(석사) -- 서울시립대학교 대학원, 조경학과, 2016.2. 지도교수: 김용근
원문

목차보기더보기

표제지

국문초록

목차

제1장 서론 12

제1절 연구배경 및 목적 12

제2절 연구내용 및 범위 15

제2장 이론적 고찰 18

제1절 영상매체 인식과 효과 18

1. 영상매체의 개념과 인식 18

2. 영상매체의 효과 20

제2절 도농교류의 효과와 유형에 관한 고찰 23

1. 도농교류의 필요성과 효과 23

2. 도농교류의 유형분류 26

3. 도농교류의 연구동향과 문제점 29

제3절 농어촌자원의 영상매체 노출 32

1. 시대별 농어촌의 사회상과 농어촌 자원의 TV매체 노출 경향 32

2. 2000년 이후 TV에 노출된 농어촌 자원 분류 53

3. 영상매체 노출의 도농교류 촉진 효과 73

제4절 소결 75

제3장 연구방법 78

제1절 설문의 측정변수 78

1. TV에 노출된 농산어촌자원 78

2. 도농교류 활동에 대한 측정변수 80

3. 농어촌 TV프로그램 인식에 대한 측정변수 82

제2절 연구모형 및 가설설정 84

1. 연구모형 84

2. 연구가설 설정 85

제3절 설문지 구성 및 분석 방법 86

1. 설문지 구성 86

2. 설문 개요 88

3. 설문결과 분석방법과 방법론적 고찰 89

제4장 결과 및 고찰 92

제1절 설문 응답자의 일반적 특성 92

1. 인구통계학적 특성 92

2. 설문 응답자의 농어촌에 대한 인식 93

3. 설문 응답자의 농어촌 TV프로그램 시청 현황 및 인식 95

제2절 농어촌자원의 TV노출에 따른 도농교류 활동 영향 101

1. TV에 노출된 농어촌 자원 요인에 대한 적합성 검증 101

2. TV 시청 후 도농교류 활동 요인에 대한 적합성 검증 105

3. 농어촌 자원의 TV노출과 도농교류 활동의 상관관계 107

제3절 TV매체를 통해 농어촌자원을 접한 정도에 따른 도농교류 활동참여 차이 검증 113

1. 설문 응답자의 농어촌방송 시청 후 교류활동 참여경험 현황 113

2. TV매체를 통해 농어촌자원을 접한 정도에 따른 농수산식품 구입경험 차이 검증 119

3. TV매체를 통해 농어촌자원을 접한 정도에 따른 농어촌지역 방문경험 차이 검증 124

제4절 종합 고찰 128

제5장 결론 131

참고문헌 135

부록 : 설문지 140

ABSTRACT 144

〈표 2-1〉 도농교류의 개념에 대한 선행연구 24

〈표 2-2〉 도농교류의 효과 26

〈표 2-3〉 분류기준에 따른 도농교류의 유형화 27

〈표 2-4〉 도농교류 유형별 교류내용 및 종류 28

〈표 2-5〉 1960~1970년대 농촌개발 정책에 따른 사회상 34

〈표 2-6〉 1960~1970년대 농어촌 관련 TV프로그램 37

〈표 2-7〉 1980~1990년대 한국 농어촌개발 정책의 흐름 40

〈표 2-8〉 1980~1990년대 농어촌 관련 TV프로그램 43

〈표 2-9〉 주요 농촌개발정책의 관점 및 목적의 변화추세 45

〈표 2-10〉 2000년 이후 한국 농어촌개발 정책 패러다임 변화 47

〈표 2-11〉 2000년 이후 농어촌 관련 TV프로그램 52

〈표 2-12〉 농촌어메니티 자원에 대한 연구별 분류 55

〈표 2-13〉 농촌어메니티 유형별 자원분류 57

〈표 2-14〉 2000년 이후 농어촌 관련 TV프로그램 현황 59

〈표 2-15〉 「산 너머 남촌에는2」 노출 자원 분류 62

〈표 2-16〉 「삼시세끼」 노출 자원 분류 65

〈표 2-17〉 「6시 내고향」 노출 자원 분류 68

〈표 2-18〉 TV프로그램에 노출된 농어촌 자원 분류 종합 72

〈표 3-1〉 TV에 노출된 농어촌자원에 대한 측정변수 79

〈표 3-2〉 농어촌 TV프로그램 시청 후 도농교류 활동에 대한 측정변수 81

〈표 3-3〉 도농교류 활동 참여경험에 대한 측정변수 82

〈표 3-4〉 농어촌에 대한 인식 및 농어촌 TV프로그램 시청 현황에 대한 측정변수 83

〈표 3-5〉 응답자 일반사항에 대한 측정변수 87

〈표 3-6〉 설문조사 개요 89

〈표 3-7〉 자료 분석방법 90

〈표 4-1〉 설문 응답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93

〈표 4-2〉 농어촌 장소의 기능에 대한 인식 94

〈표 4-3〉 응답자 본인과 농어촌과의 관계 정도 95

〈표 4-4〉 주로 시청하는 농어촌 TV프로그램 유형 96

〈표 4-5〉 농어촌 TV프로그램 시청빈도 96

〈표 4-6〉 농어촌 TV프로그램 시청 동기 97

〈표 4-7〉 농어촌에 대한 응답자의 인식에 TV프로그램의 영향 정도 98

〈표 4-8〉 농어촌 TV프로그램의 필요성 99

〈표 4-9〉 농어촌 TV프로그램의 향후 제작 방향성 100

〈표 4-10〉 TV에 노출된 농어촌자원 변수내용 및 항목 102

〈표 4-11〉 TV에 노출된 농어촌 자원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103

〈표 4-12〉 TV에 노출된 농어촌자원 신뢰도 분석 결과 104

〈표 4-13〉 농어촌 TV프로그램 시청 후 도농교류 활동 변수내용 및 항목 105

〈표 4-14〉 도농교류 활동에 대한 요인분석 결과 106

〈표 4-15〉 TV에 노출된 도농교류 활동 자원 신뢰도 분석 결과 106

〈표 4-16〉 요인군 간 상관관계 108

〈표 4-17〉 정준상관계수 및 유의수준 109

〈표 4-18〉 농어촌자원과 도농교류 활동의 정준상관분석 결과 111

〈표 4-19〉 TV에 소개된 농수산물 구매경험 114

〈표 4-20〉 TV에 소개된 농수산물 구매 경로 115

〈표 4-21〉 농수산물 구매 경험 없는 이유 116

〈표 4-22〉 TV에 소개된 농어촌 지역 방문경험 117

〈표 4-23〉 농어촌 지역 방문 목적 118

〈표 4-24〉 농어촌 지역 방문 경험 없는 이유 118

〈표 4-25〉 향후 농어촌 관련 상품 구매의향 119

〈표 4-26〉 농수산식품 구입경험여부에 따른 TV 속 농어촌 자원에 대한 집단 간 T검정 123

〈표 4-27〉 농어촌지역 방문경험 여부에 따른 TV 속 농어촌 자원에 대한 집단 간 T검정 127

〈그림 1-1〉 연구 흐름도 17

〈그림 2-1〉 도농교류 유형 구분 29

〈그림 2-2〉 1975년 정책 홍보 드라마 「꽃피는 팔도강산」 36

〈그림 2-3〉 MBC 한국 전원드라마의 대명사 「전원일기」 41

〈그림 2-4〉 KBS 농촌 드라마 「대추나무 사랑걸렸네」 42

〈그림 2-5〉 젊어진 농촌 드라마「포도밭 그 사나이」, 「모던파머」, 「황금거탑」 48

〈그림 2-6〉 농촌에서 자급자족의 모습을 그린 예능프로그램 「삼시세끼」 51

〈그림 2-7〉 농촌의 다양한 사람들의 이야기를 담은 드라마 「산 너머 남촌에는 2」 63

〈그림 2-8〉 농촌과 어촌에서의 자급자족 예능프로그램 「삼시세끼」 66

〈그림 2-9〉 농어촌의 생생한 현장을 담은 시사/교양프로그램 「6시 내고향」 69

〈그림 3-1〉 연구모형 84

초록보기 더보기

 최근 TV매체에서 농어촌 지역을 배경으로 한 방송 프로그램들이 많이 노출되고 있다. 이러한 현상은 도농교류 측면에서 설명되어질 수 있다. TV매체에 노출된 농어촌의 모습을 통해 도시민들은 안전한 먹거리, 순박하고 건강한 삶, 관광 휴양의 대상으로 농어촌을 인식하고 그들의 여가욕구를 충족하고 있으며, 농산물을 구매하거나 농어촌지역을 방문하는 등 농어촌과의 교류활동이 활발해지는 사례들이 증가하면서 농어촌지역의 활성화를 기대해 볼 수 있다. 지금까지의 도농교류 정책들은 농어촌 지역에 대한 지원의 개념에서 이루어져 쌍방향적이지 못하고 일회성에 그친 경우가 많아 그 역할을 다하지 못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TV를 통한 농어촌 지역의 노출이 도시와 농어촌 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를 통해 도농교류 활성화를 위한 영상매체의 활용 방안에 대해 제안하고자 했다.

본 연구에서는 농어촌 자원의 영상매체 노출에 따른 이러한 효과들을 영상매체의 이용과 충족 이론을 바탕으로 설명하였으며, 문헌연구를 통해 도농교류에 관한 이해 그리고 1960년대 이후 농어촌 자원의 TV노출에 대한 동향을 고찰하고 연구의 이론적 틀을 마련하였다. 또한 농촌어메니티 자원분류 체계를 토대로 2000년대 이후 TV에 노출된 농어촌 자원에 대한 유형화를 진행하였다. 이를 토대로 설문지를 구성하고 TV의 농어촌 자원에 대한 노출이 도농교류 활동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시청자 인식조사를 진행하였다.

우리나라 농어촌이 TV매체에 시대별로 노출되어온 동향을 고찰한 결과 1960년대~1970년대 대표적인 농어촌 TV프로그램으로는 '꽃피는 팔도강산'이 있다. 당시에는 정부 주도적 새마을 운동 정책에 대한 정책 홍보성 프로그램을 통해 농업과 농촌의 근대화를 위한 정보의 제공하는 형식의 농어촌 프로그램들이 제작되어졌다. 1980년대~1990년대의 농어촌 TV프로그램으로는 '전원일기'와 '대추나무 사랑 걸렸네'가 있다. 당시 사회는 농어촌지역 소득의 지속적인 감소로 인해 이촌향도 현상이 심화됨에 따라 농촌을 떠나 도시에 정착한 도시민들에게 농촌의 현실과 향기를 전달하는 정서순화를 위한 프로그램이 제작되어졌다. 2000년대 이후에는 농어촌이 농업생산 활동을 위한 공간에서 다원적인 가치를 지닌 공간으로 패러다임이 변화하였다. TV프로그램에서도 젊은 농촌을 그린 드라마와 다양한 예능프로그램에서 농어촌을 다루기 시작하면서 시청자들에게 유익한 정보와 힐링을 선사하고 있다.

농어촌 관련 TV프로그램에 대한 설문조사 결과, 먼저 TV에 노출된 농어촌 자원과 도농교류 활동 욕구 간의 상관성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농어촌의 자연환경 자원의 노출은 시청자들로 하여금 농촌문화교육을 위한 활동과 농어촌 방문에 대한 욕구와 높은 상관성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농어촌의 사회환경에 대한 정보의 노출은 농어촌 지원활동에 대한 시청자의 욕구와 높은 상관성을 보이고 있었다. 다음으로는 도농교류 활동에 참여한 경험이 있는 사람일수록 TV매체를 통해 농어촌자원에 대한 노출 정도가 높은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시청자들의 도농교류 활동에 대한 참여가 TV 속 농어촌자원의 노출에 의해 영향을 받을 수 있다는 결과로 해석될 수 있었다.

본 연구의 결과를 통해 향후 도시와 농어촌 간의 쌍방향적이고 지속적인 교류에 있어 영상매체의 역할이 요구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현재 TV를 통해 먹을거리와 관련된 자원과 일반 관광의 대상으로써 한정된 농어촌의 모습이 비춰지는데 그치지 않고 전통문화와 자연생태 보존의 다양한 농어촌의 기능을 토대로 농업교육, 전통체험, 환경생태교육 등 다양한 농어촌의 자원들이 발굴되고 TV프로그램을 통해 소개된다면 보다 다양한 도시와 농촌 간 교류환경이 조성될 것이다.

권호기사보기

권호기사 목록 테이블로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순으로 되어있습니다.
기사명 저자명 페이지 원문 기사목차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 연속간행물 팝업 열기